목차
Ⅰ 고전학파의 국민소득결정
1. 의 의
2. 가 정
3. 총생산함수
4. 노동시장
5. 국민소득의 결정
6. 시사점
Ⅱ 케인즈의 국민소득결정
1. 의 의
2. 가 정(케인즈 단순모형)
3. 총수요
4.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2부문 모형: 가계와 기업만 존재)
5.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4부문 모형: 가계, 기업, 정부, 해외)
6. 절약의 역설
7. 인플레이션 갭과 디플레이션 갭
Ⅲ 고전학파와 케인즈단순모형의 이론적 배경구분
1. 의 의
2. 가 정
3. 총생산함수
4. 노동시장
5. 국민소득의 결정
6. 시사점
Ⅱ 케인즈의 국민소득결정
1. 의 의
2. 가 정(케인즈 단순모형)
3. 총수요
4.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2부문 모형: 가계와 기업만 존재)
5.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4부문 모형: 가계, 기업, 정부, 해외)
6. 절약의 역설
7. 인플레이션 갭과 디플레이션 갭
Ⅲ 고전학파와 케인즈단순모형의 이론적 배경구분
본문내용
(Ye) 으로 수렴한다.
→→ Y2 에서는 저축이 많으므로 소비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재고가 증가하고, 생산은 감소하므로 국민소득이 감소하여 균형국민소득(Ye) 으로 수렴한다.
※ 사후적으로는 의도하지 않은 재고변동도 투자에 포함되므로 저축과 투자는 항상
일치한다.
(2) 총수요(YD)와 총공급(YS)에 의한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총수요 총공급
YD = C + I YS( = Y)
= a + bY + I0
YD = a + bY + I0 = YS = Y
∴ Ye = (a + I0)
YS, YD
Y = YS
YD = a + I0 + bY
0 Y1 Ye Y2 Y
Y1 에서는 총수요가 총공급을 초과하므로 재고의 감소가 일어난다. 따라서, 생산이
증가하게 되어 국민소득이 증가하여 Ye에 수렴하게 된다.
Y2 에서는 총공급이 총수요를 초과하므로 재고의 증가가 일어난다. 따라서, 생산이
감소하게 되어 국민소득이 감소하여 Ye에 수렴하게 된다.
5.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4부문 모형: 가계, 기업, 정부, 해외)
YD, YS
Y = YS
YD = C + I + G + (X - M)
0 Y1 Ye Y2 Y
6. 절약의 역설
개인이 절약을 하여 저축을 늘리고자 하면 총수요가 감소하여 국민소득이 오히려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총저축이 늘어나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하게 된다.
이를 절약의 역설이라고 한다.
S,I SI S0
I0
0 Y1 Y0 Y
< 독립투자만 있는 경우>
최초의 균형은 저축(S0)과 투자(I0)가 일치하는 Y0 이다.
저축이 증가하게 되면 저축곡선이 상방이동하게 된다.
( S0 →→→ SI)
국민소득은 감소 (Y0 →→→ Y1)해도, 총저축은 불변이다.
S,I SI S0
I
0 Y1 Y0 Y
< 유발투자가 있는 경우 >
최초의 균형은 저축(S0)과 투자(I)가 일치하는 Y0 이다.
저축이 증가하게 되면 저축곡선이 상방이동하게 된다.
( S0 →→→ SI)
국민소득은 감소 (Y0 →→→ Y1)하고, 총저축 또한 감소한다.
→→ 절약의 역설은 투자기회가 부족하여 저축이 바로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성립한다.
7. 인플레이션 갭과 디플레이션 갭
1) 인플레이션 갭
인플레이션 갭 = 현실적인 총수요 - YF(완전고용 국민소득)수준만큼의 총수요
= YF(완전고용 국민소득)수준에서의 초과수요
2) 디플레이션 갭
디플레이션 갭 = YF(완전고용 국민소득)수준만큼의 총수요 - 현실적인 총수요
= YF(완전고용 국민소득)수준에서의 수요의 부족분
YD
YD2
B YD0
E
YD1
A
0 Y1 Yf Y2 Y
총수요가 YD0 이면 “균형국민소득 = 완전고용국민소득”이 된다.
총수요가 YD1 이면 “균형국민소득 < 완전고용국민소득”이 된다.
→ 완전고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EA만큼의 총수요가 필요함.
→ 수요의 부족분 EA를 디플레이션 갭이라고 한다.
→ 총수요의 부족으로 실업과 유휴시설이 존재
→ 총수요증대정책이 필요하다.
총수요가 YD2 이면 “균형국민소득 > 완전고용국민소득”이 된다.
→ EB만큼의 초과수요가 발생한다.
→ 수요의 초과분 EB를 인플레이션 갭이라고 한다.
→ 총수요가 과다로 물가가 상승한다.
→ 총수요억제정책이 필요하다.
Ⅲ 고전학파와 케인즈단순모형의 이론적 배경구 분
고전학파
케인즈
경제환경
19세기까지의 물물교환경제
20세기의 화폐경제
분석중심
초과수요경제
초과공급경제
기본가정
공급측
수요측
경제이론
모든 시장은 완전경쟁, 가격변수의 신축성, 완전정보
가격변수의 경직성, 불완전정보, 불완전 경쟁시장
경제의 안정여부
자본주의 경제는 안정적이다.
자본주의 경제는 불안정적이다.
정책
자유방임정책
정부의 적극적 개입
→→ Y2 에서는 저축이 많으므로 소비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재고가 증가하고, 생산은 감소하므로 국민소득이 감소하여 균형국민소득(Ye) 으로 수렴한다.
※ 사후적으로는 의도하지 않은 재고변동도 투자에 포함되므로 저축과 투자는 항상
일치한다.
(2) 총수요(YD)와 총공급(YS)에 의한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총수요 총공급
YD = C + I YS( = Y)
= a + bY + I0
YD = a + bY + I0 = YS = Y
∴ Ye = (a + I0)
YS, YD
Y = YS
YD = a + I0 + bY
0 Y1 Ye Y2 Y
Y1 에서는 총수요가 총공급을 초과하므로 재고의 감소가 일어난다. 따라서, 생산이
증가하게 되어 국민소득이 증가하여 Ye에 수렴하게 된다.
Y2 에서는 총공급이 총수요를 초과하므로 재고의 증가가 일어난다. 따라서, 생산이
감소하게 되어 국민소득이 감소하여 Ye에 수렴하게 된다.
5.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4부문 모형: 가계, 기업, 정부, 해외)
YD, YS
Y = YS
YD = C + I + G + (X - M)
0 Y1 Ye Y2 Y
6. 절약의 역설
개인이 절약을 하여 저축을 늘리고자 하면 총수요가 감소하여 국민소득이 오히려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총저축이 늘어나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하게 된다.
이를 절약의 역설이라고 한다.
S,I SI S0
I0
0 Y1 Y0 Y
< 독립투자만 있는 경우>
최초의 균형은 저축(S0)과 투자(I0)가 일치하는 Y0 이다.
저축이 증가하게 되면 저축곡선이 상방이동하게 된다.
( S0 →→→ SI)
국민소득은 감소 (Y0 →→→ Y1)해도, 총저축은 불변이다.
S,I SI S0
I
0 Y1 Y0 Y
< 유발투자가 있는 경우 >
최초의 균형은 저축(S0)과 투자(I)가 일치하는 Y0 이다.
저축이 증가하게 되면 저축곡선이 상방이동하게 된다.
( S0 →→→ SI)
국민소득은 감소 (Y0 →→→ Y1)하고, 총저축 또한 감소한다.
→→ 절약의 역설은 투자기회가 부족하여 저축이 바로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성립한다.
7. 인플레이션 갭과 디플레이션 갭
1) 인플레이션 갭
인플레이션 갭 = 현실적인 총수요 - YF(완전고용 국민소득)수준만큼의 총수요
= YF(완전고용 국민소득)수준에서의 초과수요
2) 디플레이션 갭
디플레이션 갭 = YF(완전고용 국민소득)수준만큼의 총수요 - 현실적인 총수요
= YF(완전고용 국민소득)수준에서의 수요의 부족분
YD
YD2
B YD0
E
YD1
A
0 Y1 Yf Y2 Y
총수요가 YD0 이면 “균형국민소득 = 완전고용국민소득”이 된다.
총수요가 YD1 이면 “균형국민소득 < 완전고용국민소득”이 된다.
→ 완전고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EA만큼의 총수요가 필요함.
→ 수요의 부족분 EA를 디플레이션 갭이라고 한다.
→ 총수요의 부족으로 실업과 유휴시설이 존재
→ 총수요증대정책이 필요하다.
총수요가 YD2 이면 “균형국민소득 > 완전고용국민소득”이 된다.
→ EB만큼의 초과수요가 발생한다.
→ 수요의 초과분 EB를 인플레이션 갭이라고 한다.
→ 총수요가 과다로 물가가 상승한다.
→ 총수요억제정책이 필요하다.
Ⅲ 고전학파와 케인즈단순모형의 이론적 배경구 분
고전학파
케인즈
경제환경
19세기까지의 물물교환경제
20세기의 화폐경제
분석중심
초과수요경제
초과공급경제
기본가정
공급측
수요측
경제이론
모든 시장은 완전경쟁, 가격변수의 신축성, 완전정보
가격변수의 경직성, 불완전정보, 불완전 경쟁시장
경제의 안정여부
자본주의 경제는 안정적이다.
자본주의 경제는 불안정적이다.
정책
자유방임정책
정부의 적극적 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