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답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해안답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전남 순천 낙안읍성 민속마을 1
序論 1
1.낙안읍성 소개 2
2.낙안읍성의 유래 3
3.낙안읍성연혁 3
4.낙안의 지형(地形)과 지명(地名) 4
1)낙안의 지형(地形) 4
2)낙안의 지명(地名)의 由來 4
①낙토민안(樂土民安) 4
②사농공상(士農工商) 낙안 4
③옥녀 산발형 낙안 4
④지명의 변화로 본 낙안 4
5.풍수(風水)로 본 낙안읍성(邑城) 4
6.낙안읍성의 구조 5
結論 8
-참고문헌- 8
-인터넷 사이트- 8

Ⅱ.보성 다원 9

Ⅲ.제철의 도시 광양 제철소 11
1.포항제철 11
2.광양제철소 11
3.포항제철과 광양제철의 비교 12

Ⅳ.광주 5․18 국립공원과 광주 민중항쟁 13
序論 13
1.지리학적 입장에서 본 광주항쟁의 시공간적 범위 13
2.전남 및 광주지역의 지리적 특수성 14
3. 민중 봉기로 발전된 배경과 항쟁과정 15
4.망월동의 탄생 17
5.망월동 묘지의 의미 17
6.1997년 5․18 신묘지 조성경위와 현황 18
①5․18 신묘지 조성경위 18
②광주 국립 5․18묘지의 현황 18
7.광주 국립 5․18묘지의 조성의 의미 19
8.민주성지론에 대한 성찰 19

結論 20
-참고문헌- 20

본문내용

나는 위치인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자리에(사람의 위=밥통) 시장이 있고 골목길 역시 교차로보다는 세 갈래로 길들이 나누어져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물형으로 이어져 나간다.
그리고 성내의 가옥들을 보면 부잣집보다는 일반 서민들의 가옥들이 대부분으로 소위 양반이나 지주들이 성내에 살지 않았던 것같다. 이는 관과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권세가 있는 두 개의 집단이 함께 하지 않기 위함) 성밖에 떨어져 살았으며, 성내는 주로 관원이나 관에 속한 가족들과 일반 평민들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가옥 구조는 대개의 가옥이 남부 지방 전통적인 일자형(간혹 ㄱ 자 형도 있음)으로 남서 방향의 삼간 집이 대부분임을 알 수가 있다.
結論
낙안읍성을 답사하면서 교과서 내에서의 읍성이 아니라, 생활터전으로서의 읍성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었다. 또한 ‘과거의 서민 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졌는냐?’에 대하여서 몸소 느낄수 있었다. 그러나 낙안읍성의 옛 모습은 그대로 살리고 있으나 많은 읍성내의 초가가 식당이나 상점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 아쉬움을 느낀다. 이러한 경향은 대부분의 전통마을(ex>안동하회마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정부의 정책이 전통마을 내에 주민들에 대한 정책이 잘못 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하는 점이다. 앞으로 정부는 이러한 전통마을내에 거주하는 주민들에 대한 보호 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전통마을의 의미를 퇴색 시키지 않아야겠다. 그리고 주민들 또한 전통마을의 보존적 차원에서 지금의 상업적인 성향을 벗어던지고 보다 발전된 전통마을을 만들려는 노력을 해야하겠다.
-참고문헌-
심정보, “한국 읍성의 연구” 서울: 학연문화사, 1995
허경진, “한국의 읍성” 서울:| 대원사, 2001
-인터넷 사이트-
낙안민속마을 http://www.nagan.or.kr
낙안읍성기행 http://june0504.new21.net/travel/030629-1.htm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php?&id=34718&adflag=1
Ⅱ.보성 다원
정동진이라면 우리가 흔히 모래 시계로 유명한 곳 중에 하나이다. 드라마 방영이전 까지만 해도 해안에 있는 작은 철도역에 불과 했지만 드라마 방영 이후 관광객들이 끊이지 않는 최고의 관광 명소가 되었다.
보성 다원도 드라마 “여름 향기”의 배경으로 등장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 되었다. 하지만 많은 관광객들의 발이 끊이지 않는다고 하지만 그에 따른 부대 시설과 관력시설의 부재로 언제까지 관광지로 알려질지 사람들이 모여들지 의문이다.
오늘날 차는 대부분이 보성 다원에서 생산 되면 전남의 보성이 차의 주산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식민지 시대에 차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 그들은 1940년에 인도산 차 종자를 그곳에 심엇는뎅 보성읍 봉산리 일대는 자연조건이 차를 재배하기에 알맞아 대규모로 차밭이 만들어졌던 곳이다. 그들이 이 차밭에서 찻잎을 제대로 생산하기도 전에 누리나라가 해방이 되었으며 이 차밭은 그 뒤로 한해동안 버려진 땅으로 있기도 하였다.
다원에 가기전에 날씨가 흐리더니 갑자기 다원 도착하기전에 빗줄기가 쏟아지기 시작하였다. 비가 오는 바람에 답사를 망치진 알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우리는 둘 셋 우산이 같이 쓰고 차밭이 있는곳으로 올랐다. 비가오면서 뿌옇게 흐려진 차밭은 마치 영화에서 나오는 그런 한 장면 같아으면, 안개속의 차밭은 신비스럼을 안고 있는 것 같았다.
어마어마하게 펼쳐진 차밭은 저절로 탄성을 자아냈고, 드라마에서의 멋진 광경이 하나 둘씩 눈에 떠오르는 것 같았다. 비가 오는 가운데 우리 뿐만 아니라 여럿 관광객들이 있었고 그중에 외국 관광객들도 있었다. 다른 외국의 관광지처럼 거대한 문화유산은 아니지만, 자연과 함께 하는 우리민족의 자연과 함께하는 민족성을 보여줄수 있는 그러한 곳인거 같았다.
전라도에 있는 보성 다원에 대한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회천면 영천리 일대에는 연간 200여 톤의 차가 생산되는 전국 최대의 다원이 형성되어 있다. 보성다원의 시초는 일제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39년에 일본인 차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최적의 홍차재배지로 선정된 보성에 인도산 차종자를 수입하여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보성다원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보성읍에서 18번 국도를 따라 율포 쪽으로 가다 보면 활성산에 이르는데, 이 산의 봇재를 넘어서기 전부터 보성다원을 만날 수 있다. 산을 넘어서까지 이어지는 다원은 마치 녹색의 양탄자를 깔아 놓은 것처럼 온 산에 계단식으로 가꾸어져 있다. 도로변에 지어진 \'다향각\'에서는 득량만의 아름답고 전망 좋은 해안과 끝없이 펼쳐진 차 밭을 함께 볼 수 있어 독특한 풍치를 자랑하고 있다.
매년 봄 차 수확 시기에 맞춰서 열리는 \'다향제\'도 보성에서 즐길 수 있는 흥미로운 볼거리이다. 다향제는 \'다신제\'를 시작으로 차 잎 따기 경연, 차 만들기 경연, 차 아가씨 선발, 다례 시범 등 다채로운 행사를 진행한다.
Ⅲ.제철의 도시 광양 제철소
일반적으로 경상도 사람과 전라도 사람은 지역 감정이 팽배해 있다고 한다. 젊은 세대인 우리지만 우리 또한 이유 없이 전라도라는 지역을 배척하고 멀리하는 그런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여러 곳을 여행하고 답사해 봤지만, 전라도 지역은 이번이 처음 왠지 모른 설레임이 밀려 왔다. 우린 보통 제철의 도시를 떠올리면 우선 포항제철을 떠올릴 것이다. 그리고 중학교, 고등학교등을 거치며 몇번씩 포항제철소를 방문하고 견학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전라도에 있는 광양제철소는 처음이었다. 철강산업을 국가의 기간산업으로 산업부문에 없어서는 안되는 그런한 중요한 산업 중에 하나 이다. 그럼 우리가 다녀온 광양제철소에 대해 잠시 살펴 보면, 우선 광양에 제철소가 입지하게 된 이유는 먼저 포항제철 제2공장의 후보지는 아산만, 광양만, 낙동강하구 3개 지역이 엇고 입지조건의 결과 아산만이 최적지로 평가 되었으나 국토의 균형개발과 안보적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광양만이 최종 후보지로 확정되어 지금의 광양 제철소가 되었다.
광양만에 광양제철소가 건닙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02.07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