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문자에 대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문자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3-1. 중국 문자의 기원과 발생과정

3-2. 고대문자- 甲骨文, 金文, 大篆, 小篆, 古文

3-3 고대의 서사자료(교과서 p171~)

3-4 한대 이후의 자형의 변화(p.147小篆, p.154~)-隸書, 楷書, 草書, 行書

3-5. 한대의 문자학 이론- 한자의 구조(p.128, p.148)

3-6. 한자의 개혁

3-7. 한자의 수량(p. 158~)

3-8. 중국어 자전과 사전

본문내용

비상용자- 문언, 구어, 전문 술어, 지명, 성씨, 방언, 의성어, 외래어 음역에 쓰이는 한자,
제대로 교육 받은 사람들이 아는 한자 수는 약 3000자에서 4000자 수준.
3-8. 중국어 자전과 사전
1. 전통 자전
☆자전과 사전의 차이.
자전-글자단위로 된 사전, 표제자가 모두 단자
사전-낱말단위로 된 사전, 표제자가 단자도 있고(단자가 한 낱말), 두 글자 낱말이 대다수
중국 최초의 小學書, 즉 아동용 한자교본은 「史15篇」이나 소실, 이어 이사의「倉詰篇」 이 있으나 소실, 前漢시기 史遊의 「急就篇」은 완전한 상태로 전해지고 2016자가 실려 있다.
본격적인 자전으로 시대가 가장 이른 것은 「爾雅」- 경전을 이해하기 위한 낱말 풀이집
-> 19편으로 분류하여 해당 옛 낱말을 동의어들끼리 모아 나열, 마지막에 통용어로 표기.
例> 初, 哉, 首, 基, 祖, 元, 胎, , 落, 權與, 始也.
訓書: 뜻풀이 위주의 자전- 이런 내용별 분류형식을 따른 자전은 전한 말 양웅의「방언」, 후한 말 유희의 「釋名」으로 계승되어 청대까지 계속 출간됨.
책명의 두 번째 글자가 雅자가 붙은 일련의 廣雅, 通雅, 別雅, 疊雅등은 모두 훈고류
☆중국의 전통 자전
훈고서: 爾雅에서 시작, 낱말의 뜻에 따라 부문별로 나누어 분류, 옛 낱말의 뜻풀이 중점.
자서: 說文解字 시작(최초부수배열), 형태 따라 부수별 배열, 자형과 본의 밝히는 데 중점.
운서: 切韻(4성별, 음별 분류, 해당 운에 속하는 한자 수록, 음, 훈으로 한자 배열)서 시작, 음에 따라 운별 배열, 음을 밝히는데 중점, 시부, 압운을 위한 참고서
간단한 의미 풀이, 반절이라는 음표기-훈고서, 자서보다 자전의 요소 더 구비.
한자의 3요소라고 하는 형, 음, 의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완전히 분리하여 따로 뗄 수 없다.7C초에 의순, 형(부수)순, 음순의 자전 수록 방법이 모두 나타남.
-> 爾雅 같은 내용 부문별 배열 방법은 현재는 특수 사전 외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 부수 배열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 說文解字 540부수, 字彙, 214부수, 康熙字典 214부수
-> 切韻의 4聲8卷과 韻별분류의 전통 계승, 송대 廣韻-> 集韻-> 원대 古今韻會與要
원대 曲韻書 中原音韻- 운별로 나누고 성조로 나눔-> 새 음순배열법은 20C이후 나타남
2. 현대 자전
20C에 출간된 최초의 대형 자전- 강희자전을 보완하여 만든, 「중화대자전」
-> 집운의 반전 하나로 통일, 운부를 표기, -> 이상적 음표기는 아니다.
1953년 소형자전「신화자전」출간- 8500자 수록, 한어병음순 배열, 표제자 뜻풀이 간체자.
가장 대표적인 표준 소사전(예가 많고 어법적 지식 많다)
「漢語大字典」 8책- 가장 큰 자전
표제자- 모두 단자,
수록자수- 56000자정도, 기존 자전에 탈락된 글자 뽑고, 새로 생긴 글자 수록,
고금문헌에 나오는 한자 모두 수록- 가장 상세하고 완벽한 사전
글체례- 고문헌 용례- 기존 해서체(번체자), 괄호 안에 간체자.
풀이말, 현대 백화문 용례- 간체자
부수- 214부수-> 200부수, 필획순으로 배열.
자형의 해석- 표제자는 해서체로 수록, 고문자형이 있으면, 갑골문, 금문, 소전, 예서까지 다양하게 선별하여 각 자형의 출처까지 밝혀 나열- 고문자 자형 변화, 자형과 음, 뜻의 관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문자의 구조 변화 간단히 설명
음의 표기- 현대음- 한어병음. 중고음- 광운, 집운의 반절 및 성조, 선진상고음- 고운부
뜻풀이- 번호 나누어 상세히 기술, 본의, 파생의, 통가의(음이 같거나 비슷하여 빌려 쓴 뜻)
뜻풀이 앞에 품사표시. 한자로 음역한 외래어는 내원, 알파벳, 라틴어 음표기 병기
3. 현대사전
전통자전이나 사전의 가장 큰 문제점인 당시 구어를 수록하지 않았던 것을 보완하고자 함.
최초의 대형 현대 구어사전: 1936년 「國語辭典」4책
특징-최초주음자모순 표제자 배열- 표제자로 시작하는 낱말도 둘째 음절을 주음자모순 배열. 경성과 er화도 표시
결정-구어와 서면어 또는 문언과의 구분이 전혀 되지 않음.(구어위주나 문언도 다량 포함됨)
음을 바르게 정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뜻풀이가 지나치게 간략, 어법정보가 없다
용례는 문언과 조기 백화문에서 많이 인용되어 있으나 출처가 없다.
「現代 漢語 詞典」- 신화자전의 간단함 때문에 보다 큰 사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됨.
1960년 식용본이 나오나 문화대혁명 때문에 1978년 출간.
5.6만조의 낱말 수록, 한어병음순으로 배열, 단자아래의 낱말, 성어, 구 역시 병음순 배열.
경성표시(반드시 해야 하는 것 표시, 아닌 것은 둘 다 표시),
er화표시(-r로 표시, 안해도 되는 경우 (-r)로 표시)
모든 낱말을 품사구분.
문체구분: 구어->口,서면어->書,방언(북방방언포함)->方,고전->古,일반어휘-표시없음(대다수)
---> 현대 한어 사전의 장점.
「漢語大詞典」12책--> 체재나 내용면에서 가장 완벽하고 상세한 사전
1987년 출간되어 1994년 완간된 대형 사전.
표제어- 37만여개, 분량은 5000여자
한어대자전처럼 200부수로 분류, 배열, 기존한자체, 간화자는 괄호안에 병기,
각 부수에서는 필획수순, 필형수순으로 배열
같은 자형이라도 음, 뜻 다른 것은 각기 표제자로 나열, 번호로 구분
간화자를 따로 표제자로 싣고 음표기, 뜻출이 생략- ○的簡化字라고 명시
풀이글은 우려가 될 경우 제외하고 모두 간화자로 표기
용례- 현대 문헌 자료에서 뽑아 시대순으로 나열, 시대, 저자, 편명 밝히고 출처 밝힘
민국(1912)이후, 현대 작품의 용례는 간화자, 이전에 나온 고문헌 용례는 번체자
이체자- 간화자와 마찬가지로 표제자 따로 수록하고 同○이라고 해당 정자만 표기
음표기- 현대음은 한어병음으로 중고음은 광운또는 집운의 반절과 성조, 운, 자모
「辭源」4책- 고전문헌 연구 참고 사전, 1983년 수정판으로 나옴.
1915년 3책, 현대적 의미의 최초의 사전 고대 사전류와 체재, 내용면에서 현격한 차이.
표제자, 배열- 214부수로 배열, 낱말은 먼저 글자수순으로 하고 둘째글자의 필획수순 배열.
광운의 반절음과 폐문시운의 운부병기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2.22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