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편찬경위의 추정)
1. 편찬경위
2. 편찬자
3. 간행연대
(율격구조)
1)구수율
2)음보율
(구성방식)
1. 전편(全篇)의 구성
2. 삽화의 구성
3. 장(章)의 구성
4. 행의 구성
(표현방식)
1. 인물의 형상화
2. 문체상의 특징
(참고자료)
1. 편찬경위
2. 편찬자
3. 간행연대
(율격구조)
1)구수율
2)음보율
(구성방식)
1. 전편(全篇)의 구성
2. 삽화의 구성
3. 장(章)의 구성
4. 행의 구성
(표현방식)
1. 인물의 형상화
2. 문체상의 특징
(참고자료)
본문내용
서 자비심과 중생제도의 노력, 그리고 신통력이 보다 강조되고 있는 편찬자의 의도와 관계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신통력은 불교적 인물의 특성이기도 하지만, 반드시 불교적 인물에게만 나타나는 특성이 아니라 오히려 비범한 인물 즉, 영웅적 인물에게 나타나는 특성이다.
-其35에서처럼 학문이 뛰어나다는 점이나, 其131을 통해서는 우애있는 형의 모습을 보여주며, 其146에서는 자애로운 아버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모습은 유교적 인간형에서 찾을 수 있는 문인으로서의 이상적 인물이다. 그리고 其39에서는 뛰어난 힘의 소유자로 그려져 있다. 이런 장의 모습은 석가가 가지고 있는 무인으로서의 측면을 강조한 부분이다.
-따라서 ‘월인천강지곡’에서 석가는 문인으로서의 측면과 무인으로서의 측면을 공유한 유교형의 이상형의 인간, 즉 문무를 겸비한 인물로 그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월인천강지곡’은 석가를 불교적 관점에서의 성인으로 노래하면서 동시에 유교적 관점에서의 인물형이 밑바탕이 되어 그려져 있다고 보여진다.
2. 문체상의 특징
-1)대화체의 사용
예를 들어,
보 뮨술위예
象이 메더니
발바사 매아니 알시리
五通 메윤술위
마길 업스니
象술위 머흘면
-其35에서처럼 학문이 뛰어나다는 점이나, 其131을 통해서는 우애있는 형의 모습을 보여주며, 其146에서는 자애로운 아버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모습은 유교적 인간형에서 찾을 수 있는 문인으로서의 이상적 인물이다. 그리고 其39에서는 뛰어난 힘의 소유자로 그려져 있다. 이런 장의 모습은 석가가 가지고 있는 무인으로서의 측면을 강조한 부분이다.
-따라서 ‘월인천강지곡’에서 석가는 문인으로서의 측면과 무인으로서의 측면을 공유한 유교형의 이상형의 인간, 즉 문무를 겸비한 인물로 그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월인천강지곡’은 석가를 불교적 관점에서의 성인으로 노래하면서 동시에 유교적 관점에서의 인물형이 밑바탕이 되어 그려져 있다고 보여진다.
2. 문체상의 특징
-1)대화체의 사용
예를 들어,
보 뮨술위예
象이 메더니
발바사 매아니 알시리
五通 메윤술위
마길 업스니
象술위 머흘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