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원생몽유록』
『대관재몽유록(大觀齋夢遊錄)』
2.『까치전』
『두껍전』
3.『숙영낭자전』
『숙향전』
『채봉감별곡』
4.『장화홍련전』
『콩쥐팥쥐전』
5.『옹고집전』
『대관재몽유록(大觀齋夢遊錄)』
2.『까치전』
『두껍전』
3.『숙영낭자전』
『숙향전』
『채봉감별곡』
4.『장화홍련전』
『콩쥐팥쥐전』
5.『옹고집전』
본문내용
또 한번은 밑 빠진 독에 물을 부으라 하여 애를 먹는데, 백년 된 두꺼비가 밑을 막아 주어 물을 채우기도 한다. 외가댁에서 잔치를 한다고 하여 배씨와 팥쥐는 먼저 떠나며 콩쥐에게는 겉피 석 섬을 빻고 오라 한다. 이 때 하늘에서 직녀가 내려와 베를 짜 주고 옷과 신발을 주었으며 새가 쌀을 빻아 준다. 급히 외가댁에 가던 중, 새로 부임하는 감사의 행차를 피하다가 신발 한 짝을 잃은 채 외가댁에 도착한다. 새 감사는 자식이 없이 홀아비가 된, 매사에 호기심 많고 꼼꼼한 사람인데, 신발 한 짝의 주인을 찾아 나선다. 콩쥐 새엄마가 자기가 주인이라고 나섰다가 실패하고, 콩쥐가 주인임이 밝혀진다. 콩쥐는 외삼촌과 관가에 들어가 감사의 청혼을 받아들이고 아버지 최 만춘이 이를 허락한다.
팥쥐가 관가에 사는 언니 콩쥐에게 놀러가 대접 받고 연못에서 함께 목욕 하던 중, 콩쥐를 연못에 빠뜨려 죽이고 자기가 대신 언니 행세를 한다. 연못에 핀 큰 연꽃을 이상히 여겨 감사가 방안에 두었으나 팥쥐가 아궁이에 넣어 버린다. 이웃 할머니가 감사댁에 불씨를 구하러 갔다가 아궁이에서 구슬이 나와 집에 가져가니, 콩쥐 목소리가 나며 그 동안의 사연을 말한다. 할머니는 자기 생일이라 하여 감사를 초대, 젓가락 짝으로 감사는 아내가 바뀌었음을 알게 되고, 병풍 뒤에서 콩쥐가 나타난다. 연못을 뒤지니 콩쥐의 몸이 나오고 곧 다시 살아난다.
조정에서 명이 내려, 팥쥐를 찢어 죽인 뒤 소금에 절여 어미 배씨에게 보낸다. 배씨는 새 시집을 가서 딸의 시체를 받고는 까무러쳐 죽는다. 감사는 후회하고 사죄하며 최 만춘에게 다시 여자를 얻어 살게 한다.
5.『옹고집전』
옹진골 옹당촌에 성은 옹, 이름은 고집인 사람이 있는데, 성질이 고약하고 심술이 맹랑하여 매사에 삐뚤어진 마음이나, 앞뜰에 연못 파고 누각에 송백이 가득하고 뒷뜰에 장옥이라. 팔십 노모는 아프지만 약 한 첩 쓰지 아니하고 추운 방에 두니 노모가 불효를 탓하면, 아무리 유명한 이도 모두 죽었고 또 인생 칠십 고래희인데 노모가 너무 오래 산다고 핀잔을 준다.
옹고집은 불도를 능멸하여 중들을 자주 골리자, 월출봉 취암사의 도사가 학대사를 시켜 옹고 집을 찾게 한다. 천냥 시주를 부탁하니, 중은 부모를 배신하고 부처의 제자 행세로 거짓 공부나 하고 어른 보면 동냥을 구하고 아이 보면 가자고 해, 불효하고 불충하다며 꾸짖는다. 오래 살지 못 한다고 관상을 봐 주자, 옹 고집은 학대사를 곤장치고 내
팥쥐가 관가에 사는 언니 콩쥐에게 놀러가 대접 받고 연못에서 함께 목욕 하던 중, 콩쥐를 연못에 빠뜨려 죽이고 자기가 대신 언니 행세를 한다. 연못에 핀 큰 연꽃을 이상히 여겨 감사가 방안에 두었으나 팥쥐가 아궁이에 넣어 버린다. 이웃 할머니가 감사댁에 불씨를 구하러 갔다가 아궁이에서 구슬이 나와 집에 가져가니, 콩쥐 목소리가 나며 그 동안의 사연을 말한다. 할머니는 자기 생일이라 하여 감사를 초대, 젓가락 짝으로 감사는 아내가 바뀌었음을 알게 되고, 병풍 뒤에서 콩쥐가 나타난다. 연못을 뒤지니 콩쥐의 몸이 나오고 곧 다시 살아난다.
조정에서 명이 내려, 팥쥐를 찢어 죽인 뒤 소금에 절여 어미 배씨에게 보낸다. 배씨는 새 시집을 가서 딸의 시체를 받고는 까무러쳐 죽는다. 감사는 후회하고 사죄하며 최 만춘에게 다시 여자를 얻어 살게 한다.
5.『옹고집전』
옹진골 옹당촌에 성은 옹, 이름은 고집인 사람이 있는데, 성질이 고약하고 심술이 맹랑하여 매사에 삐뚤어진 마음이나, 앞뜰에 연못 파고 누각에 송백이 가득하고 뒷뜰에 장옥이라. 팔십 노모는 아프지만 약 한 첩 쓰지 아니하고 추운 방에 두니 노모가 불효를 탓하면, 아무리 유명한 이도 모두 죽었고 또 인생 칠십 고래희인데 노모가 너무 오래 산다고 핀잔을 준다.
옹고집은 불도를 능멸하여 중들을 자주 골리자, 월출봉 취암사의 도사가 학대사를 시켜 옹고 집을 찾게 한다. 천냥 시주를 부탁하니, 중은 부모를 배신하고 부처의 제자 행세로 거짓 공부나 하고 어른 보면 동냥을 구하고 아이 보면 가자고 해, 불효하고 불충하다며 꾸짖는다. 오래 살지 못 한다고 관상을 봐 주자, 옹 고집은 학대사를 곤장치고 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