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 문화 산업의 시대
- 나와 대중음악
- 불황 문제 제기
2.본론
- 대중음악이란
- 대중음악의 문제점
1. 라이브 공연장의 문제
2. 유통 구조의 후진성
3. 대형 연예제작사의 등장의 폐허
4. 방송의 문제
5. 편중된 10대 대중음악
6. 국가적 지원의 문제
7. 저작권 문제 (소리바다에 관해)
8. 음악 산업 전반에 관한 인프라에대해
9. 대중들의 무지와 무관심
10. 표절의 문제
- 대중음악의 해결책
1. On-Line에서 돈을 벌자.
2. 음악의 다양성을 확보하자
3. Live 공연 문화의 활성화
4. 공정한 제작관행을 확립
5. 시너지 효과의 극대화
6. 유통구조의 혁신
7. 전문 인력 양성 기관 확충
8. 세계 시장을 겨냥하자
3. 결론
<부가 내용 - 음악에서의 COPY와 표절>
- 문화 산업의 시대
- 나와 대중음악
- 불황 문제 제기
2.본론
- 대중음악이란
- 대중음악의 문제점
1. 라이브 공연장의 문제
2. 유통 구조의 후진성
3. 대형 연예제작사의 등장의 폐허
4. 방송의 문제
5. 편중된 10대 대중음악
6. 국가적 지원의 문제
7. 저작권 문제 (소리바다에 관해)
8. 음악 산업 전반에 관한 인프라에대해
9. 대중들의 무지와 무관심
10. 표절의 문제
- 대중음악의 해결책
1. On-Line에서 돈을 벌자.
2. 음악의 다양성을 확보하자
3. Live 공연 문화의 활성화
4. 공정한 제작관행을 확립
5. 시너지 효과의 극대화
6. 유통구조의 혁신
7. 전문 인력 양성 기관 확충
8. 세계 시장을 겨냥하자
3. 결론
<부가 내용 - 음악에서의 COPY와 표절>
본문내용
이며 보다 원곡에 가깝게 부르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물론 시대가 틀려서 악기 연주 같은 것들을 다시 하기도 하지만 이 과정에서 프로듀서의 별다른 해석이나 스타일이 최대한 자제된다. 그러니까 리바이벌은 원곡을 복구 복구하고 회자하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때 보컬 개인의 스타일 이외에 변수는 별로 작용하지 않는다.
리메이크나 리바이벌은 ‘다시 부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리메이크의 과정은 훨씬 복잡하고 다양하다. 다시 만드는 과정에서 장르를 바꿀 수도 있으며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 그야말로 여러 가지 도구들을 들이 댈 수가 있다. 악기를 바꾸거나 같은 악기를 사용하더라도 연주 패턴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비트를 바꿀 수도 있고 빠르기를 조절 할 수도 있다. 화음을 넣을 수도 있으며 믹싱을 새롭게 할 수도 있다. 리메이크는 이렇게 원곡 자체를 창작하진 않지만 사용하는 도구에 대한 상상력을 무한하게 발휘할 수가 있다. 반면 리바이벌은 원곡에 얼마나 충실 하느냐가 관건이며 여기서 부르고 연주하는 이들의 해석이 가미되면 비라이벌이 아닌 리메이크가 되는 것이다
-트리뷰트(Tribute)-
트리뷰트 앨범은 ‘감사, 찬사, 바치는 물건’의 뜻을 가진 ‘Tribute’라는 단어의 원래 의미처럼 존경하는 선배 뮤지션의 음악을 후배 뮤지션들이 리메이크 내지는 리바이벌하여 선배 뮤지션에게 바치는 헌정 앨범을 뜻한다. 물론 이러한 앨범은 음악사에 길이 남거나 직간접적으로 자신의 음악역정에 영향을 미친 선배를 향한 존경의 의미가 담겨져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그를 추종하는 후배 뮤지션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진다. 트리뷰트 앨범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이 사람의 그간 행보가 뮤지션으로서 파란 싹을 가지고 있는 어떤 꼬마에게 직간접적으로 아이디어를 주고 자양분을 주어, 이 꼬마가 어른이 되어서 펼쳐나갈 음악의 모태를 형성 시켜주었다는 것을 의미이다. 그리고 그가 만든 음악이 많은 후배 뮤지션들에게 음악적으로 귀감이 되어 왔고, 이것에 대한 공감대가 후배 뮤지션들 사이에서 만장일치로 이루어졌을 때 비로서 헌정 앨범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트리뷰트 앨범의 대상이 된 인물은 뮤지션들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이 보기에도 뮤지션으로서 존경할 만한 인물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뮤지션 자신에게도 트리뷰트 앨범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은 매우 영광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표절-
표절은 저작권을 가지고 있지 못한 사람이 곡을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불법으로 베껴 쓰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창작곡에 관한 표절 기준은 과거 공연윤리 위원회에서 제시했던 기준이 다다. 공연윤리 위원회의 표절 기준은 다음과 같다.
주요 동기가 동일 내지는 흡사한 경우는 표절로 인정함
가. 주요 동기라 함은
4/4, 4/2, 6/8, 5/4 박자는 첫 2소절
2/4, 2/2, 3/8, 3/4 박자는 첫 4소절
나. 흡사하다 함은, 박자 분할이 동일하고 한 두 음의 음정만 다른 경우를
말함.
주요 동기 이외는 1항의 소절 수의 배수를 표절로 인정함
4/4, 4/2, 6/8, 5/4 박자는 첫 4소절
2/4, 2/2, 3/8, 3/4 박자는 첫 8소절
음형은 동일 내지 흡사하고 박자의 분할 배분만 변경된 것은 표절로 간주함
그나마 이러한 기준도 한국 공연 윤리 위원회가 공연예술 진흥협의회로 바뀐 이후 없어져 버렸고, 이후 표절에 관한 시비는 저작권자의 개인적인 소송에 의존하게 되었다. 사실 이러한 기준이 살아 있다 한들 제대로 된 방패막이 될 수 있었겠는가? 처음에는 일본시장이 닫혀있다는 점이나 그간 해외 음악을 쉽게 접할 수 없었던 점을 악용해 거의 번안 수준으로 곡을 베껴 쓰는 경우가 많았는데 일본문화도 개방되고 인터넷의 발달을 통해 작곡가들보다 먼저 외국음악을 듣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번안 곡 수준의 전면적인 표절은 현저히 줄었다.
하지만 표절이 자행되는 근원을 살펴보면 예나 지금이나 상황은 별반 나아진 게 없다. 표절을 하게 되는 이유의 근본은 창의력의 부재이다. 음악은 예술이며 이를 만드는 사람들은 자신이 만든 창작품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물론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는 음악을 만드는 것이 대중 음악가들의 일차적인 목표지만 그들이 하는 모든 작업은 예술이라는 대전제 아래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정성 들여 만들어 오래 회자 될 수 있는 음반을 양산하기 위해선 장사꾼이 아닌 장인이 필요하다. 리믹스 앨범이 우스운가? 기존의 있던 곡을 다시 믹싱하는 리믹스 앨범에도 분명 질의 차이와 정성의 차이와 뮤지션쉽의 차이가 존재한다. 샘플링이나 리메이크, 리바이벌 같은 작업들이 우스운가? 샘플링을 사용하거나 원곡을 리메이크 하는 데에도 분명 잘 만든 결과물과 허접한 결과물이 구분되며, 이것은 작업자가 이를 작업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반짝이는 아이디어와 음악에 관한 해박한 이해를 가지고 임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샘플링이나 리메이크 작들이 대중들에게 창작물 내지는 명반의 개념으로 인정을 받지 못하는 건(그러한 작업을 하는 데 있어서 창의적인 아이템과 재능이 필요함에도) 이것들을 창작의 경지로 끌어 올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저 남발하고 찍어내는 리메이크 앨범과 얼토당토 않은 샘플링이 범람하고 있는 이 와중에 굳이 그것들을 곱게 봐줄 동기가 없지 않은가? 갈수록 난무하는 싸구려 샘플링 작업들과 기준이 없는 표절시비는 계속해서 상황을 악화시키기만 한다. (창의력이 발휘 되지 않은 창작 곡이지만 그래도) 명확하게 표절을 하지는 않았고, 법에 걸리지 않도록 샘플의 원곡 내지는 도용한 곡의 원작도 밝혔다 치자. 하지만 이 모든 조치들이 그들을 법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는 있을지 모르겠지만, 뮤지션으로서 예술인으로서의 양심은 그 몰골이 매우 처참하고 흉악하게 일그러져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런 상태라면 표절을 하지 않은들, 표절을 하는 것이나 상황이 뭐가 다른가? 우리 나라 가요가 선진화가 되려면, 표절을 얼마나 했느냐 안 했느냐에 대한 수치를 따지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 나라에 뮤지션 쉽을 가진 딴따라가 얼마나 되느냐에 대한 고민과 반성이 근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리메이크나 리바이벌은 ‘다시 부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리메이크의 과정은 훨씬 복잡하고 다양하다. 다시 만드는 과정에서 장르를 바꿀 수도 있으며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 그야말로 여러 가지 도구들을 들이 댈 수가 있다. 악기를 바꾸거나 같은 악기를 사용하더라도 연주 패턴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비트를 바꿀 수도 있고 빠르기를 조절 할 수도 있다. 화음을 넣을 수도 있으며 믹싱을 새롭게 할 수도 있다. 리메이크는 이렇게 원곡 자체를 창작하진 않지만 사용하는 도구에 대한 상상력을 무한하게 발휘할 수가 있다. 반면 리바이벌은 원곡에 얼마나 충실 하느냐가 관건이며 여기서 부르고 연주하는 이들의 해석이 가미되면 비라이벌이 아닌 리메이크가 되는 것이다
-트리뷰트(Tribute)-
트리뷰트 앨범은 ‘감사, 찬사, 바치는 물건’의 뜻을 가진 ‘Tribute’라는 단어의 원래 의미처럼 존경하는 선배 뮤지션의 음악을 후배 뮤지션들이 리메이크 내지는 리바이벌하여 선배 뮤지션에게 바치는 헌정 앨범을 뜻한다. 물론 이러한 앨범은 음악사에 길이 남거나 직간접적으로 자신의 음악역정에 영향을 미친 선배를 향한 존경의 의미가 담겨져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그를 추종하는 후배 뮤지션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진다. 트리뷰트 앨범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이 사람의 그간 행보가 뮤지션으로서 파란 싹을 가지고 있는 어떤 꼬마에게 직간접적으로 아이디어를 주고 자양분을 주어, 이 꼬마가 어른이 되어서 펼쳐나갈 음악의 모태를 형성 시켜주었다는 것을 의미이다. 그리고 그가 만든 음악이 많은 후배 뮤지션들에게 음악적으로 귀감이 되어 왔고, 이것에 대한 공감대가 후배 뮤지션들 사이에서 만장일치로 이루어졌을 때 비로서 헌정 앨범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트리뷰트 앨범의 대상이 된 인물은 뮤지션들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이 보기에도 뮤지션으로서 존경할 만한 인물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뮤지션 자신에게도 트리뷰트 앨범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은 매우 영광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표절-
표절은 저작권을 가지고 있지 못한 사람이 곡을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불법으로 베껴 쓰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창작곡에 관한 표절 기준은 과거 공연윤리 위원회에서 제시했던 기준이 다다. 공연윤리 위원회의 표절 기준은 다음과 같다.
주요 동기가 동일 내지는 흡사한 경우는 표절로 인정함
가. 주요 동기라 함은
4/4, 4/2, 6/8, 5/4 박자는 첫 2소절
2/4, 2/2, 3/8, 3/4 박자는 첫 4소절
나. 흡사하다 함은, 박자 분할이 동일하고 한 두 음의 음정만 다른 경우를
말함.
주요 동기 이외는 1항의 소절 수의 배수를 표절로 인정함
4/4, 4/2, 6/8, 5/4 박자는 첫 4소절
2/4, 2/2, 3/8, 3/4 박자는 첫 8소절
음형은 동일 내지 흡사하고 박자의 분할 배분만 변경된 것은 표절로 간주함
그나마 이러한 기준도 한국 공연 윤리 위원회가 공연예술 진흥협의회로 바뀐 이후 없어져 버렸고, 이후 표절에 관한 시비는 저작권자의 개인적인 소송에 의존하게 되었다. 사실 이러한 기준이 살아 있다 한들 제대로 된 방패막이 될 수 있었겠는가? 처음에는 일본시장이 닫혀있다는 점이나 그간 해외 음악을 쉽게 접할 수 없었던 점을 악용해 거의 번안 수준으로 곡을 베껴 쓰는 경우가 많았는데 일본문화도 개방되고 인터넷의 발달을 통해 작곡가들보다 먼저 외국음악을 듣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번안 곡 수준의 전면적인 표절은 현저히 줄었다.
하지만 표절이 자행되는 근원을 살펴보면 예나 지금이나 상황은 별반 나아진 게 없다. 표절을 하게 되는 이유의 근본은 창의력의 부재이다. 음악은 예술이며 이를 만드는 사람들은 자신이 만든 창작품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물론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는 음악을 만드는 것이 대중 음악가들의 일차적인 목표지만 그들이 하는 모든 작업은 예술이라는 대전제 아래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정성 들여 만들어 오래 회자 될 수 있는 음반을 양산하기 위해선 장사꾼이 아닌 장인이 필요하다. 리믹스 앨범이 우스운가? 기존의 있던 곡을 다시 믹싱하는 리믹스 앨범에도 분명 질의 차이와 정성의 차이와 뮤지션쉽의 차이가 존재한다. 샘플링이나 리메이크, 리바이벌 같은 작업들이 우스운가? 샘플링을 사용하거나 원곡을 리메이크 하는 데에도 분명 잘 만든 결과물과 허접한 결과물이 구분되며, 이것은 작업자가 이를 작업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반짝이는 아이디어와 음악에 관한 해박한 이해를 가지고 임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샘플링이나 리메이크 작들이 대중들에게 창작물 내지는 명반의 개념으로 인정을 받지 못하는 건(그러한 작업을 하는 데 있어서 창의적인 아이템과 재능이 필요함에도) 이것들을 창작의 경지로 끌어 올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저 남발하고 찍어내는 리메이크 앨범과 얼토당토 않은 샘플링이 범람하고 있는 이 와중에 굳이 그것들을 곱게 봐줄 동기가 없지 않은가? 갈수록 난무하는 싸구려 샘플링 작업들과 기준이 없는 표절시비는 계속해서 상황을 악화시키기만 한다. (창의력이 발휘 되지 않은 창작 곡이지만 그래도) 명확하게 표절을 하지는 않았고, 법에 걸리지 않도록 샘플의 원곡 내지는 도용한 곡의 원작도 밝혔다 치자. 하지만 이 모든 조치들이 그들을 법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는 있을지 모르겠지만, 뮤지션으로서 예술인으로서의 양심은 그 몰골이 매우 처참하고 흉악하게 일그러져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런 상태라면 표절을 하지 않은들, 표절을 하는 것이나 상황이 뭐가 다른가? 우리 나라 가요가 선진화가 되려면, 표절을 얼마나 했느냐 안 했느냐에 대한 수치를 따지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 나라에 뮤지션 쉽을 가진 딴따라가 얼마나 되느냐에 대한 고민과 반성이 근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추천자료
- MP3 저작권 문제와 국내 대중음악산업에 대한 고찰
- 서태지의 대중음악내 영향력 분석(A+레포트)
- 새로운 대중음악 CCM
- [대중음악]비틀즈 (Beatles)
- 대중음악 레포트
-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및 그에 대한 평가 완벽 고찰
-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및 그에 대한 자신의 평가[방송통신대]
- [문화선교] 『대중음악』
- 음악 표절, 도대체 왜 - GD 사건을 중심으로 분석해 본 한국 음악 제작의 환경적 요인
- [팝음악][흐름][미국][수입][대중가요][랩][민중가요계][신세대문화][팝][힙합]팝음악의 흐름...
- (가천대학교 사이버강의) <21세기 문화트렌드 읽기 학습저널> 12~14주차 (현대 미술 트렌드 ...
- 대중음악의 탄생의 정의
- 대중음악인의 예술의 전당 사용 논쟁 (가수 인순이의 예술의 전당 오페라 극장)
- (국제브랜드관리 C) 한국의 대중음악(K-Pop)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차별화하기 위해서 어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