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 습 목 적
2.실 습 내 용
3.사 용 기 자 재 및 부 품
4.이 론
5.실 습 결 과 보 고 서
6.과 제 보 고 서
2.실 습 내 용
3.사 용 기 자 재 및 부 품
4.이 론
5.실 습 결 과 보 고 서
6.과 제 보 고 서
본문내용
프에는 전압 감쇠 조절기 내 동심으로 장치되어 있고, 또 어떤 스코프는 별도의 위치에 제어 장치로 되어 있고, 어느 형이나 그 기능은 동일하다. 수직 제어는 전압 감쇠 조절기와 같이 스크린상의 수직고도를 더욱 민감하게 제어한다.
④ 시간 조절기(sec/div)
- 이것은 보통 2개의 동심원 겸용조절기로 되어 있으나 본 실험자가 사용한 계측기(오실로 스코프)에서는 2번채널 전압조절기의 오른쪽에 위치한 다이얼형식으로써 시간축(x)축을 변화시켜서 스크린상 눈금의 한 구간을 횡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다.
⑤ 수직 위치 조절기(vertical position)
- 각 채널마다 하나씩 달려 있으며 입력파형의 수직위치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⑥ 소스
- 입력 단자에 가한 입력 신호를 수직 편향 회로의 중간에 동기 회로를 부가해서 동기를 잡는 방법을 내부 동기라한다. 또 오부에서 입력 신호 그 자체 입력 신호와 시간적으로 정배수 관계가 있는 신호를 동기 회로에 가해서 동기를 잡는 방법을 외부 동기 라고 한다 통상 소스 스위치의 채널1,채널2가 내부 동기이다. 내부 동기의 경우에는 입력 신호가 수직 편향 회로의 중도에서 회귀 회로에 접속되기 때문에 낮은 전압의 입력 신호라도 적당한 전압까지 증폭되어 회귀 회로에 가해진다. 따라서 어떤 신호에 대해서도 비율을 쉽게 맞추어 동기를 잡는 것이 가능하다.
⑦ 커플링
- 이 스위치는 동기 회로의 결합 방식을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직류전압, 교류전압, 접지의 세가지가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직류에서 실험을 했고, 교류를 택하면 파형이 화면가운데를 중심으로 움직인다. 접지는 0 v 일 때 처음의 off-set 위치를 알 수 있다.
나) 함수 발생기의 원리 및 사용법
함수 발생기는 시험용 및 고장 진단용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발생된 신호를 회로의 전체 또는 일부분의 반응을 추적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그 외에, 발생된 신호가 교대로 다른 신호를 유발시켜 그 응답 파형을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한다. 신호 발생기의 조절기들은 가청 주파수 발생기의 조절기들과 유사하다.
① 개폐 스위치
- 비록 몇몇 휴대용 모델은 배터리로 동작하지만 대부분의 함수 발생기의 전원은 120v, 60㎐이다. 개폐 스위치는 함수 발생기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한다.
② 파형 조절기
- 함수 발생기는 2개 이상의 파형을 발생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파형은 사인파, 사각파 및 삼각파이다. 이밖에도 톱니파등이 있는데, 우리가 사용한 모델에서는 톱니파는 사용하지 않았다. 이 조절기는 함수 조절기라고 표시되어 있다.
③ 출력 레벨 조절기
- 출력 전압 파형의 진폭을 조절한다
④ 주파수 범위 조절기
- 가청 주파수 신호 발생기와 같이 이 함수 발생기의 전체 주파수 범위는 하나의 스위치 또는 일련의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⑤ 주파수 조절기
- 이 조절기는 주파수 범위 조절기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정확한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한다.
다) 주파수 카운터의 원리 및 사용법
시간과 주파수의 기준(시간 및 주파수는 근본적으로 똑같은 기준이다)은 실질적 변동이 없이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라디오(radio)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는 점이 독특하다. 그러므로 어려움없이 제 1기준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제 1기준은 사물의 구조와 관련되어 있고 제 1기준은 세계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복사할 수 있어서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 용이성 때문에 전자 시스템들이 이 가능성을 개발해 왔다
주파수 카운터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입력주파수를 카운터에 연결시켜 주는 방법으로 동작한다. 미지의 주파수가 카운터에 정확히 1초동안 공급되면 카운터에 나타나는 수는 정확히 입력되도록 공급하는데 사용된다는 사실로부터 유래 되었다.
5. 실습방법 및 실습순서
① 장치 사용법을 숙지한 뒤 장비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전원을 켠다.
② BNC 커넥터의 한쪽을 함수발생기의 출력단자에, 또 다른 한쪽은 오실로 스코 프의 체널1에 연결한다.
③ 오실로스코프를 작동시키기 전에 BNC 커넥터의 결선 유무를 확인한다.
④ 오실로스코프의 스위치를 GND에 위치시키고 Position 스위치를 이용해 중심 에 위치시킨다.
⑤ 함수발생기로부터 선택한 주파수의 정현파를 발생시킨다.
⑥ 주파수와 피크전압을 측정 계산한다.
⑦ 주파수와 피크전압을 측정 계산한다.
⑧ 삼각, 사각 파형도 동일한 방법으로 관찰한다.
⑨ 함수발생기 두 대를 이용하여 정현파의 주파수가 1:1, 2:1, 5:3 일 때의 리사주 파형을 관찰한다.
6. 실습결과 보고서
사용기자재 : 오실로스코프 : TDS 2000 , Tektronix
함수 발생기 , 주파수 카운터 : 종합 계측기 :Universal system
① 함수발생기로 ±5 Vpp, 1㎑를 갖는 다음의 3가지 파형을 만들고,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주파수 및 피크전압을 측정하여 아래의 표에 기록하여라.
파형
주파수
피크전압
첨두치측정
커서측정
정현파
1.000 ㎑
10.0 v
10.0 v
삼각파
1.002 ㎑
11.2 v
11.4 v
사각파
1.000 ㎑
10.4 v
10.6 v
② 아래 표에 지시된 파형을 만들어 관측하였을 때, 함수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에 대하여 손잡이의 조작단 상태를 기술하여라.
전압(Vpp)
주파수
파형
±1V
500Hz
삼각파
±20V
1KHz
정현파
0~2V
10Hz
구형파
10~11V
10KHz
삼각파
→ 일단 오실로 스코프와 함수 발생기가 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함수 발생기 AMP로 (오 실로 스코프의 진폭을 변화시킨다) 진폭(전압)을 ±1V로 조절하여 맞춘다.
→ 함수발생기의 주파수 조절 다이얼로 500㎒로 맞춘다.
→ 함수발생기의 FUNCTION 기능중 파형에 관한기능에서 삼각파를 선택한다.
→ 그러면±1V,의 500㎒ 삼각파가 만들어 진다.
→ 다음의 ±20V의 파형도 위 순서를 반복해서 하면 된다.
→ 0~2V는 오실로스코프의 상하를 움직이는 단자(VERTICAL POSITION)을 조절해서 최 하단을 0V로 맞춰놓고 함수발생기의 AMP로 파형의 진폭(전압)을 조절하면서 2V를
④ 시간 조절기(sec/div)
- 이것은 보통 2개의 동심원 겸용조절기로 되어 있으나 본 실험자가 사용한 계측기(오실로 스코프)에서는 2번채널 전압조절기의 오른쪽에 위치한 다이얼형식으로써 시간축(x)축을 변화시켜서 스크린상 눈금의 한 구간을 횡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다.
⑤ 수직 위치 조절기(vertical position)
- 각 채널마다 하나씩 달려 있으며 입력파형의 수직위치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⑥ 소스
- 입력 단자에 가한 입력 신호를 수직 편향 회로의 중간에 동기 회로를 부가해서 동기를 잡는 방법을 내부 동기라한다. 또 오부에서 입력 신호 그 자체 입력 신호와 시간적으로 정배수 관계가 있는 신호를 동기 회로에 가해서 동기를 잡는 방법을 외부 동기 라고 한다 통상 소스 스위치의 채널1,채널2가 내부 동기이다. 내부 동기의 경우에는 입력 신호가 수직 편향 회로의 중도에서 회귀 회로에 접속되기 때문에 낮은 전압의 입력 신호라도 적당한 전압까지 증폭되어 회귀 회로에 가해진다. 따라서 어떤 신호에 대해서도 비율을 쉽게 맞추어 동기를 잡는 것이 가능하다.
⑦ 커플링
- 이 스위치는 동기 회로의 결합 방식을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직류전압, 교류전압, 접지의 세가지가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직류에서 실험을 했고, 교류를 택하면 파형이 화면가운데를 중심으로 움직인다. 접지는 0 v 일 때 처음의 off-set 위치를 알 수 있다.
나) 함수 발생기의 원리 및 사용법
함수 발생기는 시험용 및 고장 진단용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발생된 신호를 회로의 전체 또는 일부분의 반응을 추적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그 외에, 발생된 신호가 교대로 다른 신호를 유발시켜 그 응답 파형을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한다. 신호 발생기의 조절기들은 가청 주파수 발생기의 조절기들과 유사하다.
① 개폐 스위치
- 비록 몇몇 휴대용 모델은 배터리로 동작하지만 대부분의 함수 발생기의 전원은 120v, 60㎐이다. 개폐 스위치는 함수 발생기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한다.
② 파형 조절기
- 함수 발생기는 2개 이상의 파형을 발생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파형은 사인파, 사각파 및 삼각파이다. 이밖에도 톱니파등이 있는데, 우리가 사용한 모델에서는 톱니파는 사용하지 않았다. 이 조절기는 함수 조절기라고 표시되어 있다.
③ 출력 레벨 조절기
- 출력 전압 파형의 진폭을 조절한다
④ 주파수 범위 조절기
- 가청 주파수 신호 발생기와 같이 이 함수 발생기의 전체 주파수 범위는 하나의 스위치 또는 일련의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⑤ 주파수 조절기
- 이 조절기는 주파수 범위 조절기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정확한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한다.
다) 주파수 카운터의 원리 및 사용법
시간과 주파수의 기준(시간 및 주파수는 근본적으로 똑같은 기준이다)은 실질적 변동이 없이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라디오(radio)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는 점이 독특하다. 그러므로 어려움없이 제 1기준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제 1기준은 사물의 구조와 관련되어 있고 제 1기준은 세계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복사할 수 있어서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 용이성 때문에 전자 시스템들이 이 가능성을 개발해 왔다
주파수 카운터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입력주파수를 카운터에 연결시켜 주는 방법으로 동작한다. 미지의 주파수가 카운터에 정확히 1초동안 공급되면 카운터에 나타나는 수는 정확히 입력되도록 공급하는데 사용된다는 사실로부터 유래 되었다.
5. 실습방법 및 실습순서
① 장치 사용법을 숙지한 뒤 장비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전원을 켠다.
② BNC 커넥터의 한쪽을 함수발생기의 출력단자에, 또 다른 한쪽은 오실로 스코 프의 체널1에 연결한다.
③ 오실로스코프를 작동시키기 전에 BNC 커넥터의 결선 유무를 확인한다.
④ 오실로스코프의 스위치를 GND에 위치시키고 Position 스위치를 이용해 중심 에 위치시킨다.
⑤ 함수발생기로부터 선택한 주파수의 정현파를 발생시킨다.
⑥ 주파수와 피크전압을 측정 계산한다.
⑦ 주파수와 피크전압을 측정 계산한다.
⑧ 삼각, 사각 파형도 동일한 방법으로 관찰한다.
⑨ 함수발생기 두 대를 이용하여 정현파의 주파수가 1:1, 2:1, 5:3 일 때의 리사주 파형을 관찰한다.
6. 실습결과 보고서
사용기자재 : 오실로스코프 : TDS 2000 , Tektronix
함수 발생기 , 주파수 카운터 : 종합 계측기 :Universal system
① 함수발생기로 ±5 Vpp, 1㎑를 갖는 다음의 3가지 파형을 만들고,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주파수 및 피크전압을 측정하여 아래의 표에 기록하여라.
파형
주파수
피크전압
첨두치측정
커서측정
정현파
1.000 ㎑
10.0 v
10.0 v
삼각파
1.002 ㎑
11.2 v
11.4 v
사각파
1.000 ㎑
10.4 v
10.6 v
② 아래 표에 지시된 파형을 만들어 관측하였을 때, 함수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에 대하여 손잡이의 조작단 상태를 기술하여라.
전압(Vpp)
주파수
파형
±1V
500Hz
삼각파
±20V
1KHz
정현파
0~2V
10Hz
구형파
10~11V
10KHz
삼각파
→ 일단 오실로 스코프와 함수 발생기가 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함수 발생기 AMP로 (오 실로 스코프의 진폭을 변화시킨다) 진폭(전압)을 ±1V로 조절하여 맞춘다.
→ 함수발생기의 주파수 조절 다이얼로 500㎒로 맞춘다.
→ 함수발생기의 FUNCTION 기능중 파형에 관한기능에서 삼각파를 선택한다.
→ 그러면±1V,의 500㎒ 삼각파가 만들어 진다.
→ 다음의 ±20V의 파형도 위 순서를 반복해서 하면 된다.
→ 0~2V는 오실로스코프의 상하를 움직이는 단자(VERTICAL POSITION)을 조절해서 최 하단을 0V로 맞춰놓고 함수발생기의 AMP로 파형의 진폭(전압)을 조절하면서 2V를
추천자료
음파의 성질
다이오드 정류회로
교류 회로 예비 리포트
[전자회로실험] 직렬 및 병렬 공진 회로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물리실험] 음파의 성질 측정 실험 - 공명현상 이해, 음파의 파장과 속도 측정 - (예비+결과...
labview와 daq보드이용한 rlc미터 설계
미분기 적분기에 대한 결과레포트
R L C 직렬공진회로
커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 R-L, R-C 결과보고서
[아주대 기계 공학 실험] 멀티미터기 실습
커패시터의 이해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미분기, 적분기 실험 프레젠테이션 (연산 증폭기와 미분기, 적분기, 파...
기초 회로 실험보고서 - 정편파(Sine Wave)의 측정
트렌지스터 스위칭 회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