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2) 화학비료(化學肥料)
1. 질소질 비료의 형태와 성질
2. 인 비료의 형태와 성질
3. 카리비료의 형태와 성질
2) 화학비료(化學肥料)
1. 질소질 비료의 형태와 성질
2. 인 비료의 형태와 성질
3. 카리비료의 형태와 성질
본문내용
도 염려가 되기 때문에 미리 별도의 장소에서 유박(油粕)에 조금씩 물을 가해서 발효·건조 시켜 놓으면 기비(基肥)·추비(追肥)로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1) 유박(油粕)과 어박(魚粕)
원예용으로 사용되는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의 대표선수이다.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대체로 질소 5%, 인산 2%, 카리 1%정도 이다. 이중 카리만은 비교적 물에 녹기 쉬운 형으로 되어 있으나 질소와 인산은 식물에 흡수되기 위해서는 물에 녹는 형태로 분해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을 분해하는 것은 곰팡이나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이다. 이러한 미생물은 토양 1g 중에 수천만개나 있다. 미생물이 활동하기에는 적당한 수분과 온도가 필요하다. 건조한 상태로는 미생물이 활동할 수 없으니까 유박(油粕)은 분해되지 않는다. 또한 온도가 낮은 겨울철(冬季)에도 유박의 효과는 현저하게 낮아진다.
유박(油粕)의 시여방법은 여러 종류가 있다. 치비(置肥)는 화분의 한 귀퉁이에 덩어리로 해서 놓는 방법으로 이렇게 주는 경우 유박이 언제나 건조한 상태로 있다면 비효(肥效)는 훨씬 늦어진다. 유박을 토양과 잘 혼합해서 줄 경우 온도와 수분이 적당하다면 속효성(速效性)의 화학비료와 같을 정도로 빠른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유박은 액비(液肥)로 해서 시여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1.8ℓ의 유박과 동량(同量)의 물을 물동이등에 넣고 휘저어 섞고 덮개를 해서 발효분해(醱酵分解)시켜 놓고 그 상등액(上燈液)을 5-6배로 희석해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효과가 늦은 유박이 속효성(速效性)의 비료로 변화한다. 이 경우 너무 지나치게 주면 뿌리
(1) 유박(油粕)과 어박(魚粕)
원예용으로 사용되는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의 대표선수이다.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대체로 질소 5%, 인산 2%, 카리 1%정도 이다. 이중 카리만은 비교적 물에 녹기 쉬운 형으로 되어 있으나 질소와 인산은 식물에 흡수되기 위해서는 물에 녹는 형태로 분해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을 분해하는 것은 곰팡이나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이다. 이러한 미생물은 토양 1g 중에 수천만개나 있다. 미생물이 활동하기에는 적당한 수분과 온도가 필요하다. 건조한 상태로는 미생물이 활동할 수 없으니까 유박(油粕)은 분해되지 않는다. 또한 온도가 낮은 겨울철(冬季)에도 유박의 효과는 현저하게 낮아진다.
유박(油粕)의 시여방법은 여러 종류가 있다. 치비(置肥)는 화분의 한 귀퉁이에 덩어리로 해서 놓는 방법으로 이렇게 주는 경우 유박이 언제나 건조한 상태로 있다면 비효(肥效)는 훨씬 늦어진다. 유박을 토양과 잘 혼합해서 줄 경우 온도와 수분이 적당하다면 속효성(速效性)의 화학비료와 같을 정도로 빠른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유박은 액비(液肥)로 해서 시여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1.8ℓ의 유박과 동량(同量)의 물을 물동이등에 넣고 휘저어 섞고 덮개를 해서 발효분해(醱酵分解)시켜 놓고 그 상등액(上燈液)을 5-6배로 희석해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효과가 늦은 유박이 속효성(速效性)의 비료로 변화한다. 이 경우 너무 지나치게 주면 뿌리
추천자료
가이아속의 인간
우리나라의 농업 발달사
농업에 대하여
[재활용][재활용산업][폐기물][쓰레기]재활용(재활용산업)의 발달, 재활용(재활용산업)의 영...
FTA 소고기 협상의 경쟁력 강화 방안(소비자 신뢰구축을 위한 친환경축산 동향)
유기성폐기물자원화
식량문제-인간과 식량
세가지 문제에대한 각각의 현실및 대비책
대한민국 건국과 발전
8 T-N 분석
도시행정 환경문제 - 폐기물로 이에 우리는 음식물 쓰레기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 처리방...
식용작물학, E형 : 콩의 용도별 특성을 비교하고 최근 육성된 품종의 특성을 조사 하시오.
식물의 병충해 피해
(생물과학 공통) 우리나라에서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현황과 이들 농법이 자연생태계에 미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