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주의 문화관에 입각한 현대 크리스챤 생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칼빈주의 문화관에 입각한 현대 크리스챤 생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2. 연구방법과 범위

제 2 장 일반적인 문화와 기독교 문화
1. 문화에 대한 일반적 관점
2. 문화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제 3장 칼빈주의 문화관
1. 칼빈주의의 이해
2. 칼빈주의 문화관

제 4 장 현대 크리스챤의 문화생활
1. 문화에 대한 현대 크리스챤의 태도
2. 현대 크리스챤과 문화와의 관계
3. 기독교 문화의 선교적 접근

제 5 장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r Peoples, ed R. Pierce Beaver, South Pasadena: William Carey Library, 1973. p.13.
바니는 문화란 일련의 계층이라고 했다. 그것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유래한 두 번째 층은 가치관의 층이고, 세 번째 층은 결혼, 법률, 교육과 같은 제도의 층이다. 이러한 층들은 모두가 삶의 구도인 문화인 것이다. 삶의 한쪽 구석에 있는 문화라면 인간의 활동의 영향은 주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문화란 인간의 활동이다라고 볼 때 창조와 관련이 있다. 만일 인간이 창조되지 않았다면 문화라는 것도 없었을 것이다. 이렇게 문화란 인간이 만드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문화란 자연을 인간의 목적에 따라 변형하는 것이다.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시대로 변형되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정신과 손을 통한 활동의 결과와 관계된다. 그리하여 결국은 공동체, 수송, 법과 질서, 여가, 그 밖의 인위적인 표현 등으로 성격 지워지는 사회적 단위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문화는 고귀한 면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어두운 면도 가지고 있다. 산업화가 되고 경제적 빈곤의 격차가 심화될 때 인간의 세계는 폭력, 살인, 탐욕, 부패, 전쟁, 살인 등 불미스러운 삶 전체 역시 인간의 불미스러운 인간의 활동이고 문화로 표현되는 것이다.
변화가 없고 변화가 있는 문화는 주체로서의 인간의 역할이 크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기독교인은 문화에 대하여 전혀 외면하거나 책임을 회피해서는 안된다. 창세기 1-11장에 있는 인간의 창조기사와 태고의 역사에 관한 진술에서부터 인간에게는 문화적 책임, 타락이 인간의 문화사역에 미치는 영향, 문명과 문화의 시작, 인간의 부패와 그 문화의 파괴, 그리고 인간의 문화적 책임의 갱신들이다. 인간을 이해하지 않고는 인간의 문화는 전환되지 않는다. 암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은 너무도 분명하다고 말한다.
2. 문화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1) 교회문화의 정의
문화란 신앙(하나님, 실체, 2혹은 궁극적 의미), 가치(진리, 선, 규범), 관습과 제도의 통합된 체계로서, 제도는 이들 신앙과 가치와 습관을 표현하며, 이들은 또한 하나의 사회를 묶어 주며, 사회에 신분, 위엄, 안전과 연속성을 제공한다. 전호진, 선교학, 서울: 개혁주의 신행협회, 1993. p.45.
또한 사람이 자신의 세계를 구성, 해석하며 또한 이 세계에 적응하는 일련의 법칙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란 세계를 의미있게 이해하고, 그 속에서 의미있게 생활하도록 해주는, 손으로는 만질 수는 없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삶의 지침인 것이다. 따라서 문화란 인간이 다르고, 인간이 처한 상황이 다르듯이 다양할 수밖에 없으며, 그 문화를 통해 인간은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고, 의미있게 만든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란 하나님이 우리 모든 인간에게 원천적으로 부여해 주신 공통적인 진리의 영역은 될 수 없으며, 인간에 의해서 고안된 상황적 산물임을 우리는 깨닫게 된다. 정병관, 차세대 선교를 위한 교회공동체 문화를 재점검한다, 목회와신학, Vol.74, 7-9. 1995. p.102.
각 교회는 획일적 교회문화를 가질 수 없으며, 각 교회들은 나름대로의 필요와 상황과 구성원들의 특성과 성격에 따라 각기 다양한 공동체 문화를 가지게 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공동체에 속한 구성원들로 하여금 저들이 처한 각기 독특한 상황 속에서 자신들의 신앙적 삶을 보다 의미있게 만든다.
기독교인은 자신의 일상적인 삶과 부딪히면서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관과 행동을 구성한다. 기독교인이 된다는 것은 한순간에 되는 것이 아니라 일생동안 어떻게 전체 자아가 기독교적 이야기의 영향 하에서 그의 기본적 정체성, 결정적인 내용 그리고 지배적인 성향을 획득하게 되는 가에 관계된다. 원리적으로 바른 기독교적 세계관을 교리나 신학적 입장과 무관하게 동일한 하나님의 말씀과 말씀에 대한 성령의 조명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공유한다. 성경은 일관성 있게 우주의 궁극적 실재는 하나님이라고 말한다. 양승훈, 「기독교적 세계관」, p.47.
넬슨(Ellis Nelson)은 다른 사람에게 전수되는 삶의 의미로 문화를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신앙은 문화를 통하여 전달해야함을 주장한다. 그는 문화는 지속되는 실재이고, 자아를 형성하고, 개인을 가르치고, 사회의 목적과 방법을 규정하기 때문에 기독교교육에서 문화를 구체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문화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문화에 대한 입장과 대응방식, 수용방식 등의 범위와 한계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기독교에서 문화의 수용에 앞서 문화를 바라보는 일관된 관점을 가지는 것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기독교 문화라고 하는 것은 기독교가 기본이 되고 기준이 되는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라고 먼저 정의한다. 이것은 세계관이다. 세계관은 어떤 특정한 사회에서 한 개인이 자기 주변의 모든 것들과 관련하여 자기 자신을 보는 방법이라고 레드필드는 정의하고 있다. 양승훈, 「기독교적 세계관」, (서울;CUP, 1999), p.40.
2) 니버의 문화관
니버는 문화를 보는 다섯 가지 관점을 제시한다. 첫 번째 관점은 문화에 대립하는 그리스도로 이 관점은 그리스도인들이 물질적으로 또는 사회규범을 거부함으로써 이방사회의 관습과 제도를 전적으로 포기하고 철폐할 것을 요구하는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은 양자택일을 강요하며 세상을 포기하고 거기서 나와 스스로 갈라서라는 주장으로 현대 금욕주의 기독교인의 유형이다.
두 번째 관점은 문화의 그리스도로 이 관점은 교회와 사회의 가치관 사이에 근본적인 일치가 존재한다고 본다. 그리스도는 인간 문화사상 가장 위대한 스승이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문화 개신교주의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교회가 문화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곳 어디서나 나타난다.
세 번째 관점은 문화 위의 그리스도이다. 기독교는 문화를 훨씬 더 높은 단계로 성취하고, 문화는 사람들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한다. 그러나 그리스도는 인간이 여러 가지 재능으로도 사회를 더욱 높은 성취의 수준으로 끌어올리지 못하는 상황을 만나게 될 때 그 상황에 개입하신다.
네 번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03.30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6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