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폴리에틸렌수지(Polyethylene resin)
2.폴리프로필렌수지(Polyproplene resin)
3.포리에스테르수지(Polystyrene resin)
4. 폴리에틸렌
5. 폴리아미드(나이론)수지
6.아크릴수지(acrylic resin)
7.염화비닐수지
8.셀룰로이드수지
9. 열경화성수지
10. 기 타
2.폴리프로필렌수지(Polyproplene resin)
3.포리에스테르수지(Polystyrene resin)
4. 폴리에틸렌
5. 폴리아미드(나이론)수지
6.아크릴수지(acrylic resin)
7.염화비닐수지
8.셀룰로이드수지
9. 열경화성수지
10. 기 타
본문내용
용할 수 있다. ② 가소물이나 금속을 성형(成型)할 때 이형제(離型劑)로 쓸 수 있을 정도로 피복력(被覆力)이 양호하다. ③ 대부분의 용제(溶劑)에서 거품을 없애는 작용이 크다. ④ 무기물 ·유기물에 발수성(撥水性:물을 튀기는 성질)을 준다. ⑤ 생리적으로 무해하므로 화장품이나 약품으로 쓸 수 있다. ⑥ 전기절연성이 좋다. 유기기(有機基)가 메틸기일 때 내열성이 최고이며, 다른 알킬기나 알릴기로 치환한 것은 기계적 강도는 크나 전기적 성능은 다소 떨어진다. 실리콘수지는 고온용 모터 등의 여러 부분에 쓰이며, 180℃에서 20년간 사용해도 견딘다. 유리포(布)에 침투시켜 경화한 것은 내고온성 절연재료로서 전기기구에 쓰이고, 가열로 ·연소장치 ·항공기 ·모터 등의 도료로도 사용된다. 접착제로서의 이용법도 개발되고 있다.
6.에포시수지(epoxy resin)
에폭시수지를 생성하는 반응에 관해서는 이미 19세기 말에 알려져 있었으나, 실용화를 위한 연구는 1930년경 미국에서 착수되어 46년경부터 제품이 시판(市販)되었다. 비스페놀 A[2,2-비스(4'-옥시페놀)프로판]와 에피클로르히드린을 수산화나트륨의 존재하에서 작용시키면 분자량 300~4,000의 제1차 수지(프레폴리머)가 생긴다. 제1차 수지는 원료의 배합조건에 따라 기름 모양의 것에서 연화점(軟化點) 160 ℃ 가까운 고체 모양의 것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후일의 용도에 따라 반응조건을 선택한다. 제1차 수지에 m-페닐렌디아민 등 아민, 프탈산 무수물 등 산(이들을 경화제라고 한다)을 첨가하면 에폭시기의 고리열림[開環] 및 히드록시기와의 반응이 일어나 다리결합이 이루어져 경화제의 종류나 반응조건에 따라 각각 성질이 다른 수지가 생긴다.
에폭시수지는 비중 1.230~1.189이며, 굽힘강도 ·굳기[硬度] 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경화시에 휘발성 물질의 발생 및 부피의 수축이 없고, 경화할 때는 재료면에 큰 접착력을 가진다. 가연성(可燃性) ·내약품성이 크지만 강한 산과 강한 염기에는 약간 침식된다. 안료(顔料)를 첨가함으로써 마음대로 착색할 수 있고, 또 내일광성(耐日光性)도 크다. 제품의 최고 사용온도는 80 ℃ 정도로 낮다. 주형(注型) ·매입(埋) ·봉입(封入) 등 뛰어난 가공성을 보인다. 이상과 같은 성능을 이용하여 접착제(금속과 금속의 접합에 가장 알맞다) ·도료 ·라이닝 재료 ·주형품 재료 ·적층판(積層板) ·염화비닐수지의 안정제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최근에는 종래의 제품이 내열성(耐熱性)에서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고리모양 디에폭시수지를 개발하고, 내열성을 180 ℃ 전후까지 높이는 데 성공하였다
7.우레탄수지(urethane resin)
인조 고무의 한 가지. 기름에 녹지 않고 마멸도가 적어 접착제나 방음제로 쓰인다
에탄올(에틸알코올)과 요소를 가열하거나, 탄산디에틸 또는 클로로탄산에틸에 암모니아를 작용시켜 만든다. 물·알코올·클로로포름에 쉽게 녹으며, 에테르에도 녹을 수 있다. 최면작용이 있으나, 세포분열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항종양제로 쓰이고 있다.
6.에포시수지(epoxy resin)
에폭시수지를 생성하는 반응에 관해서는 이미 19세기 말에 알려져 있었으나, 실용화를 위한 연구는 1930년경 미국에서 착수되어 46년경부터 제품이 시판(市販)되었다. 비스페놀 A[2,2-비스(4'-옥시페놀)프로판]와 에피클로르히드린을 수산화나트륨의 존재하에서 작용시키면 분자량 300~4,000의 제1차 수지(프레폴리머)가 생긴다. 제1차 수지는 원료의 배합조건에 따라 기름 모양의 것에서 연화점(軟化點) 160 ℃ 가까운 고체 모양의 것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후일의 용도에 따라 반응조건을 선택한다. 제1차 수지에 m-페닐렌디아민 등 아민, 프탈산 무수물 등 산(이들을 경화제라고 한다)을 첨가하면 에폭시기의 고리열림[開環] 및 히드록시기와의 반응이 일어나 다리결합이 이루어져 경화제의 종류나 반응조건에 따라 각각 성질이 다른 수지가 생긴다.
에폭시수지는 비중 1.230~1.189이며, 굽힘강도 ·굳기[硬度] 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경화시에 휘발성 물질의 발생 및 부피의 수축이 없고, 경화할 때는 재료면에 큰 접착력을 가진다. 가연성(可燃性) ·내약품성이 크지만 강한 산과 강한 염기에는 약간 침식된다. 안료(顔料)를 첨가함으로써 마음대로 착색할 수 있고, 또 내일광성(耐日光性)도 크다. 제품의 최고 사용온도는 80 ℃ 정도로 낮다. 주형(注型) ·매입(埋) ·봉입(封入) 등 뛰어난 가공성을 보인다. 이상과 같은 성능을 이용하여 접착제(금속과 금속의 접합에 가장 알맞다) ·도료 ·라이닝 재료 ·주형품 재료 ·적층판(積層板) ·염화비닐수지의 안정제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최근에는 종래의 제품이 내열성(耐熱性)에서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고리모양 디에폭시수지를 개발하고, 내열성을 180 ℃ 전후까지 높이는 데 성공하였다
7.우레탄수지(urethane resin)
인조 고무의 한 가지. 기름에 녹지 않고 마멸도가 적어 접착제나 방음제로 쓰인다
에탄올(에틸알코올)과 요소를 가열하거나, 탄산디에틸 또는 클로로탄산에틸에 암모니아를 작용시켜 만든다. 물·알코올·클로로포름에 쉽게 녹으며, 에테르에도 녹을 수 있다. 최면작용이 있으나, 세포분열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항종양제로 쓰이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