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강독) 최서해 작품에 나타난 신경향파적 특징과 1920년대 후반 프로소설의 주요 특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문학강독) 최서해 작품에 나타난 신경향파적 특징과 1920년대 후반 프로소설의 주요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카프의 성립배경
1. 사회적 배경
2. 프로문학과 카프의 성립
(1) 프로문학
(2) <카프>의 결성

Ⅱ. 카프의 변천과정
1. 카프의 결성과 초기 프로문학
(1) 총론
(2) 작품 분석
1) 최서해 「탈출기」
2) 최서해 「홍염」
3) 이기영 「민촌」
2. 프로문학 시대
(1). 사회적 배경
(2). 문학적 특징
(3). 작품 분석
1) 조명희 「낙동강」
2) 이기영 「원보」
3) 한설야 「과도기」
3. 볼셰비키 문예운동
4. 1933년 이후의 카프
(1) 카프의 해체
(2) 사회주의 리얼리즘 논쟁
(3) 작가 및 작품 분석
1) 이기영
가. 서화
나. 고향
2) 강경애
(4) 결론

Ⅲ. 프로문학의 의의
1. 신경향파의 문학적 의의
2. 창작방법론에 대한 논쟁
3. 카프의 발전과 더불어 반되되는 문학의 발전
4. 농민 계급의 계급적 투쟁과 함께 농민에 의한 현실개혁을 나타냄

본문내용

933년 이후의 카프를 나쁘게 평가하자면 카프의 와해기라고 할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그 전까지 여러 과정을 밟으며 카프가 하나의 조직으로서 그 목적과 방향을 갖추기 시작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 구성원들 사이에서 논쟁이 끊이지 않으면서 분열의 조짐을 보였으며, 끝내 외압까지 겹쳐 해산에까지 이르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시기를 좀더 넓은 시각에서 살펴본다면, 이 시기에 이루어 낸 긍정적인 성과들을 부정할 수는 없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프로문학이 지나치게 정치 편향주의로 흐르는 것을 막고, 진정한 리얼리즘에 이르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여한, ‘창작방법 논쟁’이 바로 이 시기에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 논쟁은 그저 공허한 말 탁상공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들이 실제로 작품을 창작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실질적인 문제에 관한 논의였으므로, 이 논쟁이 가져온 효과는 더욱 크다고 하겠다.
이 시기의 작가들이 이러한 논의의 과정들을 통해 얻어낸 창작 방법은 실제로 작품을 창작하는 데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작품에 반영하게 된다. 특히, 이기영은 『서화』를 통해, 처음으로 목적의식이 노골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으면서도 현실의 문제를 여실히 반영하려는 이러한 창작방법에의 길을 열고 그 뒤를 이은 고향에서는 진정한 의미에서 개별화와 일반화의 통일인 인물의 전형화를 이룩해 내면서 그 이후의『고향』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가 일정 사회 계급적 및 계층적 집단을 대표하고 있으면서도 결코 앞선 목적의식기의 작품들에서처럼 계급적 상징으로 떨어져 단순화되지 않는다. 모든 인물들이 다양한 성격적 특성을 소유한 개성적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특정사회 계급적 및 계층적 집단에 속해 있으며 그들의 모든 개성적이며 고유한 것은 사회계급적 및 계층적 집단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이러한 인물들은 비슷한 시기의 강경애의 『인간문제 』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결국 카프는 종말을 맞았지만, 카프 구성원들이 보여준 문학에서의 현실을 어떻게 객관적으로 반영할 것인가 하는 내용과 방법문제에 대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해 준 셈이다. 즉, 이 시기는 후대의 문학 창작 방법에 커다란 전환점이 된 그러한 중요한 시기라고 평가 할 수 있다.
Ⅲ. 프로문학의 의의
1. 신경향파의 문학적 의의
전대의 신경항파 문학은 이념적으로는 유물변증법에 대한 과학적 인식의 미흡으로 인한 민중주의적 편향, 미학적으로는 기계적 결정론과 진보적 낭만주의의 병렬적 결합이라는 절충주의적 한계로 인해 온전한 의미에서의 프로문학은 되지 못했다. 그러나 신경항파문학은 민족문학의 주도권을 프로문학측으로 가져오게 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민중연대성이 민족 문학진영의 이념적 원리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혀냄으로써 신경향파문학은 민중 주체의 변혁운동시대에 민족문학이 나아갈 방향을 명확히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신경향파 문학의 이러한 진보적 유산을 계승하는 동시에 그 민중주의적 한계를 극복하여 당파성에 입각한 프로문학을 건설하는 것이 문학운동의 방향전환에 부연된 과제였다. 방향전환논쟁대중화논쟁창작방법논쟁등은 바로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프로문학 내부의 이론투쟁이었다. 이러한 논쟁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이론적 성과는 당파성이 프로문학의 근본원리라는 점이었다. 이른바 ‘ 프롤레타리아 전위의 관점’으로 수렴되는 당파성론의 발전과정은 무엇보다 프로문학의 독자적인 이념원리를 밝혀내고 그것을 프로문학의 모든 실천활동에 관철시키려 했다는 점에서 비평사적 의의가 실로 크다고 할 수 있다.
2. 창작방법론에 대한 논쟁
프로문학의 미학적 원리가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다는 점에서 창작방법에 대한 탐구는 자연히 올바른 리얼리즘론에 대한 탐구로 이어졌고, 그 중에서도 부르주아 리얼리즘과 구별되는 프로문학만의 독자적인 리얼리즘론을 정립하기 위한 이론적 모색이 주류를 이루었다. 즉 김기진의 변증적 사질주의- 임화의 사회적 사실주의-안막의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 한설야의 변증법적 사실주의로 이어지는 리얼리즘 창박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성과들은 바로 브르주아 리얼리즘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롭고도 완전한 리얼리즘의 원리와 본질을 밝혀내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었던 것이다.
3. 카프의 발전과 더불어 반대되는 문학의 발전
카프의 발전은 그와 더불어 이론적으로 대립되는 많은 학문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민족문학파와 해외문학파의 성립이다.
4. 농민계층의 계급적 투쟁과 함께 농민에 의한 현실개혁을 나타냄
카프 이전의 소설 속 주인공은 주로 새로운 것을 받아들인 지식인들이었다. 그러나 카프계열의 소설들은 사회를 개혁해 나가는 것은 농민들이라 하였다. 이로 인해 2차 방향 전환 이후에는 농민 소설이 많았고 그 대표적인 작품이 이기영의 「고향」이다.
參 考 文 獻
김상선, 『민촌 이기영 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9.
김재남, 『김남천 문학론』, 태학사, 1991.
김재용, 『이기영 선집 12 - 서화 : 해설편』, 풀빛출판사, 1992.
김재용 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2003.
문학과사상연구회, 『20세기 한국문학의 반성과 쟁점』, 소명출판, 1999.
문학사와 비평학회, 『최서해 문학의 재조명』, 국학자료원, 2002.
민병기신춘호한승옥, 『현대작가 작품론』, 집문당, 1998.
신춘호,『최서해』,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유종윤, 『한설야 <과도기>를 통한 리얼리즘 비판』, 새한출판, 1995.
이기영, 『한국소설문학대계 10. 이기영』, 동아출판사, 1995.
이기영, 『이기영 선집 1-故鄕』, 풀빛. 1989.
임규찬한기형, 『카프비평자료총서』3, 태학사, 1989.
임규찬한기형 편,『프로문학의 성립과 신경향파』, 태학사, 1989.
임규찬, 『카프 해산기의 동향과 쟁점』, 태학사, 1990.
임규찬, 『카프 해산기의 창작 방법 논쟁』, 태학사, 1990.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권2』, 시공사, 2000.
정덕준 편저, 작가론총서11『조명희』, 새미, 1999.
조남현, 『이기영 : 이야기꾼리얼리즘이데올로그』, 건국대학교출판부, 2002.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05.04.06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