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TV광고의 역사
※ 우리나라의 TV광고
Ⅱ.TV광고의 종류와 특성
1.TV편성에 대한 이해
2.TV광고의 종류
3.TV광고의 특성
Ⅲ.TV광고 사례
1.매체의 특성에 따른 효과
2.TV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체크 사항
3. TV광고 표현 방식
Ⅳ.TV광고의 미래와 전망
※ 우리나라의 TV광고
Ⅱ.TV광고의 종류와 특성
1.TV편성에 대한 이해
2.TV광고의 종류
3.TV광고의 특성
Ⅲ.TV광고 사례
1.매체의 특성에 따른 효과
2.TV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체크 사항
3. TV광고 표현 방식
Ⅳ.TV광고의 미래와 전망
본문내용
었다. 1980년 11월 컬러 TV방송과 함께 TV는 생생한 컬러 영상과 현장감 있는 음향으로 가장 대중적인 매체로 전파 매체의 확고한 위치를 굳혀 가고 있다
현재, 우리 나라 방송광고가 가능한 전 매체의 영업 및 집행과 관한 모든 업무(단,케이블 TV제외)는 1981년 특수법인으로 설립된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가 담당하고 있다.
참고)
라디오보다 앞섰던 TV 광고
우리나라 최초의 라디오 방송은 1927년 경성방송국에서 시작되었고, TV 방송은 1956년에 시작되었다. TV보다 라디오가 방송을 먼저 시작했으니 당연히 라디오 광고방송이 먼저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우리나라에서는 TV 광고가 먼저 시작되었다. 1956년 미국 RCA사의 한국 지사에서 HLKZ-TV란 이름으로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그때 등장한 영창산업의 깨지지 않는 레코드라는 광고방송이 우리나라 최초의 TV 광고이자 최초의 광고다. 이후 1961년 12월 KBS-TV가 설립되고 1963년 1월부터 본격적인 텔레비전 광고 시대가 열렸다. 라디오는 TV보다 3년 뒤인 1959년 상업방송인 부산 문화방송의 설립을 계기로 광고방송이 시작되었다
Ⅱ.TV광고의 종류와 특성
1.TV편성에 대한 이해
=>TV의 어떤 프로그램, 어떤 시간대에 광고를 할 것인가를 결정
시급
방송사의 편성표를 보면 각 요일별로 시간대별 방송 프로그램명과 광고단가(대부분 15초 기준)가 표시되어 있다. 또 시간대는 다시 시청률에 따라 SA,A,B,C 등 4개 시급으로 구 분된다. (단 EBS SA시급이 없으며, A,B,C 시급으로 구성됨)대개 저녁 7시에서 11시사이 가 SA로 일반적으로 SA시급이 시청률이 가장 높아 광고단가도 높게 책정되어 있으며, C 시급이 변두리 시간대로서 시청률이 낮아 광고단가도 가장 낮다.
예시) 아침드라마인 경우 15초 1회 광고단가가 3,690,000원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광고주 가 아침드라마에 15초 CM을 주 1회씩 4회(4주) 방영할 경우 3,690,000*4로 14,760,000원을 지불하게 된다.
참고)
TV방송국의 광고 요금은 시급과 광고지역에 따라서 차등을 두고 있다.
TV의 어떤 프로그램, 어떤 시간대에 광고를 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에는 예상효과를 판 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많이 활용되는 것이 시청률과 시청점유율이다. 시청률은 주 어진 시간대에 얼마나 많은 사람(또는 가정)이 특정 방송을 시청하였는가를 백분율로 나타낸 개념들이다. 총 TV 시청가구수 중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한 가구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은 시청점유율이다.
2.TV광고의 종류
TV방송광고의 종류는 프로그램광고, SPOT(토막)광고, 특집광고, 연간스포츠광고, 자막광고(곧이어,국명 고지) ,시보광고, 협찬광고 등이 있다. 광고종류는 각 유형별로 시간 유형이 다르며 제한규정이 있다.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TV광고 종류별 순서를 살펴보고 각 유형별로 정의해 보았다.
프로그램 전후에 방송되는 광고
‘광고주가 프로그램의 스폰서로 참여하여 그 프로그램 전후에 수행하는 광고’
-1.프로그램 광고(정기 프로그램)
보통15초 단위로 집행되며(5~60초까지 다양), CM(Commercial Message:CF(Commercial Film)라고도 함)이 방영 될 때 마다 화면 우측 상단에 해당 프로그램명이 표시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방송법 규정상 프로그램 방송 중간에 광고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프로그램 시작 직전과 프로그램 종료후 엔딩 자막이 나가기 전에 집행되는 광고가 프로그램 광고이다. 프로그램 광고는 방송법 규정상 방송순서 시간의 10/100 이내에서 가능하다. 즉 .프로그램 방송분수가 60분인 경우 프로그램 광고는 6분이상 집행할 수 없다. (광고개수 기준으로 15초 CM 24개 이내에서 가능)
*특징
1)광고주 신용 제고에 대한 고정 시청층 획득
2)프로그램 진행 도중의 광고 삽입 가능성(단, 중간광고가 허용 될 때)
3)제종상품의 동시광고 가능
4)정기적 광고
5)높은 광고비에 비해 요금 효율성이 가장 큼
-2.특집광고
정규프로그램이 아닌 비정규프로그램으로 편성된 특집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광고로 15초,20초,30초 단위로 집행되며 제한 규정은 프로그램광고에 준한다.
-3.연간 스포츠 광고
비정기적으로 편성되는 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광고를 연간 단위(3월~익년 2월)로 계약,판매하는 광고이다. 특히 연간스포츠 광고는 방송광고 기본 계약에 따라 연간 금액을 책정하고 매월 일정 금액(연간금액÷12개월)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단,MBC-TV는 2001년 3월부터 당월 실방송액 기준으로 정산).따라서 1년 단위로 집행실적에 대한 정산을 실시하게 되며 계약금보다 적게 방송되는 경우에는 환불하게 되고 초과 방송시에는 서비스 차원에서 초과 방송분에 대한 광고비는 별도로 청구하지 아니한다.
=>프로그램의 앞뒤에 삽입되는 광고로서 스폰서가 일정한 시간을 사가지고 그 시간의 프로그램 내용을 시청자들에게 흥미롭게 제공하여 심리적 호감을 갖게 하며, 광고 내용을 덧붙이는 것이다. 또한, 스폰서가 자기가 원하는 어떤 층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분위기와 조화되는 광고를 적절하게 삽입할 수 있다.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에 방송되는 광고
-1.SPOT(토막)광고
SB(station break)라고도 불린다. SPOT광고는 시간마다 2회 이내 매회 4건까지 가능하고 90초간 방송되는데, 보통 30초 CM 1개, 20초 CM 3개가 집행된다. SPOT광고는 시급과 방송권역에 따라 요금이 결정된다. 즉 프로그램 광고와는 달리 시급과 방송권역이 동일하면 집행되는 시간대에 관계없이 광고단가가 동일하다.
*특성
-주변에 편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시청률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지 않는다.
1) 프로그램과는 관계없이 일건 15초로 제한
2) 광고비가 적게 듦
3) 소기업체를 가진 스폰서들에게 인기
4) 불특정 다수의 시청으로 세분성 확보 곤란
-2.자막광고
2개 프로그램 사이에 다음 프로그램의 예고나 방송국명을 고지할 때 화면의 1/4이하로 하단에 자막형태로 광고주의 회사명이나 제품명을 10초간 삽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각각 곧이어 광고
현재, 우리 나라 방송광고가 가능한 전 매체의 영업 및 집행과 관한 모든 업무(단,케이블 TV제외)는 1981년 특수법인으로 설립된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가 담당하고 있다.
참고)
라디오보다 앞섰던 TV 광고
우리나라 최초의 라디오 방송은 1927년 경성방송국에서 시작되었고, TV 방송은 1956년에 시작되었다. TV보다 라디오가 방송을 먼저 시작했으니 당연히 라디오 광고방송이 먼저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우리나라에서는 TV 광고가 먼저 시작되었다. 1956년 미국 RCA사의 한국 지사에서 HLKZ-TV란 이름으로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그때 등장한 영창산업의 깨지지 않는 레코드라는 광고방송이 우리나라 최초의 TV 광고이자 최초의 광고다. 이후 1961년 12월 KBS-TV가 설립되고 1963년 1월부터 본격적인 텔레비전 광고 시대가 열렸다. 라디오는 TV보다 3년 뒤인 1959년 상업방송인 부산 문화방송의 설립을 계기로 광고방송이 시작되었다
Ⅱ.TV광고의 종류와 특성
1.TV편성에 대한 이해
=>TV의 어떤 프로그램, 어떤 시간대에 광고를 할 것인가를 결정
시급
방송사의 편성표를 보면 각 요일별로 시간대별 방송 프로그램명과 광고단가(대부분 15초 기준)가 표시되어 있다. 또 시간대는 다시 시청률에 따라 SA,A,B,C 등 4개 시급으로 구 분된다. (단 EBS SA시급이 없으며, A,B,C 시급으로 구성됨)대개 저녁 7시에서 11시사이 가 SA로 일반적으로 SA시급이 시청률이 가장 높아 광고단가도 높게 책정되어 있으며, C 시급이 변두리 시간대로서 시청률이 낮아 광고단가도 가장 낮다.
예시) 아침드라마인 경우 15초 1회 광고단가가 3,690,000원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광고주 가 아침드라마에 15초 CM을 주 1회씩 4회(4주) 방영할 경우 3,690,000*4로 14,760,000원을 지불하게 된다.
참고)
TV방송국의 광고 요금은 시급과 광고지역에 따라서 차등을 두고 있다.
TV의 어떤 프로그램, 어떤 시간대에 광고를 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에는 예상효과를 판 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많이 활용되는 것이 시청률과 시청점유율이다. 시청률은 주 어진 시간대에 얼마나 많은 사람(또는 가정)이 특정 방송을 시청하였는가를 백분율로 나타낸 개념들이다. 총 TV 시청가구수 중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한 가구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은 시청점유율이다.
2.TV광고의 종류
TV방송광고의 종류는 프로그램광고, SPOT(토막)광고, 특집광고, 연간스포츠광고, 자막광고(곧이어,국명 고지) ,시보광고, 협찬광고 등이 있다. 광고종류는 각 유형별로 시간 유형이 다르며 제한규정이 있다.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TV광고 종류별 순서를 살펴보고 각 유형별로 정의해 보았다.
프로그램 전후에 방송되는 광고
‘광고주가 프로그램의 스폰서로 참여하여 그 프로그램 전후에 수행하는 광고’
-1.프로그램 광고(정기 프로그램)
보통15초 단위로 집행되며(5~60초까지 다양), CM(Commercial Message:CF(Commercial Film)라고도 함)이 방영 될 때 마다 화면 우측 상단에 해당 프로그램명이 표시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방송법 규정상 프로그램 방송 중간에 광고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프로그램 시작 직전과 프로그램 종료후 엔딩 자막이 나가기 전에 집행되는 광고가 프로그램 광고이다. 프로그램 광고는 방송법 규정상 방송순서 시간의 10/100 이내에서 가능하다. 즉 .프로그램 방송분수가 60분인 경우 프로그램 광고는 6분이상 집행할 수 없다. (광고개수 기준으로 15초 CM 24개 이내에서 가능)
*특징
1)광고주 신용 제고에 대한 고정 시청층 획득
2)프로그램 진행 도중의 광고 삽입 가능성(단, 중간광고가 허용 될 때)
3)제종상품의 동시광고 가능
4)정기적 광고
5)높은 광고비에 비해 요금 효율성이 가장 큼
-2.특집광고
정규프로그램이 아닌 비정규프로그램으로 편성된 특집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광고로 15초,20초,30초 단위로 집행되며 제한 규정은 프로그램광고에 준한다.
-3.연간 스포츠 광고
비정기적으로 편성되는 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광고를 연간 단위(3월~익년 2월)로 계약,판매하는 광고이다. 특히 연간스포츠 광고는 방송광고 기본 계약에 따라 연간 금액을 책정하고 매월 일정 금액(연간금액÷12개월)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단,MBC-TV는 2001년 3월부터 당월 실방송액 기준으로 정산).따라서 1년 단위로 집행실적에 대한 정산을 실시하게 되며 계약금보다 적게 방송되는 경우에는 환불하게 되고 초과 방송시에는 서비스 차원에서 초과 방송분에 대한 광고비는 별도로 청구하지 아니한다.
=>프로그램의 앞뒤에 삽입되는 광고로서 스폰서가 일정한 시간을 사가지고 그 시간의 프로그램 내용을 시청자들에게 흥미롭게 제공하여 심리적 호감을 갖게 하며, 광고 내용을 덧붙이는 것이다. 또한, 스폰서가 자기가 원하는 어떤 층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분위기와 조화되는 광고를 적절하게 삽입할 수 있다.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에 방송되는 광고
-1.SPOT(토막)광고
SB(station break)라고도 불린다. SPOT광고는 시간마다 2회 이내 매회 4건까지 가능하고 90초간 방송되는데, 보통 30초 CM 1개, 20초 CM 3개가 집행된다. SPOT광고는 시급과 방송권역에 따라 요금이 결정된다. 즉 프로그램 광고와는 달리 시급과 방송권역이 동일하면 집행되는 시간대에 관계없이 광고단가가 동일하다.
*특성
-주변에 편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시청률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지 않는다.
1) 프로그램과는 관계없이 일건 15초로 제한
2) 광고비가 적게 듦
3) 소기업체를 가진 스폰서들에게 인기
4) 불특정 다수의 시청으로 세분성 확보 곤란
-2.자막광고
2개 프로그램 사이에 다음 프로그램의 예고나 방송국명을 고지할 때 화면의 1/4이하로 하단에 자막형태로 광고주의 회사명이나 제품명을 10초간 삽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각각 곧이어 광고
키워드
추천자료
광고와 어린이
광고 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난 귀족마케팅적 접근에 관한 연구
패션브랜드 TBJ광고를 통해서 본 광고 속 신화의 해체와 재창조
[광고론]포스터모던한 티저광고와 N세대
간접광고 (PPL) 사례와 특성,바람직한 규제방향 모색
베스트광고와 워스트광고 분석
현대광고론 핵심정리 (제15장 전파매체: 텔레비전과 라디오)
[광고학개론]국내 방송프로그램의 간접광고(PPL) 실태와 장단점 분석 및 해결방안
광고 속의 심리
광고에 나타나는 언어 현상의 분석
광고와 모델, 광고와 성 비평
광고 속 모델의 힘
LG 옵티머스G 마케팅전략분석 및 옵티머스G 광고전략분석과 옵티머스G 새로운 광고전략제안
[공익캠페인, 공익광고, 언론보도, 사회문제, 미디어공익캠페인, 공공캠페인]공익캠페인과 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