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대변화의 추이
2. 김극기가 택한 길
3. 죽림고회의 문학
4. 최씨정권의 문인들
5. 이규보의 위치
6 대몽항쟁의 문학
2. 김극기가 택한 길
3. 죽림고회의 문학
4. 최씨정권의 문인들
5. 이규보의 위치
6 대몽항쟁의 문학
본문내용
로는 문학을 세상에서 어떻게 평가되든 그 자체로서 절대적인 가치를 지니고, 표현을 공교롭게 다듬는 것이 그 가치를 발휘하는 최상의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고전적인 표현의 전례를 충실하게 따르면서 말 한 마디 한 마디를 애써 다듬어야 광채가 난다고 해서 문학이 삶의 실상을 충실하게 드러낼 수 있는 길을 막았다.
산문에서든 시에서든 용사(用事) 과거 명문의 표현이나 관련 사실을 재활용하는 창작방식
를 소중히 함. 옛 사람의 명문을 읽고 자기 것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문학 수련이라고 했다.
ex) 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 : 소식이 도잠의 귀거래사를 본 따 쓴 글을 이인로가 다시 따라서 쓴 글이다. 원작의 구성, 표현방식, 문구, 운을 충실하게 재현했다. → 소식을 예찬하고 그 뒤를 잇고자 함.
- 이인로의 시는 미묘한 느낌을 가지면서도 화사하고 야단스럽지 않다. 하지만 실용적인 한문과는 거리가 멀고, 소극적인 자세로 감각에 탐닉한다고 볼 수 있다. 예) 모춘(暮春)
4. 최씨정권의 문인들
한림별곡 제 1 장에 문인들의 이름과 각자의 장기가 열거되어 있는데, 이는 최충헌 시절 정권에 참여해 활동한 문인이 누구였는가를 아는데 좋은 자료이다.
제1장
元淳文(원
산문에서든 시에서든 용사(用事) 과거 명문의 표현이나 관련 사실을 재활용하는 창작방식
를 소중히 함. 옛 사람의 명문을 읽고 자기 것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문학 수련이라고 했다.
ex) 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 : 소식이 도잠의 귀거래사를 본 따 쓴 글을 이인로가 다시 따라서 쓴 글이다. 원작의 구성, 표현방식, 문구, 운을 충실하게 재현했다. → 소식을 예찬하고 그 뒤를 잇고자 함.
- 이인로의 시는 미묘한 느낌을 가지면서도 화사하고 야단스럽지 않다. 하지만 실용적인 한문과는 거리가 멀고, 소극적인 자세로 감각에 탐닉한다고 볼 수 있다. 예) 모춘(暮春)
4. 최씨정권의 문인들
한림별곡 제 1 장에 문인들의 이름과 각자의 장기가 열거되어 있는데, 이는 최충헌 시절 정권에 참여해 활동한 문인이 누구였는가를 아는데 좋은 자료이다.
제1장
元淳文(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