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쟁점들을 한 자리에 정리하였다. 극장 전반에 관한 이론적인 설명과 실제 운영에 다른 설명을 하였다.
【우리 연극 100년】
(서연호, 이상우 공저/현암사/2000년 12월)
우리 연극 100년의 발자취를 극 양식 변화와 작품, 인물을 중심으로 깊이 있게 되짚어 보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 연극의 어제와 오늘을 풍부한 사진 자료와 함께 집대성한 보기 드문 ‘연극사’로, 연극 자체의 미학적, 양식적 발전 양상에 초점을 맞 춰 20세기 한국 연극의 흐름을 서술하고 있다.
【분장 : Stage Make-Up】
(한국문화예술진흥원/예니출판사/1996년 09월)
공연 스테이지를 꾸미는 방법들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공연기획 핸드북】
(전성환/예영커뮤니케이션/2000년 01월)
이 책은 현장에서 발로 뛰고 있는 실무자들과 예비 공연기획자들에게 공연기획 전반의 이론과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공연사례를 들어 하나의 공연에 필요 한 각 파트별 특성, 업무절차와 그에 따른 서류 양식등을 각색없이 그대로 수록함으로써 우리 공연문화를 이끌어 갈 젊은이들에게 많은 도전과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실제적인 지침서
【무대 디자인 입문】
(Francis Reid/예니출판사/1999년 05월)
공연 무대를 효과적으로 디자인하는 방법 수록
【인형극의 이론과 실제】
(신관홍/에벤에셀/1997년 03월)
인형극의 이론적 기초에서부터 인형 제작방법, 인형극 연출기법, 무대 제작 등 실제 인 형극을 공연할 때 필요한 정보들을 소개하고 있다. 공연 사진과 설명 그림들이 함께 실려 있다.
【극문학이란 무엇인가】
(이재명 저/평민사/2004년 03월)
오랫동안 극문학 관련 강의를 해온 저자가 강의를 하면서 마땅한 책이 없음에 안타까움 을 느끼고 직접 집필을 하게 되어 세상에 나온 책이다. 1장에서는 연극과 극문학 전반에 대한 기초적인 사항을 다루었고 2장은 3가지 극구조를 규명하고 종합극과 분석극의 차이 를 설명했다. 3장은 유형에 대한 오해를 해명하고 인물의 분류법과 방법론 등을 시도하였 으며 4장에서는 말과 글 중심의 극언어관 문제를 지적한 다음 극언어의 유형을 구분하였 다.
【남북한 공연예술의 대화 : 춘향전과 초기 교류공연】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시공사/2003년 11월)
남북의 공연예술이 만난 교류 사례에 대한 예술문화적 분석과 앞으로 교류 가능성이 높 아 보이는 한 주제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해, 남과 북의 공연예술의 만남과 대화의 가능 성을 모색한 책이다.
【연극분석과 공연예술사】
(유민영/푸른사상/2002년 01월)
연극에 대한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서론, 본론, 결론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해 놓았다. 우리가 접해보지 못했던 북한 연극에 대해서도 체계적으로 서술했다.
【무대를 베고 누운 자유인 :예술인 조영숙의 끼와 멋, 그리고 쟁이】
(조영숙 저/명상/2000년 07월)
이 책은 일제 강점기에 우리 전통 예술인들이 빠지기 쉬웠던 자조와 방황의 나그네가 되었던 명창 조몽실의 딸로서 겪을 수 밖에 없었던 시련들을 서술하고 있다.
【공연예술과 실제비평】
(안치윤 저/문학과 지성사/1993년 10월)
일회적일 수밖에 없는 연극을 영원한 시간 속에 각인시키고 공연 예술의 진미를 맛보게 하는 이 책에는 한국 연극의 실상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전망, 그리고 기국서,채승훈,이 병훈,이주,최용훈,타데우즈 칸토르,피나 바우쉬,피터 브룩 등 국내외 연출가들에 대한 깊이 있는 평론이 들어 있다.
【근대한국공연예술사】
(공연예술연구소/단국대학교출판부/1984년 11월)
1899년 개화기 때로부터 1945년 해방 전까지의 근대 한국 공연 예술에
【우리 연극 100년】
(서연호, 이상우 공저/현암사/2000년 12월)
우리 연극 100년의 발자취를 극 양식 변화와 작품, 인물을 중심으로 깊이 있게 되짚어 보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 연극의 어제와 오늘을 풍부한 사진 자료와 함께 집대성한 보기 드문 ‘연극사’로, 연극 자체의 미학적, 양식적 발전 양상에 초점을 맞 춰 20세기 한국 연극의 흐름을 서술하고 있다.
【분장 : Stage Make-Up】
(한국문화예술진흥원/예니출판사/1996년 09월)
공연 스테이지를 꾸미는 방법들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공연기획 핸드북】
(전성환/예영커뮤니케이션/2000년 01월)
이 책은 현장에서 발로 뛰고 있는 실무자들과 예비 공연기획자들에게 공연기획 전반의 이론과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공연사례를 들어 하나의 공연에 필요 한 각 파트별 특성, 업무절차와 그에 따른 서류 양식등을 각색없이 그대로 수록함으로써 우리 공연문화를 이끌어 갈 젊은이들에게 많은 도전과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실제적인 지침서
【무대 디자인 입문】
(Francis Reid/예니출판사/1999년 05월)
공연 무대를 효과적으로 디자인하는 방법 수록
【인형극의 이론과 실제】
(신관홍/에벤에셀/1997년 03월)
인형극의 이론적 기초에서부터 인형 제작방법, 인형극 연출기법, 무대 제작 등 실제 인 형극을 공연할 때 필요한 정보들을 소개하고 있다. 공연 사진과 설명 그림들이 함께 실려 있다.
【극문학이란 무엇인가】
(이재명 저/평민사/2004년 03월)
오랫동안 극문학 관련 강의를 해온 저자가 강의를 하면서 마땅한 책이 없음에 안타까움 을 느끼고 직접 집필을 하게 되어 세상에 나온 책이다. 1장에서는 연극과 극문학 전반에 대한 기초적인 사항을 다루었고 2장은 3가지 극구조를 규명하고 종합극과 분석극의 차이 를 설명했다. 3장은 유형에 대한 오해를 해명하고 인물의 분류법과 방법론 등을 시도하였 으며 4장에서는 말과 글 중심의 극언어관 문제를 지적한 다음 극언어의 유형을 구분하였 다.
【남북한 공연예술의 대화 : 춘향전과 초기 교류공연】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시공사/2003년 11월)
남북의 공연예술이 만난 교류 사례에 대한 예술문화적 분석과 앞으로 교류 가능성이 높 아 보이는 한 주제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해, 남과 북의 공연예술의 만남과 대화의 가능 성을 모색한 책이다.
【연극분석과 공연예술사】
(유민영/푸른사상/2002년 01월)
연극에 대한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서론, 본론, 결론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해 놓았다. 우리가 접해보지 못했던 북한 연극에 대해서도 체계적으로 서술했다.
【무대를 베고 누운 자유인 :예술인 조영숙의 끼와 멋, 그리고 쟁이】
(조영숙 저/명상/2000년 07월)
이 책은 일제 강점기에 우리 전통 예술인들이 빠지기 쉬웠던 자조와 방황의 나그네가 되었던 명창 조몽실의 딸로서 겪을 수 밖에 없었던 시련들을 서술하고 있다.
【공연예술과 실제비평】
(안치윤 저/문학과 지성사/1993년 10월)
일회적일 수밖에 없는 연극을 영원한 시간 속에 각인시키고 공연 예술의 진미를 맛보게 하는 이 책에는 한국 연극의 실상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전망, 그리고 기국서,채승훈,이 병훈,이주,최용훈,타데우즈 칸토르,피나 바우쉬,피터 브룩 등 국내외 연출가들에 대한 깊이 있는 평론이 들어 있다.
【근대한국공연예술사】
(공연예술연구소/단국대학교출판부/1984년 11월)
1899년 개화기 때로부터 1945년 해방 전까지의 근대 한국 공연 예술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