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설계의이론(도시설계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설계의이론(도시설계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도시설계의 개념
2. 도시설계의 탄생
3. 도시설계의 특성

Ⅱ. 본론
1. 기능주의
1) 르꼬르뷔지에(Le Corbusier)
2) 아테네헌장(Athens Charter)
3) 기능주의적 도시 사례
2. 합리주의
1) 알도로시(Aldo Rossi)
2) 롭크리에(Rob krier)
3) 합리주의 도시 사례
3. 경험주의
1) 까밀로 지테(Camillo Sitte)
2) 케빈린치ㆍ고든쿨렌(Kevin LynchㆍGorden Cullen)
3)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

Ⅲ. 결론

본문내용

도 시 설 계 이 론
목차
Ⅰ. 서론
1. 도시설계의 개념
2. 도시설계의 탄생
3. 도시설계의 특성
Ⅱ. 본론
1. 기능주의
1) 르꼬르뷔지에(Le Corbusier)
2) 아테네헌장(Athens Charter)
3) 기능주의적 도시 사례
2. 합리주의
1) 알도로시(Aldo Rossi)
2) 롭크리에(Rob krier)
3) 합리주의 도시 사례
3. 경험주의
1) 까밀로 지테(Camillo Sitte)
2) 케빈린치ㆍ고든쿨렌(Kevin LynchㆍGorden Cullen)
3)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
Ⅲ. 결론
Ⅰ 서 론
1. 도시설계의 개념
현대 산업사회는 시장경제원리에 입각하여 개발 행위가 이루어지므로 자본가의 사적인 이윤추구에 따라 도시개발의 방법과 그 대상이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공익의 관점에서 자본가의 경제력에 우선한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즉 도시설계를 통해 도시의 일반 시민을 비롯한 특정 이용자 및 공고주체 등 개발에 관계된 여러 부류의 사람들간의 입장과 함께 개발비용과 그에 따른 개발이익의 분배를 고려한 도시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 도시설계는 도시의 물적 환경을 조성하는 비의도적 혹은 의도적인 도시설계 행위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좁은 의미에서의 도시설계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도시형태를 조성하는 행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도시계획을 도시의 물리적 측면 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 및 행정적 측면을 다루는 종합적 계획으로 본다면, 도시설계는 그 중 도시의 물리적 환경을 구성하는 데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계획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도시계획이 평면상에서 이루어지는 2차원적인 작업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비해 도시설계는 도시의 전체나 일부분의 물리적 환경을 구성하는 3차원적인 작업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더욱이 도시는 3차원적 공간에 존재하지만 항상 변화하므로 4차원적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설계를 전문분야로 인식하여 도시를 4차원적인 특성을 살린 도시나 교외 또는 근린주구, 복합건물 등으로 설계 할 수 있다.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작업은 크게 2가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첫 번째는 설계와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정하거나 앞으로의 도시설계 및 개발을 통해 도시 모습을 담고 있는 기본정책 내에서 설계행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전체 설계와 개발과정을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 경우 전자의 도시설계는 도시계획에 근접하고, 후자의 경우는 건축에 더 관련이 깊다.
2. 도시설계의 탄생
근대적 의미를 갖는 도시설계의 기원은 19세기말 ‘도시미화운동(city beautifal movement)\'의 근간이 되고 있는 까밀로 지테(Camillo Sitte)의 “예술적 원리를 준용한 도시계획(City Planning according to Artistics Principles)\"이라는 한권의 책으로부터 출발 할 수 있다. 지테는 이 책을 통해 당시까지 남아 전해오던 유럽 도시의 평면으로부터 명쾌한 시각적 이미지(visual image)에 해한 개념을 유추하여 도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미학을 다루고 있다. 이는 후일 영국의 고든 쿨렌(Gordon Cullen)과 미국의 케빌린치(Kevin Lynch)에 의해 도시이미지 연구로 발전하여 도시설계 탐구방법을 찾는 근원적 이념으로 작용하였지만 20세기 초반까지는 큰 힘을 얻지 못하였다.
근대건축운동의 특징은 기술과 산업구조의 변혁에 의한 도시로의 인구집중. 빈부의 격차에 의한 도시환경의 불균등화, 불결한 주거 환경 등 20세기 초반의 대표적인 도시문제에 대해 이상향적인 탈바꿈을 주장한 것이다. 이 같은 개념에 근거한 근대도시는 그 시작부터 이미 전통과의 단절과 역사적 교훈의 전수를 거부하였으므로 지테식의 전통적 도시가로의 미학은 시대적 소명을 거스르는 진부한 개념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었다.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전성기를 구가하며 추상적인 도시건축을 구축해 왔던 근대건축운도의 선각자인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는 “전통적인 길은 온갖 갈등요인을 내포한 당나귀의 길”이라고 비유함으로서 전통적인 도시구조에 대한 강한 부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시적인 정주의 문제는 곧 산업도시가 당면한 대표적 욕구로서, 이를 위해 충분한햇빛과 탁 트인 공간 그리고 풍부한 녹지 등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같은 개념은 순수화된 수직적 건축형태와 낮은 대지점유비(大地占有比), 그리고 자유롭게 흐르는 공간 등으로 표현되어 근대도시건축운동을 이끌어 가는 기본적인 이념으로 작용하였다.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의 빛나는 도시
이러한 개념과 표현방식의 확산에 따라 전통적인 도시의 공간구조와 단편화된 근대적인 도시의 형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가구(街區)의 패턴도 와해되기 시작하였다.
전통적인 도시구조의 특질 근대적인 도시구조의 특질
근대주의자들이 도시공간을 대하는 태도는 곧 도시적인 삶의 여건이 환경위생의 측면에서 그 이전에 비해 대단히 악화되었다는 현실적인 불평과 불만에 기초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사회문화적 의미체를 회복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 요소의 제공이나 확대를 꾀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들의 추구했던 새로운 비젼의 제시는 당시로서는 매우 새로운 해석이기는 하지만 그 결과로 빚어진 도시공간은 “근린교제를 위한 구심적 공간의 약화”와 함께 “모임을
  • 가격2,7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04.1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