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으로 가는 운동섬유(GVE)와 이들로부터 오는 감각섬유를 내며(GVA) 후두개에서 오는 감각섬유를 받는다. 미주신경(SVE : 미각)의 손상은 연하곤란, 성대마비 및 심장운동촉진과 같은 여러 가지 내장기능 장애의 원인이 된다.
11 부신경 Accessory nerve ; C.N. : 제11뇌신경
부신경은 연하, 발생 및 머리와 목의 운동에 관여한다. 이것은 뇌부와 척수에 걸쳐 있는데 뇌부는 연수의 미주신경 아래에서 나와 설인신경과 미주신경을 따라 경정맥공을 통해 두 개공을 나온다. 이것은 인두와 후두의 근육으로 가는 운동섬유를 내는 곳에서 미주신경과 합쳐진다(SVE). 또한 미주신경을 따라가서 일반 내장원심성 섬유기능과 일부 합친다(GVE). 그리고 척수부는 제4,5경신경절 상부에서 나와 대공을 통해 위로
11 부신경 Accessory nerve ; C.N. : 제11뇌신경
부신경은 연하, 발생 및 머리와 목의 운동에 관여한다. 이것은 뇌부와 척수에 걸쳐 있는데 뇌부는 연수의 미주신경 아래에서 나와 설인신경과 미주신경을 따라 경정맥공을 통해 두 개공을 나온다. 이것은 인두와 후두의 근육으로 가는 운동섬유를 내는 곳에서 미주신경과 합쳐진다(SVE). 또한 미주신경을 따라가서 일반 내장원심성 섬유기능과 일부 합친다(GVE). 그리고 척수부는 제4,5경신경절 상부에서 나와 대공을 통해 위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