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 개요
2. 목 적
3. 목 표
4.프로그램 내용 소개
1.학교상담실 운영
2.사회봉사명령청소년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집단사회사업
3. 청소년 문제예방을 위한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
4. 청소년 진로탐색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
5. 교우관계증진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
6. 청소년 사이버음란물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5.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1. 성지공업고등학교 학교사회사업의 배경
2. 성지공업고등학교 학교사회사업의 향후 발전 계획
성지공고를 가게 된 배경/ 어려웠던 점
2. 목 적
3. 목 표
4.프로그램 내용 소개
1.학교상담실 운영
2.사회봉사명령청소년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집단사회사업
3. 청소년 문제예방을 위한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
4. 청소년 진로탐색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
5. 교우관계증진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
6. 청소년 사이버음란물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5.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1. 성지공업고등학교 학교사회사업의 배경
2. 성지공업고등학교 학교사회사업의 향후 발전 계획
성지공고를 가게 된 배경/ 어려웠던 점
본문내용
. 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민주시민을 양성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학교에서 잠재능력을 개발하기보다는 짜여진 각본에 길들여지고, 비민주적인 하루하루를 보내는 것, 그것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닙니다.
어떤 교육부 장관님은 "경쟁"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생존경쟁에서 살아남는 사람을 만들어 내는 것, 그것이 교육의 목적입니까? 내가 살아남기 위해 다른 사람을 밟고 올라서며, 모든 것을 평가하고 평가받는 것 그런 것이 교육입니까? 학교는 변해야 합니다.
① 학교는 학생, 학부모, 교사가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학교는 교육부나 교육청이 이끌어 가는 곳이 아닙니다)
하나. 학교 교칙은 학생, 학부모, 교사가 참여하여 현실적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학생의 두발, 용의 복장, 교복착용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자존심을 무시하는 현재의 교칙은 바뀌어야 합니다.)
둘. 학교 징계위원회에는 학생대표, 교사대표, 학부모 대표가 모두 참여하여야 합니다.
(학생의 잘못에 대하여 처벌하는 것과 함께, 학생의 입장을 옹호하고 대변할 수 있는 사 람이 모두 함께 있어야 합니다.)
② 한 학급당 학생 수는 25명 이하 선진국수준으로 되어야 합니다.
(그것이 학원천국인 대한민국을 바꿀 수 있는 지름길입니다. 학교의 선생님이 학원선생 님보다 못 가르쳐서 학원에 가는 것이 아닙니다. 학교에서도 개인지도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③ 학교는 개방되어야 합니다.
지역사회복지관이나 청소년상담실 등과의 연계는 교권의 포기가 아닙니다. 학교 혼자서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학교는 주변의 도움을 언제든지 요청할 수 있어야 하고, 학교와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가능한 도든 일들을 시도해야 합니다.
●성지공고를 가게 된 배경/ 어려웠던 점
우리 조원 중에서 성지 공고 근처에 아버님이 근무하시기에, 수업시간에 성지 공고라는 말을 들었을 때, 아~~이곳이구나!! 라고 느꼈습니다.
처음에 우리가 성지고등학교를 갔을 때, 미리 우리가 간다는 말을 들어서 그런지 몰라도 자료를 많이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여러 가지 질문들을 준비 해 갔지만, 우리의 질문은 들으려고 하지 않고, 시간이 별로 없는 관계로 자료만 가지고 가라고 했습니다. 우리는 그래서 나오는 길에 학교 근처의 상가를 찾아가 학교사회사업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주위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보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주위사람들은 학교사회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지 조차도 알지 못했습니다. 한두명도 아니고, 수십명의 사람들에게 물어 보았지만, 대답은 동일했습니다.
우리는 돌아오는 길에 기차안에서 토의를 했습니다.
'학교사회사업을 실시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그 사업자체의 프로그램도 중요하지만, 학교사회사업의 홍보 또한 중요하다는 사실을 간과할수 없다. 주위사람들의 참여없는 사업은 학교사회사업이 아니더라도 그 가치를 잃어버리는 일이다.'
우리는 이렇게 결론을 내렸습니다.
우리가 만약 학교사회사업을 실시하게 된다면, 우리는 이러한 것들을 잊지말고, 꼭 기억해야할 것이다.
어떤 교육부 장관님은 "경쟁"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생존경쟁에서 살아남는 사람을 만들어 내는 것, 그것이 교육의 목적입니까? 내가 살아남기 위해 다른 사람을 밟고 올라서며, 모든 것을 평가하고 평가받는 것 그런 것이 교육입니까? 학교는 변해야 합니다.
① 학교는 학생, 학부모, 교사가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학교는 교육부나 교육청이 이끌어 가는 곳이 아닙니다)
하나. 학교 교칙은 학생, 학부모, 교사가 참여하여 현실적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학생의 두발, 용의 복장, 교복착용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자존심을 무시하는 현재의 교칙은 바뀌어야 합니다.)
둘. 학교 징계위원회에는 학생대표, 교사대표, 학부모 대표가 모두 참여하여야 합니다.
(학생의 잘못에 대하여 처벌하는 것과 함께, 학생의 입장을 옹호하고 대변할 수 있는 사 람이 모두 함께 있어야 합니다.)
② 한 학급당 학생 수는 25명 이하 선진국수준으로 되어야 합니다.
(그것이 학원천국인 대한민국을 바꿀 수 있는 지름길입니다. 학교의 선생님이 학원선생 님보다 못 가르쳐서 학원에 가는 것이 아닙니다. 학교에서도 개인지도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③ 학교는 개방되어야 합니다.
지역사회복지관이나 청소년상담실 등과의 연계는 교권의 포기가 아닙니다. 학교 혼자서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학교는 주변의 도움을 언제든지 요청할 수 있어야 하고, 학교와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가능한 도든 일들을 시도해야 합니다.
●성지공고를 가게 된 배경/ 어려웠던 점
우리 조원 중에서 성지 공고 근처에 아버님이 근무하시기에, 수업시간에 성지 공고라는 말을 들었을 때, 아~~이곳이구나!! 라고 느꼈습니다.
처음에 우리가 성지고등학교를 갔을 때, 미리 우리가 간다는 말을 들어서 그런지 몰라도 자료를 많이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여러 가지 질문들을 준비 해 갔지만, 우리의 질문은 들으려고 하지 않고, 시간이 별로 없는 관계로 자료만 가지고 가라고 했습니다. 우리는 그래서 나오는 길에 학교 근처의 상가를 찾아가 학교사회사업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주위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보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주위사람들은 학교사회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지 조차도 알지 못했습니다. 한두명도 아니고, 수십명의 사람들에게 물어 보았지만, 대답은 동일했습니다.
우리는 돌아오는 길에 기차안에서 토의를 했습니다.
'학교사회사업을 실시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그 사업자체의 프로그램도 중요하지만, 학교사회사업의 홍보 또한 중요하다는 사실을 간과할수 없다. 주위사람들의 참여없는 사업은 학교사회사업이 아니더라도 그 가치를 잃어버리는 일이다.'
우리는 이렇게 결론을 내렸습니다.
우리가 만약 학교사회사업을 실시하게 된다면, 우리는 이러한 것들을 잊지말고, 꼭 기억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