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기의 이동통신 단말기사업전략의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환기의 이동통신 단말기사업전략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NDEX

주제선택 배경

1세계 이동통신 단말기 사장환경 및 산업구조
시장환경의 변화
2산업구조의 변화

노키아 현황
노키아 사업전략

모토로라 현황
모토로라 사업전략

노키아와 모토로라의 경영실적 및 사업전략 비교

결론 및 시사점
노키아 사업전략의 시사점
모토로라 사업전략의 문제점
모토로라 사업전략의 시사점

본문내용

등 선진국 시장이 포화되고 신규 수요의 유입세가 약화되고 있으며 3G의 계속적인 지연 등으로 인해 저성장 국면에 들어설 가능성이 크다. 또한 기존 단말기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중국 및 일본 기업들이 강력한 경쟁사로서 대두되고 있으며 한편으로 부품의 모듈화 및 플랫폼화가 진행되면서 ODM, OEM을 주로 하던 생산업체들이 자체 브랜드를 가지고 단말기 제조 전선에 직접 뛰어드는 예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시장의 장기적 성장 잠재력 저하와 시장 내 경쟁의 격화라는 위협저인 상황에서 각각의 단말기 업체들은 시장 주도권을 획득하기 위하여 전사적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상위 2개사 노키아와 모토로라 비교>
경영실적
구 분
노키아
모토로라
회사성격
무선통신기기 제조
종합 유무선 통신기기 제조
2002년 단말기 사업부문
매출
비중
77.32%
40.7%
영업
이익률
22.4%
4.6%
2002년 출시 모델수
34개
25개
2002년 브랜드 가치 (순위)
300억 달러(6위)
34억 달러(74위)
2002년 4분기
ASP(년 평균)
147달러(154달러)
148달러(155달러)
브랜드 순위 (100대 브랜드)
구분
2003
2002
2001
2000
1999
Nokia
6
5
5
5
11
Motorola
81
74
66
49
39
현재 각 업체들이 취하고 있는 전략들을 비교하면, 노키아의 경우 판매량1위 기업으로서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생산부문에 있어서 원가절감 능력과 영업, 마케팅 활동의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능을 보유하는 제품의 출시를 경쟁사 보다 앞당기는 동시에, 단말기와 관련된 각종 표준화, 원천기술, S/W 개발에도 주력하여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 하고 있다. 최근 노키아는 High-end 단말기의 대중화에 유독 관심을 보이고 있다. 물론 이는 노키아의 주력인 GMS/GPRS시장이 High-end 단말기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되나 더불어 상대적으로 성장성이 양호할 것으로 보인다. 중고가 제품 시장의 공략을 강화하여 점차 감소하고 있는 ASP를 끌어올림으로써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또한 차세대 단말기 시장에서 소프트웨어의 비중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단말기와 함께 소프트웨어까지 섭렵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관련 기술개발에 투자를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용 ‘Series60’ 프랫폼을 선보이고 라이센스를 제공함으로써 자사 플랫폼의 표준화를 통해 경쟁력을 가지고자 노력하고 있다.
모토로라의 경우 상위 3사 중 가장 하위의 브랜드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만회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시키는 동시에, 삼성전자의 추격을 피하기 위해서는 시장점유율의 확대와 더불어 올해 흑자로 돌아선 영업이익률도 좀더 증가시켜야 하는 부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련된 디자인 및 고기능의 High-end 제품 출시를 통한 ASP 증가와 더불어 서비스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맞춤전략을 통해서 고객확보에 주력할 전망이다. 또한 단말기 제조업체이면서 반도체 분야에서 우월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모토로라는 해심칩, 소프트웨어, 설계 노하우 등을 한데 묶은 혁신적인 하드웨어 플랫폼을 개발하여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OEM, ODM 업체들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모토로라 자사는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른 제조업체들에게 이러한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표준 기반을 단말기 개발과 채용을 촉진하여 향후 수익창출을 도모하고자 한다.
<노키아 모토로라 사업전략 비교>
구 분
노 키 아
모 토 로 라
2003년
시장전략
생산목표 : 1억8,000만대
시장점유율 목표 : 40%
게임, 이미지, 기업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기 출시
다기능 단말기를 중심으로 한 출시
서비스 사업자를 위한 맞춤 전략
생산 및
R&D 전략
SCM을 통한 부품의 글로벌 아웃소싱
글로벌 생산체계
표준 플랫폼 개발
S/W관련 기술 개발
핵심 칩셋 자체 개발
SCM개선을 통한 부품조달능력 강화
플랫폼 디자인 개발
단말기 제품의 글로벌 아웃소싱
핵심 칩셋 자체 개발
마케팅 전략
단말기 최고의 브랜드가치 및 인지도 유지
스타일과 기능에 따른 분류 기준으로 잠재성이 있은 제품출시
새로운 기능을 가진 제품을 먼저 개발하 여 출시
브랜드 가치의 제고를 위한 moto전략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신제품 출시
비즈니스 제품군에 비중강화
삼성전자는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서 각종 핵심부품들을 개발하고 자사의 다른 사업부 간의 수직적인 통합을 통하여 시너지 효과 및 협상능력을 배양하는 동시에, 시장점유율을 늘리기 위해서 구매력이 약한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중저가 단말기를 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경쟁기업보다 고기능의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함으로 첨단의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전망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개발에 있어서도 상위 3사의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동통신서비스 진화와 더불어, 세계 이동통신단말기 시장이 2001년을 기점으로 성장의 한계에 노출되기 시작한 상황에서 기존 단말기에 대한 교체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에대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미래의 성장세를 지속시키고자 하는 노력들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브랜드 가치제고 고가시장으로 위치확보와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라고 할 수 있는 스마트 폰에 대한 개발과 출시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동통신기능과 컴퓨팅 기능의 결합을 하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개발된 스마트 폰은, 각종 기능들이 단순 추가된다는 의미보다 이동통신단말기 산업의 가치사슬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단말기의 개발에는 기존 단말기에서 OS, 무선 인터넷 플랫폼, 프로세서 등의 탑재와 발전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차세대 단말기를 직접 생산하는 단말기 제조사들의 활동과 더불어 OS, 플랫폼, 프로세서 업체들의 역할이 가치사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국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04.2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