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 잎의 구조와 기공의 기능
2. 목적
3. 이론
◆ 기공
4. 실험방법
☞ 실험 A. 잎의 외부형태
5. 결과
6. 결론
7. 토론문제풀이 및 숙제
8. 참고문헌
2. 목적
3. 이론
◆ 기공
4. 실험방법
☞ 실험 A. 잎의 외부형태
5. 결과
6. 결론
7. 토론문제풀이 및 숙제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으로 구분한다. 잎 본래의 목적을 지닌 잎을 보통잎이라하며 변태된 잎과 구별하여 잎몸, 잎자루, 및 턱잎등이 갖추어진 잎을 완전잎, 이 중에서 어느 한 두 개가 없는 것을 불완전엽이라고 한다. 각 부분의 크기,형태등은 식물에 따라 독특한 특색을 지니고 있어서 식물을 구별하는데 중요한 거점이 된다. 잎 몸은 잎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광합성을 하는 곳이며 이것이 없는 잎은 없다. 잎자루는 잎몸과 줄기를 연결하는 부분이며 길이의 차가 있고 비틀려서 잎몸이 광선을 받기 쉽도록 조절한다. 잎 자루 안에 들어있는 관속은 줄기에 관속과 잎몸의 관속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잎자루는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어 잎몸이 직접 줄기에 붙어 있는 것도 있다. 잎집은 쌍자엽식물에 있어서도 마디물과와 미나리과에서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