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Ⅰ. 차의 기능성 성분
Ⅱ. 차의 효능
Ⅲ. 차의 이용
Ⅱ. 차의 효능
Ⅲ. 차의 이용
본문내용
e)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불소와 망간, 철 성분이 다른 작물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칼슘 성분은 함량이 적다. 차를 우릴 때 중탕 중 침출되는 무기 성분은 약 2%가 우러나며, 특히 철과 요오드 성분의 용해성이 높다.
13) 효소
차잎 중에는 peroxidase, polyphenoloxidase, catalase, tannase, pectase 등의 여러 효소가 존재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홍차와 우롱차의 발효에 관계하는 polyphenoloxdase와 peroxidase가 가장 중요하다.
II. 차의 효능
차의 기능성 성분과 그 생리작을을 요약하면 다음 표2.와 같다.
표 2. 차의 기능성 성분과 효능
성분
함량
생 리 작 용
용 도
카테킨
(산화물포함)
10-18%
항산화, 항돌연변이, 항암, 혈중콜레스테롤,
혈압 상승억제, 혈당상승 억제, 항바이러스,
혈소판응집억제작용, 항균, 충치예방, 항궤양,
항알레르기, 소취
식품산화방지제, 항균제,
탈취제,항충치제
플라보놀
0.6-0.7%
모세혈관 저항성 증가, 항산화, 혈압강하,
소취작용
탈취제
카페인
2-4%
증추신경 흥분, 수면방지, 강심, 이뇨,
항천식대사항진
수면방지제, 두통감기약,
강심제, 알러지 경감제
다당류
약0.6%
혈당상승 억제 (항당뇨)
비타민C
150-250mg%
항괴혈병, 항산화, 암예방
비타민E
25-70
mg%
항산화, 암예방, 항불임
산화방지제
β-카로틴
13-29
mg%
항산화, 암예방, 면역력 증강
GABA
100-200mg%
(처리후)
혈압상승 억제, 억제성 신경전달
가바(GABA)차
사포닌
약 0.1%
항암, 항염증
불소
90-350
ppm
충치예방
아연
35-75
ppm
미각이상 방지, 피부염 방지, 면역능력 저하억제
셀렌
1.0-1.8
ppm
항산화, 암예방, 심근장해 방지
1. 차의 항산화작용
식품의 유지는 일광 등의 작용을 받기 쉽고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쉽게 과산화 지질을 생성한다. 이 과산화지질은 체내의 조직이나 장기에 장해를 주기 때문에 식품 중의 지질의 산화를 막아주는 것은 식품학상의 중요한 과제이다. Hara 등은 녹차 열수 추출물을 용제처리하여 얻은 조(粗)catechin (표1)과 그 구성 성분인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epicatechin gallate(ECg), epigallocatechin(EGC), epicatechin(EC)을 각종 지질에 미량 첨가하므로써 높은 산화방지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3. 차의 조catechin의 조성
구성성분 (차catechin류)
성분비 (%)
상대 성분비(%)
Gallocatechin(+GC)
Epigallocatechin
Epicatechin(EC)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Epicatechin gallate(ECg)
1.44
17.57
5.81
53.90
12.51/91.23
1.6
19.3
6.4
59.1
13.7/100
조 catachin을 미량인 10ppm 첨가하므로써 dl-α-tocopherol 200ppm와 같은 정도의 산화방지 효과가 있었다. BHA와 비교하여도 이것보다 저농도로 높은 산화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4종의 catachin류에 대하여도 조 catachin과 마찬가지로 라드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를 조사한 결과 각시료의 같은 중량농도에 있어서 항산화력의 강도는 EGC 〉EGCg 〉EC 〉ECg 〉BHA 〉dl-α-Tocopherol의 순위였다.
EGCg는 linoleic acid에 대하여도 산화방지 작용을 나타내고 이들의 효과는 라드의 경우보다 약하다. 그러나 linoleic acid가 산화가 식물성 유지에 많이 함유 되는 것과 tocopherol과의 상승효과의 결과를 포함하여 EGCg가 각종 식물유지에 대하여 우수한 산화방지 작용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차 catechin 류가 물 혼합 linoleic acid, methylinolate, 대두유, 평지씨 기름, 미강유 그리고 멸치기름에 대하여도 높은 산화방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체에 있어서 활성 산소 또는 과산화 지질이 갖는 독성이 문제로 되어 왔고 이들의 radical에 대하여 조 catechin류가 나타내는 in vitro에서의 불활성화의 작용도 알려져 있다. Okuda 등은 쥐의 간장의 mitochondria와 microsome에 있어서 지질과산화에 대한 각종 탄닌의 영향을 조사하여 EGCg가 α-tocopherol에 비하여 상당한 강한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밝혀주었다. Sano 등은 쥐에 butylhydroperoxide를 투여하고 과산화반응을 야기시킬 때, EGCg나 녹차추출물을 동시에 투여하면 간장과 신장의 과산화는 25~30%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차 catechin의 식품용 산화방지제로서의 유켓성을 나타낼뿐만 아니라 끽연에 의한 차 catechin흡수가 생체내에 있어서 지질산화에 대하여서도 유효한 작용을 나타낼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생각한다.
2. 차의 항돌연변이와 항암작용
차엽의 기지성분으로서 지금까지 발암의 억제인자 또는 촉진인자로서 알려져 있는 것은 caffeine, vitamin C 그리고 tannin(catechin류)이 있다.
Caffeine류는 식물 분류학상 근연의 것이 아닌 커피등의 기호식품에도 함유되며 그의 중추신경흥분, 이뇨 등의 약리작용 때문에 어느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는 양면의 기능을 가진 식품이다. 그런데 caffeine의 발암성을 일본 암연구소에서 보고하여 크게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재실험의 결과 발암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니 다행한 일이다.
Vitamin C 는 환원형으로서 차 중에는 사실상 녹차에만 함유되며 발암성을 나타내는 N-nitroso화합물의 생성이나 생성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인자로서 알려져 있다. 이것은 녹차가 암 예방인자로서 작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O요한 이유중의 하나 이다.
차 탄닌에 관한 보고는 최근 10년간의 것이 많다.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탄닌은 그 화학구조가 식물 고유의 것이라 할 만큼 다종 다양이기
특히 불소와 망간, 철 성분이 다른 작물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칼슘 성분은 함량이 적다. 차를 우릴 때 중탕 중 침출되는 무기 성분은 약 2%가 우러나며, 특히 철과 요오드 성분의 용해성이 높다.
13) 효소
차잎 중에는 peroxidase, polyphenoloxidase, catalase, tannase, pectase 등의 여러 효소가 존재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홍차와 우롱차의 발효에 관계하는 polyphenoloxdase와 peroxidase가 가장 중요하다.
II. 차의 효능
차의 기능성 성분과 그 생리작을을 요약하면 다음 표2.와 같다.
표 2. 차의 기능성 성분과 효능
성분
함량
생 리 작 용
용 도
카테킨
(산화물포함)
10-18%
항산화, 항돌연변이, 항암, 혈중콜레스테롤,
혈압 상승억제, 혈당상승 억제, 항바이러스,
혈소판응집억제작용, 항균, 충치예방, 항궤양,
항알레르기, 소취
식품산화방지제, 항균제,
탈취제,항충치제
플라보놀
0.6-0.7%
모세혈관 저항성 증가, 항산화, 혈압강하,
소취작용
탈취제
카페인
2-4%
증추신경 흥분, 수면방지, 강심, 이뇨,
항천식대사항진
수면방지제, 두통감기약,
강심제, 알러지 경감제
다당류
약0.6%
혈당상승 억제 (항당뇨)
비타민C
150-250mg%
항괴혈병, 항산화, 암예방
비타민E
25-70
mg%
항산화, 암예방, 항불임
산화방지제
β-카로틴
13-29
mg%
항산화, 암예방, 면역력 증강
GABA
100-200mg%
(처리후)
혈압상승 억제, 억제성 신경전달
가바(GABA)차
사포닌
약 0.1%
항암, 항염증
불소
90-350
ppm
충치예방
아연
35-75
ppm
미각이상 방지, 피부염 방지, 면역능력 저하억제
셀렌
1.0-1.8
ppm
항산화, 암예방, 심근장해 방지
1. 차의 항산화작용
식품의 유지는 일광 등의 작용을 받기 쉽고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쉽게 과산화 지질을 생성한다. 이 과산화지질은 체내의 조직이나 장기에 장해를 주기 때문에 식품 중의 지질의 산화를 막아주는 것은 식품학상의 중요한 과제이다. Hara 등은 녹차 열수 추출물을 용제처리하여 얻은 조(粗)catechin (표1)과 그 구성 성분인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epicatechin gallate(ECg), epigallocatechin(EGC), epicatechin(EC)을 각종 지질에 미량 첨가하므로써 높은 산화방지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3. 차의 조catechin의 조성
구성성분 (차catechin류)
성분비 (%)
상대 성분비(%)
Gallocatechin(+GC)
Epigallocatechin
Epicatechin(EC)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Epicatechin gallate(ECg)
1.44
17.57
5.81
53.90
12.51/91.23
1.6
19.3
6.4
59.1
13.7/100
조 catachin을 미량인 10ppm 첨가하므로써 dl-α-tocopherol 200ppm와 같은 정도의 산화방지 효과가 있었다. BHA와 비교하여도 이것보다 저농도로 높은 산화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4종의 catachin류에 대하여도 조 catachin과 마찬가지로 라드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를 조사한 결과 각시료의 같은 중량농도에 있어서 항산화력의 강도는 EGC 〉EGCg 〉EC 〉ECg 〉BHA 〉dl-α-Tocopherol의 순위였다.
EGCg는 linoleic acid에 대하여도 산화방지 작용을 나타내고 이들의 효과는 라드의 경우보다 약하다. 그러나 linoleic acid가 산화가 식물성 유지에 많이 함유 되는 것과 tocopherol과의 상승효과의 결과를 포함하여 EGCg가 각종 식물유지에 대하여 우수한 산화방지 작용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차 catechin 류가 물 혼합 linoleic acid, methylinolate, 대두유, 평지씨 기름, 미강유 그리고 멸치기름에 대하여도 높은 산화방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체에 있어서 활성 산소 또는 과산화 지질이 갖는 독성이 문제로 되어 왔고 이들의 radical에 대하여 조 catechin류가 나타내는 in vitro에서의 불활성화의 작용도 알려져 있다. Okuda 등은 쥐의 간장의 mitochondria와 microsome에 있어서 지질과산화에 대한 각종 탄닌의 영향을 조사하여 EGCg가 α-tocopherol에 비하여 상당한 강한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밝혀주었다. Sano 등은 쥐에 butylhydroperoxide를 투여하고 과산화반응을 야기시킬 때, EGCg나 녹차추출물을 동시에 투여하면 간장과 신장의 과산화는 25~30%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차 catechin의 식품용 산화방지제로서의 유켓성을 나타낼뿐만 아니라 끽연에 의한 차 catechin흡수가 생체내에 있어서 지질산화에 대하여서도 유효한 작용을 나타낼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생각한다.
2. 차의 항돌연변이와 항암작용
차엽의 기지성분으로서 지금까지 발암의 억제인자 또는 촉진인자로서 알려져 있는 것은 caffeine, vitamin C 그리고 tannin(catechin류)이 있다.
Caffeine류는 식물 분류학상 근연의 것이 아닌 커피등의 기호식품에도 함유되며 그의 중추신경흥분, 이뇨 등의 약리작용 때문에 어느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는 양면의 기능을 가진 식품이다. 그런데 caffeine의 발암성을 일본 암연구소에서 보고하여 크게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재실험의 결과 발암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니 다행한 일이다.
Vitamin C 는 환원형으로서 차 중에는 사실상 녹차에만 함유되며 발암성을 나타내는 N-nitroso화합물의 생성이나 생성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인자로서 알려져 있다. 이것은 녹차가 암 예방인자로서 작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O요한 이유중의 하나 이다.
차 탄닌에 관한 보고는 최근 10년간의 것이 많다.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탄닌은 그 화학구조가 식물 고유의 것이라 할 만큼 다종 다양이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