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미경의구조
현미경의종류
현미경사용방법
현미경의종류
현미경사용방법
본문내용
자 하지만 이 과정에는 많은 제약이 있으면, 따라서 이 문제를 광학적 의미에서 해결하고자 만들어진 것이 바로 위상차 현미경이다.
굴절률은 검경하고자 하는 표본의 광밀도나 투과된 광파의 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공기의 굴절률은 1.0 물은 약 1.3 유리는 약 1.5이다. 그러므로 같은 거리를 지나는 광파가 공기, 물, 유리를 통과할 때 그 속도가 같지 않으므로 상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위상차현미경에는 이 위상차로 전환시키는 관판이 집광기와 대물렌즈의 사이에 들어 있어서 굴절률의 차이가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직이나 세포 속의 있는 구성성분들의 굴절률이 여러 가지로 다르게 나타나므로 비교적 뚜렷한 윤곽의 상을 볼 수 있다. 위상차현미경은 고적된 조직이나 염색된 표본에 대해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며, 살아 있는 세포나 염색되지 않은 조직의 관찰에 주로 이용된다.
③ 편광형미경
편광현미경은 줄굴절현상을 나타내는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일반 현미경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않는 조직의 짜임새를 관찰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것으로는 니콜 프리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편광기를 현미경의 집광이 밑에 삽입시켜 편광이 경통 내에 들어오도록 하고 분해기를 대안렌즈의 위에 놓아서 이 두 프리즘 사이에 형성된 편광방향을 변경시켜 사용한다. 즉 분해기의 편광방향을 편광기의 것과 같게 놓으면 일반 현미경에서와 같은 상을 나타내지만 분해기를 돌려서 그 축이 편광기의 축에 직각이 되도록 놓으면 광선이 대안렌즈를 통할 수 없어서 시야는 어둡게 된다. 편광기와 분해기의 축을 달리 한 상태에서 관찰하고자 하는 시료의 성분이 등방성이면 시야가 역시 어두울 것이고, 비등방성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두운 배경 속에서 밝게 나타날 것이다. 비등방성을 잘 나타내는 구조물들은 근육세포, 지방방울, 망막의 광수용세포, 뼈나 치아의 결합조직섬유 등이다.
④ 간섭현미경
간섭현미경에서는 조직을 투과한 빛에 조직을 통과하지 않는 별도의 빛을 투사시킴으로써 조직을 투과한 빛이 간섭받도록 하고 있어 조직표본을 통과한 회절광에 따라 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 현미경으로는 살아 있는 세포나 세포 속의 굴절률이 다른 구조물들의 입체상을 잘 관찰할 수 있다.
⑤ 암시야현미경
암시야현미경은 대물렌즈로 들어가지 않게 한 강한 사광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특수한 암시야집광기가 사용된다. 이 집광기는 빛이 렌즈의 중심을 통하지 못하도록 만들어져 있어
굴절률은 검경하고자 하는 표본의 광밀도나 투과된 광파의 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공기의 굴절률은 1.0 물은 약 1.3 유리는 약 1.5이다. 그러므로 같은 거리를 지나는 광파가 공기, 물, 유리를 통과할 때 그 속도가 같지 않으므로 상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위상차현미경에는 이 위상차로 전환시키는 관판이 집광기와 대물렌즈의 사이에 들어 있어서 굴절률의 차이가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직이나 세포 속의 있는 구성성분들의 굴절률이 여러 가지로 다르게 나타나므로 비교적 뚜렷한 윤곽의 상을 볼 수 있다. 위상차현미경은 고적된 조직이나 염색된 표본에 대해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며, 살아 있는 세포나 염색되지 않은 조직의 관찰에 주로 이용된다.
③ 편광형미경
편광현미경은 줄굴절현상을 나타내는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일반 현미경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않는 조직의 짜임새를 관찰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것으로는 니콜 프리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편광기를 현미경의 집광이 밑에 삽입시켜 편광이 경통 내에 들어오도록 하고 분해기를 대안렌즈의 위에 놓아서 이 두 프리즘 사이에 형성된 편광방향을 변경시켜 사용한다. 즉 분해기의 편광방향을 편광기의 것과 같게 놓으면 일반 현미경에서와 같은 상을 나타내지만 분해기를 돌려서 그 축이 편광기의 축에 직각이 되도록 놓으면 광선이 대안렌즈를 통할 수 없어서 시야는 어둡게 된다. 편광기와 분해기의 축을 달리 한 상태에서 관찰하고자 하는 시료의 성분이 등방성이면 시야가 역시 어두울 것이고, 비등방성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두운 배경 속에서 밝게 나타날 것이다. 비등방성을 잘 나타내는 구조물들은 근육세포, 지방방울, 망막의 광수용세포, 뼈나 치아의 결합조직섬유 등이다.
④ 간섭현미경
간섭현미경에서는 조직을 투과한 빛에 조직을 통과하지 않는 별도의 빛을 투사시킴으로써 조직을 투과한 빛이 간섭받도록 하고 있어 조직표본을 통과한 회절광에 따라 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 현미경으로는 살아 있는 세포나 세포 속의 굴절률이 다른 구조물들의 입체상을 잘 관찰할 수 있다.
⑤ 암시야현미경
암시야현미경은 대물렌즈로 들어가지 않게 한 강한 사광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특수한 암시야집광기가 사용된다. 이 집광기는 빛이 렌즈의 중심을 통하지 못하도록 만들어져 있어
추천자료
카메라의 구조
소포체 골지체 구조와 기능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제 4장 세포의 구조와 기능 (정리 요약)
세포의 구조
[피부][피부 색][피부 구조][피부 타입][피부 혈관][피부 신경][피부 노화현상][중장년층 피...
탄소강의 부식 및 미세구조 관찰
[골격][뼈대][골격계][뼈대계][골격근][뼈대근]골격(뼈대)의 정의, 골격(뼈대)의 구조와 골격...
SPM의 구조와 원리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의미,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병태생리, 간경변(간경화, 간...
인체생리학(세포의구조와기능)
[DNA][DNA의 발견][DNA의 구조][DNA의 복제][DNA의 재조합][바이오센서][유전자]DNA의 특징, ...
세포구조의 차이와 영향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에서 세포구조의 차이와 세포 소기관의 기능』...
세라믹 미세구조 관찰 repor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