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념
194p지식은 조직내의 암묵적 지식 명시적지식(형식적)으로 구분하며, 외재화, 내재화, 사회화, 결합화 등의 상호전환과 정을 거치면서 개인인식에서부터 조직지식으로 발전한다.
암묵적 지식 : 어떤 유형이나 규칙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주과적이자 내재적인 지식
명시적 지식 : 누구나 이해 또는 전달할 수 잇는 객관적 지식
사회화 : 품질관리 분임 토의와 같이 각자의 암묵적 지식을 그룹이라는 공동체를 통하여 결합시키고 공유하는 과정이다.
외재화 : 전문가시스템의 구축에서와 같이 개인이나 조직의 암묵적 지식을 관리 및 공유 가능한 명시적 지식으로 변환 시키는 과정이다
결합화 :다국적 컨설팅 회사의 글로벌 지식공유시스템에서 볼 수 있듯이 회사내 분산된 명시적 지식들을 통합시키는 과정
내재화 : 교육받은 내용을 실제 문제에 적용하여 체계화된 암묵적 지식으로 변환시키는 과정
195p 조직의 지식관리 프로세스 : 지식을 개인이나 조직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창출하게 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조직내의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하게 하며, 조직내 지식창고에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지식기반관 리를 가능케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196p 지식관리개념
1.일반적인 지식관리 개념 : 일반적으로 지식관리의 개념은 강조하는 관점에 따라서 달라진다.
①지식창조를 강조하는 입장
②지식관리과정을 강조하는입장
③지식자산을 강조하는입장
④정보기술활용을 강조하는 입장
2. 국가지식관리개념 : 지식활동의 범주에 따라 지식창출, 지식유통, 지식확산, 지식흡수, 지식활용 들으로 분류되며, 광의 의 개념과 협의의개념으로 정의되어진다.
① 광의의 국가지식관리개념 : 지식활동과 관련되 모든 제도, 문화, 환경 등이 포함되어 지식인프라의 구축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② 협의의 국가지식관리 개념 : 공공부문의 지식관리로 한정되어 공공기관의 지식창출 , 유통, 확산, 흡수, 활용 등과 관련 된 내용들이 국가지식관리의 범위에 포함된다.
198p 지식관리시스템 : 조직 내 지식자원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통합적인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정보기 술시스템이다.
201p 지식관리전략의 성공요소
① 지식시스템
② 네트워크
③ 지식근로자
④ 학습조직
215p 공공부문의 지식관리 성공사례
미국 행정부의 지식관리
-국가 재고 프로젝트(SIP)는 ‘95년 국가차원에서 지식을 활용하기 위해 ’국가정보기반‘(NII) 프로젝트의 하나로 국립과학 재단에 의해 주도적으로 추진
194p지식은 조직내의 암묵적 지식 명시적지식(형식적)으로 구분하며, 외재화, 내재화, 사회화, 결합화 등의 상호전환과 정을 거치면서 개인인식에서부터 조직지식으로 발전한다.
암묵적 지식 : 어떤 유형이나 규칙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주과적이자 내재적인 지식
명시적 지식 : 누구나 이해 또는 전달할 수 잇는 객관적 지식
사회화 : 품질관리 분임 토의와 같이 각자의 암묵적 지식을 그룹이라는 공동체를 통하여 결합시키고 공유하는 과정이다.
외재화 : 전문가시스템의 구축에서와 같이 개인이나 조직의 암묵적 지식을 관리 및 공유 가능한 명시적 지식으로 변환 시키는 과정이다
결합화 :다국적 컨설팅 회사의 글로벌 지식공유시스템에서 볼 수 있듯이 회사내 분산된 명시적 지식들을 통합시키는 과정
내재화 : 교육받은 내용을 실제 문제에 적용하여 체계화된 암묵적 지식으로 변환시키는 과정
195p 조직의 지식관리 프로세스 : 지식을 개인이나 조직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창출하게 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조직내의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하게 하며, 조직내 지식창고에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지식기반관 리를 가능케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196p 지식관리개념
1.일반적인 지식관리 개념 : 일반적으로 지식관리의 개념은 강조하는 관점에 따라서 달라진다.
①지식창조를 강조하는 입장
②지식관리과정을 강조하는입장
③지식자산을 강조하는입장
④정보기술활용을 강조하는 입장
2. 국가지식관리개념 : 지식활동의 범주에 따라 지식창출, 지식유통, 지식확산, 지식흡수, 지식활용 들으로 분류되며, 광의 의 개념과 협의의개념으로 정의되어진다.
① 광의의 국가지식관리개념 : 지식활동과 관련되 모든 제도, 문화, 환경 등이 포함되어 지식인프라의 구축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② 협의의 국가지식관리 개념 : 공공부문의 지식관리로 한정되어 공공기관의 지식창출 , 유통, 확산, 흡수, 활용 등과 관련 된 내용들이 국가지식관리의 범위에 포함된다.
198p 지식관리시스템 : 조직 내 지식자원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통합적인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정보기 술시스템이다.
201p 지식관리전략의 성공요소
① 지식시스템
② 네트워크
③ 지식근로자
④ 학습조직
215p 공공부문의 지식관리 성공사례
미국 행정부의 지식관리
-국가 재고 프로젝트(SIP)는 ‘95년 국가차원에서 지식을 활용하기 위해 ’국가정보기반‘(NII) 프로젝트의 하나로 국립과학 재단에 의해 주도적으로 추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