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출발하기 전의 값이다. 하지만 이 전류가 계기판에 나타나는 수치 그대로 전선에 흐른다는 보장은 없다. 그 이유는 전선의 저항 때문이다. 전선의 저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구리선을 쓴다고 하지만 좁은 공간에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는 전선의 조그마한 저항을 다 합한다면 비교적 대단히 클 것이다. 이 것으로 인해 전류가 적어져 오차가 났을 가능성이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오실로스코프 사용법과 검류계의 내부저항 측정
전위차계를 이용한 기전력 측정 예비보고서
[물리학 실험]휘트스톤 브리지에 의한 비저항 측정
[물리실험] 휘스톤브릿지
[예비보고서] 휘트스톤 브리지 (Wheatstone bridge)
휘스톤 브리지 회로
브리지 회로와 노드법과 메쉬법을 이용한 해석
휘스톤브릿지 (Wheatstone Bridge) - Wheatstone Bridge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이...
(5)휘스톤브릿지
전기저항 측정 - Wheatstone Bridge
휘트스톤 브리지 (Wheatstone bridge) - 물질의 전기적 특성의 하나인 전기저항이 실제로 어...
8. 브리지회로를 이용한 저항측정
[일반물리학 실험] 휘스톤브리지(휘트스톤브리지/Wheatstone Bridge)를 이용한 전기저항 측정...
[물리 실험보고서] 휘스톤 브리지(휫스톤브릿지/Wheastone Bridge)에 의한 저항 측정 예비 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