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에 관한 내용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등산에 관한 내용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어져 버릴 정도로 날씨가 좋다. 반면에 흐리거나 눈,비가 오는 날은 저기압지역에 많다. 대개 능선에는 물이 별로 없고 골짜기에는 물이 많아 계곡을 이루고 폭포를 만든다. 그러나 능선에도 샘이 있듯이 고기압지역에서도 간혹 비가 내릴수 있다. 마찬가지로 날이 가물면 계곡도 마르듯 기압골이 지나간다 해도 하늘에 구름만 잠시 끼었다가 다시 개어버릴 경우도 많다.
등고선 간격이 클수록 고도차, 다시말해 경사가 완만하듯 등압선간격이 크면 기압차가 적다. 경사가 급한 곳을 내려오다 보면 속도가 빨라 지듯이 등압선 간격이 작은 곳에서는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내려오는 공기, 즉 바람이 빨라 진다. 산에서 길을 찾기 위해 지도를 보듯이 일기도를 보면 날씨를 찾아 낼 수 있다.
3. 기 온
공기의 온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잔디밭위에 세워진 백엽상안에 있는 온도계로 측정한다. 그 온도계는 잔디밭에서 1.5m 높이에 있다. 햇빛을 받으면 따뜻하다. 그러나 공기가 바로 햇볕을 받아 가열되는 것이 아니고 땅이 먼저 가열된 후 그 땅의 열기가 공기로 전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기온이 떨어지는 정도를 기온감율이라고 하는데, 100m 올라갈 때마다 평균 0.65°C정도 기온이 떨어진다. 찬 공기는 무겁고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는 가볍다. 이러한 이유로 대기는 매우 불안정한 모습을 하고 있어 여러가지 기상현상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 산의 지형
산에 오르는 사람에게는 지현은 매우 중요하다. 지현은 바로 산의 생김새를 말하여 이 생김새에 따라서 산이 험하기도 하고 순하기도 한다. 산에는 길이 있기도 하고 없을 수도 있다. ‘등산은 길이 끊어 진 데에서 시작한다.’ 는 유명한 말도 있지만 그렇게 엄격하게 이야기 하지 않더라도 등산하는 사람은 언제나 길은 찾아가게 마련이다.
그런데 등산에서 나있는 길을 따라가기는 쉬워도 길이 없는 데에는 길을 만들며 가기는 어렵다. 지형에는 저마다 특생이 있고 그 특색에 따라 이름이 붙어 있다. 그러니 결국 산에서 길을 찾거나 만들어 나가려면 이러한 지형의 특색과 이름을 알고 있어야 한다.
암벽의 이름 빙하의 지형과 이름
돔 dome
둥그스름하게 생긴 꼭대기. 장년기나 노년기 산에서 흔희 볼 수 있다.
평정봉 平頂峰
정상이 밋밋하고 널다랗게 된 봉우리, 초기 장년기 산에 생긴다. 히말라야 8000m급 14봉에
들어 있는 ‘브로드 피크’는 이런 모습이 어서 붙은 이름이다.
쌍봉
침식으로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5.20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