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나비효과를 보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나비효과를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영화를 선택 하게 된 이유
-1.2 문제제기

2. 본론
- 2.1 기본배경
2.1.1 영화의 소개
- 2.2 영화의 구조 이해
2.2.1 영화의 줄거리
2.2.2 내가 생각하는 이 영화의 주제
2.2.3 구조에 대한 이해
2.2.3.1 구조 관계를 통한 나비효과의 정의
- 2.3 화면 구성에 대한 이해
2.3.1 영화속의 영화
2.3.2 쇼트와 앵글의 쓰임
2.3.3 과거 회상과 현실 상황의 차이
2.3.4 영상적, 음향적 구성이 영화 구조에 미치는 영향
- 2.4 감독이 잘못 생각한 부분
2.4.1 물질적 변화의 부재
2.4.2 논리에 어긋난 진행
- 2.5 디지털 영화기술

3. 결론

본문내용

다. ‘죽음’은 더 이상의 인과관계에 놓이지 못하므로 단절을 의미 한다고 봐도 될 것이다.
2.2.3.1 구조 관계를 통한 나비효과의 정의
이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희생’을 통한 어떠한 ‘행복’의 획득이라는 등가교환의 법칙에 있어서 작용하는 나비효과(어떻게 말하면 인생의 미지성)의 중요성과 그것이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되어 지고 있는지를 말하고자 한다. 마치, 부모님의 희생 때문에 우리가 행복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우리가 무엇을 행함은 그것이 하나의 원인이 되고 다시 그 원인으로 무엇을 이루게 되고 이렇게 무한하게 우리의 행동은 연결된다. ‘원인’ 혹은 ‘하나의 희생’과 ‘결과’ 혹은 ‘다른 하나의 행복’이라는 구도 안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를 기대하고 살아가는 것이다. 자신이 행한 행위의 결과가 어떤 것이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렇게 세상이 불완전하기에 아름다운 것일 지도 모르는 것 이다. 무한히 반복되는 나비효과에 벗어나는 것은 죽음임을 영화에서 말하고 있다.
2.3 화면 구성에 대한 이해
2.3.1 영화속의 영화
나비효과(The Butterfly Effect)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롤라런과 비슷하게 각기의 많은 영화가 포함되어있다. 이는 정신병원의 의사가 기억상실증을 치료하기 위해 주인공에게 최면을 거는 장면에서 가장먼저 드러난다. 이때에 의사는 기억은 영화와 같은 것이라 느리게도 할수 있고 멈출수도 있고 되돌릴 수 도 있다고 한다. 그 후에 주인공이 과거를 바꾸고 난후에 주인공의 새로운 과거가 한 장면씩 순식간에 지나가면서 하나의 영화를 만들어 낸다. 이렇게 주인공의 영화가 많이 생겨날수록 사건은 복잡해져가고 주인공도 현실과 과거의 차이의 경계를 헷갈려 한다. 롤라런 에서는 서사적인 짧은 영화가 짧은 영화의 주인공의 미래와 ‘변화 될’ 다양한 삶의 모습을 닮고 있다면, 나비효과에서는 짧은 영화가 과거 회상과 ‘변화 된’ 다양한 삶의 모습을 닮고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2.3.2 쇼트와 앵글의 쓰임
쇼트는 대체로 인물들 간의 대화내용을 전하고 심리상태를 전하는 미디움 샷(Medium Shot)이 많이 쓰였다. 그리고 긴박감조성을 위한 음향과 그것을 계기로 급격한 공간과 사건이 전환 되어진다. 예를 들면 폭탄이 폭발하는 소리와 함께 화면은 검어지고 다시 깨어나면 다른 공간에서 다른 사건이 진행 중인- 이러한 연결이다.
주인공이 과거를 바꾸고 깨어나는 장면은 주인공은 누워있고 그것을 버즈 아이즈 뷰(bird’s eye view) 앵글에서 잡아내어서 주변상황의 변화를 처음에는 모르게 한다. 이는 주인공이 처한 상황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이끌어 내는 장치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커트(Cut)는 줄거리 서술적인 측면의 군더더기를 잘라내고 주인공이 어떠한 행동이나 자신이 감정의 변화를 느낄만한 사건의 연결할 때 많이 쓰였다. (주인공이 과거에 어떠한 변화를 시킨 후 돌아와서 자신의 주변사람들을 보게 될 때 - 엄마, 여자친구, 자신의 친구들..)
이 장면은 주인공이 과거를 변화시킨 후에 침대에서 눈을 뜨는 장면이다. 첫 장면에서는 주인공의 편안한 얼굴 외에는 확인할 정보가 없다 (버즈 아이즈 뷰 앵글을 사용). 그래서 어떻게 주변이 바뀌었는지 알 수없는데, 곧 두 팔이 절단된 모습을 보여주면서 관객들의 놀라움을 이끌어 낸다.
2.3.3 과거 회상과 현실 상황의 차이
주인공이 과거를 바꾸고 현재로 돌아와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은 몽환적인 이미지를 준다.
파스텔 톤으로 처리 된 겉 둘레와 조금 늘어지는 화면이 특징적이다. 아까 말했듯이 이 부분들은 하나의 서사적인 영화를 이루고 그동안의 일어났던 일에 대해서 관객들에게 대략적이지만 그의 주변인물과 그가 어떠한 관계에 놓였는지를 알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꿈일 것 같은 이러한 화면 처리는 현재의 주인공의 처지와 상대되면서 강한 이미지를 남긴다. 대체로 Low Key를 사용하여 어둡고 긴박감 넘치는 상태와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대비를 사진을 통하여 보자.
왼쪽의 사진은 Low Key를 사용하여 굉장히 어둡고 명암의 대비가 적다. 그래서 주인공의 불안정하고 우울한 상황을 보여주는데 효과적이다.
2.3.4 영상적, 음향적 구성이 영화 구조에 미치는 영향
순식간에 변하는 쇼트와 앵글, 긴박감 넘치게 빠르면서 가라앉는 음향들은 앞에서 살펴본 영화의 구조의 연결을 조금씩 어긋나면서 연결되도록 한다. 즉, 그냥 단순히 과거로 돌아가고 다시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 이동하는 동안 빠른 화면전환을 통해 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3.26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