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태양의 특징 ................................................................................. 2
1) 일반적인 특징 ................................................................................. 2
2) 태양 에너지 ................................................................................. 4
3) 태양의 활동 ................................................................................. 4
2. 흑점의 발생 원인 ................................................................................. 8
3. 흑점의 이동 양상.................................................................................. 9
4. 흑점의 주기 변화 ................................................................................ 10
5. 흑점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 ......................................................... 12
1) 태양 극대기 ................................................................................ 12
2) 가장 심했던 지자기 폭풍들 ......................................................... 13
3) 가장 흔히 일어나는 지자기 폭풍들 .............................................. 14
4) 다량으로 쏟아지는 입자들 ......................................................... 14
5) 이온층의 교란 ................................................................................ 14
6) 수많은 작은 문제들 ..................................................................... 15
Reference ............................................................................................ 17
1) 일반적인 특징 ................................................................................. 2
2) 태양 에너지 ................................................................................. 4
3) 태양의 활동 ................................................................................. 4
2. 흑점의 발생 원인 ................................................................................. 8
3. 흑점의 이동 양상.................................................................................. 9
4. 흑점의 주기 변화 ................................................................................ 10
5. 흑점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 ......................................................... 12
1) 태양 극대기 ................................................................................ 12
2) 가장 심했던 지자기 폭풍들 ......................................................... 13
3) 가장 흔히 일어나는 지자기 폭풍들 .............................................. 14
4) 다량으로 쏟아지는 입자들 ......................................................... 14
5) 이온층의 교란 ................................................................................ 14
6) 수많은 작은 문제들 ..................................................................... 15
Reference ............................................................................................ 17
본문내용
다.
3) 가장 흔히 일어나는 지자기 폭풍들
위의 경우보다 강도가 덜하지만 그래도 강력한 지자기폭풍은 좀 더 자주 일어난다(1년에 수 차례 이상). 이로 인하여 발전소에 설치된 배전망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GPS 항법시스템의 사용이 중단되기도 하며, 지상과 위성간의 신호를 감쇄시켜 장거리 전파통신에 지장을 줄뿐 아니라 우주정거장은 비행경로를 바꿔야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오로라는 종종 미국대륙의 북쪽 절반에 해당되는 지역에 걸쳐 관측 가능하다. 야간에 여행 또는 캠핑 등으로 야외에 있는 경우라면 북쪽하늘 또는 머리위에서도 이 빛의 장관을 볼 수가 있다. 태양활동 극대기 에는 지자기폭풍의 빈도수가 최대인 때가 두 번 있는데, 첫 번째는 극대기의 초기단계이고 두 번째는 흑점수가 최대가 된 직후가 된다.
4) 다량으로 쏟아지는 입자들
지구주변 우주공간에 쏟아지는 양성자 복사는 태양 극대기때 더 빈번하고 강도가 높지만, 지자기 폭풍의 분포와 마찬가지로 1999년에서 2002년 사이에 최대가 될 것이다. 몇몇 초강력 양성자들은 인공위성을 뚫고 지나가 내부 전자장치에 이상을 일으키고 위성의 동력원인 태양전지가 손상되기도 한다. 허블 망원경과 같은 우주미션들은 이러한 활동에 주목하고 시스템의 상태를 항상 점검하여 만약의 사태에 항상 대비하고 있다. 위성의 궤도상 위치 및 우주비행사들의 활동상태에 따라서 이들은 복사선량의 증가에 노출된다. 우주정거장의 건설 작업 시 승무원들의 우주선외 활동 시간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복사량의 수치는 항상 체크해야만 한다. 1999년에서 2004년 사이에 계획된 34개의 우주미션에 필요한 이러한 우주선외 활동의 숫자는 100회 이상이나 되는데, 이 시기는 태양활동이 매우 활발한 시기와 겹쳐진다. 이러한 활동을 많이 하는 NASA에서는 SEC과 협력하여 이에 대비한 감시활동을 하게 되며, NOAA의 우주환경예보 및 관련 자료들을 이용하여 활동 시 복사선량이 기준치이하가 되도록 할 것이다.
5) 이온층의 교란
현재 통신 관련 시장 에서 인공위성을 기반으로 한 분야는 가장 빠른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다. TV 및 라디오 방송, 장거리 전화, 이동전화 및 호출기 등이 위성송신에 의한 것이다(그림 12).
많은 통신시스템들이 전파신호를 이온층에 반사시켜 장거리로 통신을 한다. 이온층 폭풍은 전 위도에 걸쳐서 전파통신에 영향을 끼친다. 일부 주파수에서는 흡수 및 반사가 일어나서, 신호가 급격히 흔들리거나 전파방향이 바뀌기도 한다.
6) 수많은 작은 문제들
지구탐사를 위한 과학실험이 미묘하고 복잡하게 영향을 받을 수가 있다. 오존 측정의 경우 입자들로 인한 측정값 손실분을 보정해줘야 한다. 입자들이 많이 쏟아질 때 항공기가 고위도지방을 비행할 때, 거기서 사용되는 복사선량 측정기의 측정치가 약간 올라갈 수도 있다. 민감한 자기 센서는 지자기 폭풍시 잡음레벨이 증가하게 된다. 지구지각의 단층을 따라 발생하는 운동을 측정하거나, 굴착작업, 지하자원탐사, 해저 지도 작성 등에 쓰이는 센서들이 이에 해당한다. 잡음레벨이 높을수록 부정확한 측정치가 나오게 된다.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사용되면서, 태양 극대기의 영향은 계속해서 증가추세에 있다. NOAA 우주 환경 센터(SEC)는 이러한 영향들을 연구, 기록하여 수요자들에게 경보를 내리는 역할을 계속하게 될 것이다.
본 과제를 하기 전에는 여지까지 태양활동중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흑점이라고 알고 있었다. 그러나 태양에 대하여 조사를 하고나니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흑점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이 아니라 플레어나 코로나 물질방출과 같은 간접적인 영향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비록 하찮아 보일지 모를 태양 표면의 온도차가 지구에서는 지구 자기장 교란, 인공위성의 파손, 태양풍에 의한 지구대기 열권의 온도상승 등 커다란 피해를 입히는 것을 보니 이런 것이 ‘나비 효과’라는 말이 생각나고 지금 당장은 눈에 보이지 않을 태양활동에 의한 또다른 피해가 우려된다.
Reference
김록순 외, The relative sunspot numbers from 1987 to 2002,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18: 25 ~ 35, 2003.
Joselyn, Jo Ann, et al., Panel Achieves Consensus Prediction of Solar Cycle 23,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78, no. 20, May 20, pp205, 211-212, 1997.
Joselyn, Jo Ann, "The Human Impact of Solar Flares and Magnetic Storms", from From the Sun, Steven T. Suess and Bruce T. Tsurutani, eds., AGU, Washington, D.C., 1998.
Kappenmann, John G., Geomagnetic Storm Forecasting Mitigates Power System Impacts, IEEE Power Engineering Review, Nov., p 4-7, 1998.
Turner, R. E., and J. E. Baker, Solar particle events and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Acta Astronautica 42, 107-114, 1998.
http://skyandtelescope.com/observing/objects/sun/article_735_1.asp
http://liftoff.msfc.nasa.gov/academy/space/solarsystem/solarsystemjav.html
http://www.fourmilab.ch/cgi-bin/uncgi/Solar/action?sys=-Sf
http://www.hawastsoc.org/solar/eng/homepage.htm
http://science.nasa.gov/headlines/y2000/ast05apr_1m.htm
3) 가장 흔히 일어나는 지자기 폭풍들
위의 경우보다 강도가 덜하지만 그래도 강력한 지자기폭풍은 좀 더 자주 일어난다(1년에 수 차례 이상). 이로 인하여 발전소에 설치된 배전망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GPS 항법시스템의 사용이 중단되기도 하며, 지상과 위성간의 신호를 감쇄시켜 장거리 전파통신에 지장을 줄뿐 아니라 우주정거장은 비행경로를 바꿔야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오로라는 종종 미국대륙의 북쪽 절반에 해당되는 지역에 걸쳐 관측 가능하다. 야간에 여행 또는 캠핑 등으로 야외에 있는 경우라면 북쪽하늘 또는 머리위에서도 이 빛의 장관을 볼 수가 있다. 태양활동 극대기 에는 지자기폭풍의 빈도수가 최대인 때가 두 번 있는데, 첫 번째는 극대기의 초기단계이고 두 번째는 흑점수가 최대가 된 직후가 된다.
4) 다량으로 쏟아지는 입자들
지구주변 우주공간에 쏟아지는 양성자 복사는 태양 극대기때 더 빈번하고 강도가 높지만, 지자기 폭풍의 분포와 마찬가지로 1999년에서 2002년 사이에 최대가 될 것이다. 몇몇 초강력 양성자들은 인공위성을 뚫고 지나가 내부 전자장치에 이상을 일으키고 위성의 동력원인 태양전지가 손상되기도 한다. 허블 망원경과 같은 우주미션들은 이러한 활동에 주목하고 시스템의 상태를 항상 점검하여 만약의 사태에 항상 대비하고 있다. 위성의 궤도상 위치 및 우주비행사들의 활동상태에 따라서 이들은 복사선량의 증가에 노출된다. 우주정거장의 건설 작업 시 승무원들의 우주선외 활동 시간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복사량의 수치는 항상 체크해야만 한다. 1999년에서 2004년 사이에 계획된 34개의 우주미션에 필요한 이러한 우주선외 활동의 숫자는 100회 이상이나 되는데, 이 시기는 태양활동이 매우 활발한 시기와 겹쳐진다. 이러한 활동을 많이 하는 NASA에서는 SEC과 협력하여 이에 대비한 감시활동을 하게 되며, NOAA의 우주환경예보 및 관련 자료들을 이용하여 활동 시 복사선량이 기준치이하가 되도록 할 것이다.
5) 이온층의 교란
현재 통신 관련 시장 에서 인공위성을 기반으로 한 분야는 가장 빠른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다. TV 및 라디오 방송, 장거리 전화, 이동전화 및 호출기 등이 위성송신에 의한 것이다(그림 12).
많은 통신시스템들이 전파신호를 이온층에 반사시켜 장거리로 통신을 한다. 이온층 폭풍은 전 위도에 걸쳐서 전파통신에 영향을 끼친다. 일부 주파수에서는 흡수 및 반사가 일어나서, 신호가 급격히 흔들리거나 전파방향이 바뀌기도 한다.
6) 수많은 작은 문제들
지구탐사를 위한 과학실험이 미묘하고 복잡하게 영향을 받을 수가 있다. 오존 측정의 경우 입자들로 인한 측정값 손실분을 보정해줘야 한다. 입자들이 많이 쏟아질 때 항공기가 고위도지방을 비행할 때, 거기서 사용되는 복사선량 측정기의 측정치가 약간 올라갈 수도 있다. 민감한 자기 센서는 지자기 폭풍시 잡음레벨이 증가하게 된다. 지구지각의 단층을 따라 발생하는 운동을 측정하거나, 굴착작업, 지하자원탐사, 해저 지도 작성 등에 쓰이는 센서들이 이에 해당한다. 잡음레벨이 높을수록 부정확한 측정치가 나오게 된다.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사용되면서, 태양 극대기의 영향은 계속해서 증가추세에 있다. NOAA 우주 환경 센터(SEC)는 이러한 영향들을 연구, 기록하여 수요자들에게 경보를 내리는 역할을 계속하게 될 것이다.
본 과제를 하기 전에는 여지까지 태양활동중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흑점이라고 알고 있었다. 그러나 태양에 대하여 조사를 하고나니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흑점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이 아니라 플레어나 코로나 물질방출과 같은 간접적인 영향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비록 하찮아 보일지 모를 태양 표면의 온도차가 지구에서는 지구 자기장 교란, 인공위성의 파손, 태양풍에 의한 지구대기 열권의 온도상승 등 커다란 피해를 입히는 것을 보니 이런 것이 ‘나비 효과’라는 말이 생각나고 지금 당장은 눈에 보이지 않을 태양활동에 의한 또다른 피해가 우려된다.
Reference
김록순 외, The relative sunspot numbers from 1987 to 2002,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18: 25 ~ 35, 2003.
Joselyn, Jo Ann, et al., Panel Achieves Consensus Prediction of Solar Cycle 23,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78, no. 20, May 20, pp205, 211-212, 1997.
Joselyn, Jo Ann, "The Human Impact of Solar Flares and Magnetic Storms", from From the Sun, Steven T. Suess and Bruce T. Tsurutani, eds., AGU, Washington, D.C., 1998.
Kappenmann, John G., Geomagnetic Storm Forecasting Mitigates Power System Impacts, IEEE Power Engineering Review, Nov., p 4-7, 1998.
Turner, R. E., and J. E. Baker, Solar particle events and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Acta Astronautica 42, 107-114, 1998.
http://skyandtelescope.com/observing/objects/sun/article_735_1.asp
http://liftoff.msfc.nasa.gov/academy/space/solarsystem/solarsystemjav.html
http://www.fourmilab.ch/cgi-bin/uncgi/Solar/action?sys=-Sf
http://www.hawastsoc.org/solar/eng/homepage.htm
http://science.nasa.gov/headlines/y2000/ast05apr_1m.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