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전한 투약을 위한 준비(Preparation for safe administration)
1) 약물용량 결정
2) 확인
3) 가족상황
2. 구강투여(Oral administration)
1) 준비
2) 투약
3. 근육주사 관리(Intramuscular administration)
1) 주사기와 바늘 선택
2) 부위결정
3) 투약
4. 피하주사와 피내주사 관리(Subcutaneous and intradermal administration)
1) 말초정맥 이식장치
2) 중심정맥 이식장치
5. 정맥 주사 투여(Intravenous administration)
6. 비위관, 구강 또는 위루술 투여(Nasogastric, orogastric or gastrotomy administration)
7. 항문투여(Rectal administration)
8. 눈, 귀, 그리고 코의 투약(Optic, otic and nasal administration)
9. 가족교육과 가정간호(Family teaching and home care)
1) 약물용량 결정
2) 확인
3) 가족상황
2. 구강투여(Oral administration)
1) 준비
2) 투약
3. 근육주사 관리(Intramuscular administration)
1) 주사기와 바늘 선택
2) 부위결정
3) 투약
4. 피하주사와 피내주사 관리(Subcutaneous and intradermal administration)
1) 말초정맥 이식장치
2) 중심정맥 이식장치
5. 정맥 주사 투여(Intravenous administration)
6. 비위관, 구강 또는 위루술 투여(Nasogastric, orogastric or gastrotomy administration)
7. 항문투여(Rectal administration)
8. 눈, 귀, 그리고 코의 투약(Optic, otic and nasal administration)
9. 가족교육과 가정간호(Family teaching and home care)
본문내용
여과기에서 먼 튜브 주위를 통해 정맥 주사 되어야 함
-아동이 주사를 맞을 때 반응은 예측하기 어렵고, 완벽하게 협조해 주리란 기대를 해서는 안되며, 지지가 필요함
-주사약이 정시에 주어지지 않는다면 간호사는 잠자는 아동에게 주사하는 것을 삼가는데 이는 아동이 잠자기를 두렵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먼저 깨워서 아동에게 경고 를 하고 설명한 후 투약함
▣ 아동의 근육주사 부위
▷ 측광근(vastus lateralis)
주삿바늘 삽입과 크기: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는 무릎까지 수직으로 삽입하거나 대퇴부까 지 수직으로 하되 전면 대퇴부를 약간 각지게 한다
장점: 많은 주사량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록 넓고 잘 발달되었으며 아동이 반듯하게 눕거 나 옆으로 눕거나 앉아도 쉽게 할 수 있다
단점: 중간대퇴부에 주사해서 대퇴동맥에 혈전증을 일으킬 수 있고 좌골신경 손상이 오 기 쉬우면 삼각근이나 둔근 보다 더 아프다.
▷ 복측둔근(ventrogluteal)
주사바늘 삽입과 크기: 수직으로 주삿바늘을 삽입하되 장골극 쪽으로 살짝 기울게 하며 22~25게이지를 사용한다.
장점: 중요한 신경과 혈관으로부터 자유로우며, 등 쪽 둔근보다 피하지방층이 얇고 근육 쪽보다 피하로 약물이 덜 침착되고 보다 많은 양을 수용할 수 있다.
단점: 건강관련 전문가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부위다
▷ 삼각근(deltoid)
주삿바늘 삽입과 크기: 수직으로 주삿바늘을 삽입하면서 어깨쪽으로 약간 각지게 하며 22~25게이지 바늘을 사용한다.
장점: 둔근보다 흡수가 빠르며 측광근과 비교해서 백신접종 후 덜 아프고 부작용도 적다. 또한 옷을 조금만 벗겨도 쉽게 주사할 수 있다
단점:근육이 작아서 약물에 제한이 있으며 요골신경과 액완신경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 등쪽둔근(dorsogluteal)
주삿바늘 삽입과 크기: 아동을 엎드려 눕혀서 등쪽 둔부에 수직으로 바늘을 삽입하며 20~25게이지를 사용한다.
장점: 근육이 크고 넓으므로 많은 양을 투여할 수 있으며 아동이 엎드리거나 옆으로 누 우면 쉽게 주사할 수 있다.
단점: 최소한 1년 정도 아동이 걸을 수 없으면 이 주사는 금기이며, 좌골신경에 영향을 주거나 두꺼운 피하지방으로 인해 피하에 많은 약물이 축적될 수 있다.
4. 피하주사와 피내주사 관리(Subcutaneous and intradermal administration)
① 피하주사
-피하주사를 위한 바늘의 각도는 90도로 지켜야 하며 피하조직이 거의 없는 어린 아동에게 45도 각도로 삽입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음
-피하조직은 상지 측면 3등분의 중앙부, 복부, 대퇴 전면 3등분의 중앙에 분포되어 있음
-피하로 주사하기 전에 흡인해 볼 필요가 없음
ex) 인슐린, 호르몬 대체요법, 알레르기 민감성 소실, 몇 가지 백신
② 피내주사
-투베르툴린 반응, 국소마취, 알레르기 시험에 사용
-상박의 손바닥 쪽에 피내주사 할때 간호사는 피부보다 더 민감한 팔의 중앙부위는 피함
5. 정맥 주사 투여(Intravenous administration)
▷ 정맥주사를 통한 약물투여는 소아치료에서 자주 사용되며 몇 가지 중요한 약물들은 정맥 주사가 유일한 효과적 약물투여 경로가 됨
-설사, 탈수 또는 말초혈관 붕괴의 결과로 흡수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약물투여 경로로 이용 되는데 약물에 고농도 용액이 필요한 아동, 시간이 연장되어도 비경구적 약물이 요구되는 감염아동, 지속적 통증완화를 필요로 하는 아동, 응급치료를 필요로 하는 아동에게 사용됨
[영아와 아동에게 약물을 준비할 때 고려할 사항]
① 투여될 약물의 용량
② 아동이 수액을 제한받아야 한다면 약물을 희석할 수 있는 최소용액
③ 약물이
-아동이 주사를 맞을 때 반응은 예측하기 어렵고, 완벽하게 협조해 주리란 기대를 해서는 안되며, 지지가 필요함
-주사약이 정시에 주어지지 않는다면 간호사는 잠자는 아동에게 주사하는 것을 삼가는데 이는 아동이 잠자기를 두렵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먼저 깨워서 아동에게 경고 를 하고 설명한 후 투약함
▣ 아동의 근육주사 부위
▷ 측광근(vastus lateralis)
주삿바늘 삽입과 크기: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는 무릎까지 수직으로 삽입하거나 대퇴부까 지 수직으로 하되 전면 대퇴부를 약간 각지게 한다
장점: 많은 주사량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록 넓고 잘 발달되었으며 아동이 반듯하게 눕거 나 옆으로 눕거나 앉아도 쉽게 할 수 있다
단점: 중간대퇴부에 주사해서 대퇴동맥에 혈전증을 일으킬 수 있고 좌골신경 손상이 오 기 쉬우면 삼각근이나 둔근 보다 더 아프다.
▷ 복측둔근(ventrogluteal)
주사바늘 삽입과 크기: 수직으로 주삿바늘을 삽입하되 장골극 쪽으로 살짝 기울게 하며 22~25게이지를 사용한다.
장점: 중요한 신경과 혈관으로부터 자유로우며, 등 쪽 둔근보다 피하지방층이 얇고 근육 쪽보다 피하로 약물이 덜 침착되고 보다 많은 양을 수용할 수 있다.
단점: 건강관련 전문가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부위다
▷ 삼각근(deltoid)
주삿바늘 삽입과 크기: 수직으로 주삿바늘을 삽입하면서 어깨쪽으로 약간 각지게 하며 22~25게이지 바늘을 사용한다.
장점: 둔근보다 흡수가 빠르며 측광근과 비교해서 백신접종 후 덜 아프고 부작용도 적다. 또한 옷을 조금만 벗겨도 쉽게 주사할 수 있다
단점:근육이 작아서 약물에 제한이 있으며 요골신경과 액완신경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 등쪽둔근(dorsogluteal)
주삿바늘 삽입과 크기: 아동을 엎드려 눕혀서 등쪽 둔부에 수직으로 바늘을 삽입하며 20~25게이지를 사용한다.
장점: 근육이 크고 넓으므로 많은 양을 투여할 수 있으며 아동이 엎드리거나 옆으로 누 우면 쉽게 주사할 수 있다.
단점: 최소한 1년 정도 아동이 걸을 수 없으면 이 주사는 금기이며, 좌골신경에 영향을 주거나 두꺼운 피하지방으로 인해 피하에 많은 약물이 축적될 수 있다.
4. 피하주사와 피내주사 관리(Subcutaneous and intradermal administration)
① 피하주사
-피하주사를 위한 바늘의 각도는 90도로 지켜야 하며 피하조직이 거의 없는 어린 아동에게 45도 각도로 삽입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음
-피하조직은 상지 측면 3등분의 중앙부, 복부, 대퇴 전면 3등분의 중앙에 분포되어 있음
-피하로 주사하기 전에 흡인해 볼 필요가 없음
ex) 인슐린, 호르몬 대체요법, 알레르기 민감성 소실, 몇 가지 백신
② 피내주사
-투베르툴린 반응, 국소마취, 알레르기 시험에 사용
-상박의 손바닥 쪽에 피내주사 할때 간호사는 피부보다 더 민감한 팔의 중앙부위는 피함
5. 정맥 주사 투여(Intravenous administration)
▷ 정맥주사를 통한 약물투여는 소아치료에서 자주 사용되며 몇 가지 중요한 약물들은 정맥 주사가 유일한 효과적 약물투여 경로가 됨
-설사, 탈수 또는 말초혈관 붕괴의 결과로 흡수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약물투여 경로로 이용 되는데 약물에 고농도 용액이 필요한 아동, 시간이 연장되어도 비경구적 약물이 요구되는 감염아동, 지속적 통증완화를 필요로 하는 아동, 응급치료를 필요로 하는 아동에게 사용됨
[영아와 아동에게 약물을 준비할 때 고려할 사항]
① 투여될 약물의 용량
② 아동이 수액을 제한받아야 한다면 약물을 희석할 수 있는 최소용액
③ 약물이
추천자료
[통증관리] 급성통증관리 및 아동의 약리적 통증완화 방법 [2012년 A+추천]
[아동발달] 아동기 신체발달 - 신체발달, 운동기능의 발달, 아동기 건강관리와 질병, 아동기 ...
[간호학과] 급성통증관리 및 아동의 약리적 통증완화 방법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아동학대(child abuse) - 아동학대의 개념, 아동학대의 종류와 원인...
[아동발달] 아동 발달 특성별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각 단계별 영아기 유아기 학령기...
[아동건강교육 공통] (1)아동건강교육의 중요성과 건강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지도원리...
[생활지도와 상담] ADHD 아동의 행동관리를 위한 담임교사의 역할 - ADHD 아동에 대한 교사의...
[생활지도와 상담] 공격적 아동과 반항적 아동의 행동관리 - 아동의 공격행동 및 반항행동의 ...
[생활지도와 상담] 아동의 공격행동과 반항행동을 관리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 및 학급운영을 ...
[아동건강교육 D형] 유아교육기관 급식관리에 대해 논하시오(급식관리 관련 법령, 급식관리의...
아동기 건강관리와 질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