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dness,chloride(염화물,경도) 실험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ardness,chloride(염화물,경도) 실험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Objective)

2. 기자재 및 시약, 시료(Materials)

3. 실험과정 (Methods)

4. 결과(Results)

5. 결론 및 토의(Discussion)

6. 참고문헌

7. 관련이론

본문내용

외 2명, 수질환경기사산업기사, 성인당 (2004)
.Sawyer, C. & P. McCarty, Chemistry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4th Ed, McGraw-Hill, New york(1979)
김좌관, 수질오염개론, 동화기술 (2000)
.김형석김부길송영채 공저, “수질분석 및 수처리 실험,” 동아기술
7. 관련이론
mg/L
경도(degree of hardness)
0~75
단물(soft)
75~150
약간센물(moderately hard)
150~300
센물 (hard)
300이상
대단히 샘물(very hard)
경도를 일으키는 양 Ion
음 Ion
Ca++
Mg++
Sr++
Fe++
Mn++
HCO3-
OH-
SO4--
CL-
NO3-
SIO3--
총경도 ≤ M- 알칼리도일 때, 탄산경도(mg/L) = 총경도 ( mg/L)
총경도 〉M- 알칼리도일 때, 탄산경도( mg/L) = 알칼리도 ( mg/L)
경도(hardness) 주의사항
1. EBT 표준액의 변색이 늦기 때문에 변색점 부근에서는 잘 혼합하면서 천천히 적정한다.
2. 시료에 Mg2+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EBT 표준액의 사용시 변색점이 불분 명하다. 따라서 달리 EDTA 표준액 제조시 MgCl 6수화물 0.1g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3. 시료에 수산화칼륨 용액을 가하기 전에 지시약을 가하면 Mg2+이 지시약과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하여 Mg(OH)와 공침하게 되므로 시약의 첨가순서가 틀리지 않도록 한다.
4. EBT 표준액을 제조할 경우 메틸알코올을 사용하고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트리에탄올아민은 강알칼리성 용액 중에서 Fe3+, Al3+, Mn3+ 등 3가의 금속이온과 안정한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3가 양이온을 은폐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염화물(chloride) 주의사항
1. 시료의 액성이 PH 6.5~10.5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2. 시료가 심하게 착색되어 있는 경우 칼륨명반 현탁액(KAI(SO4)212H2O)을 사용하여 침전 되어 있는 것을 취하지 않고 상등 액을 취하여 실험한다.
3. 질산은(AgNO3) 시약은 피부에 묻으면 까맣게 부식시키므로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질산은 용액은 햇빛에 의해 분해되므로 갈색 뷰렛을 사용하여 적정하고 갈색병에 넣어 냉암 소에 보관한다.
5. 질산은 용액을 조제할 때에는 염화물이 없는 증류수를 사용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0.01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