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І.종교란 무엇인가?
ІІ.세계의 종교
і.불교
іі.기독교
ііі.이슬람교
іііі.유교
ііііі.힌두교
ІІІ.결 어
ІІ.세계의 종교
і.불교
іі.기독교
ііі.이슬람교
іііі.유교
ііііі.힌두교
ІІІ.결 어
본문내용
라 헤롯대왕(BC 37∼BC 4?) 통치 말기에 실시한 ‘호구조사령(戶口調査令)’을 근거로 BC4년경 출생으로 추정하고 있다.
신약성서에 의하면, 예수는 성령에 의하여 처녀인 마리아의 몸에서 태어났다고 한다.당시 이스라엘 민족 사이에는 종말신앙(終末信仰)이 널리 퍼져 있었다.이스라엘 민족은 이미 BC 6세기부터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그리스 등 외국의 지배를 받아 왔었다.
특히 BC 3세기 초부터는 그리스의 지배하에서 유대교가 박해를 받아, 예루살렘 성전까지 약탈당하였으며, 많은 이스라엘 민족이 학살되었다.BC 2세기 중반에는 반(反)그리스 전쟁으로 한때 이스라엘 민족이 독립을 하였지만, BC 63년에는 다시 로마의 지배를 받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유대교도들은 그들의 유일한 신으로 믿고 있는 야훼신(하느님)이 그들 민족을 구하여주기를 기다리고 있었고, 지금의 세상은 얼마안가 끝이 나고 새로운 세상이 오리라는 희망과 믿음 속에서 살았다.그리고 새 세상을 다스릴 왕으로서 ‘메시아(Messiah)’가 나타나 주기를 기다렸다.
‘메시아’의 원어는 헤브라이어의 마샤(mshia)로서, 이는 ‘기름부음을 받은 자’라는뜻인데, 이
말은 이스라엘 역사상 왕을 가리키는 말이었다.이와 같이 이스라엘 민족 사이에 종말사상이 팽배해 있고, 그에 따라 메시아를 기다리는 열망이 높아 있을 무렵에 예수가 태어나서 ‘하느님의 나라’의 복음(福音)을 사람들에게 전하였다.
예수는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나라를 맞이할 마음의 준비를 하도록 하였다.그 가르침의 중심사상은 바로 ‘사랑’이었다.“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님이신 너희 하느님을 사랑하라.…네 이웃을 네 몸같이 사랑하라.…이 두 계명이 모든 율법과 예언서의 골자이다”(마태 22:37∼40). 예수의 이 말 속에 그의 모든 가르침이 요약되어 있다.
예수는 스스로 사랑을 실천하여, 병든사람과 불구자들을 고쳐 주고, 가난하고 버림받은 자를 가까이 하며 죄인들에게도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는 기쁜 소식을 전하였다.그리하여 많은 사람들이 예수를 메시아로 믿었으며, 예수의 제자들도 “선생님은 살아계신 하느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십니다”(마태오16:16)라고 고백하며 예수를 따랐다.
‘그리스도’라는 말은 ‘메시아’라는 말에 해당하는 그리스어이다.그러나 사랑의 정신에 기초한예수의 숭고한 가르침은, 율법주의에 묶여 있던 당시 유대교 지도자들로부터는 배척을 받았고, 마침내 예수는 이스라엘의 왕을 자칭한다는 정치적인 반(反)로마 운동자로 몰려 십자가에서 죽임을 당하였다.
<사도들의 전도>
하느님으로서 인성(人性)을 취한 예수는 신적(神的) 사랑의 극치를 보이는 죽음을 당하지만, 하느님 나라의 승리를 증거하고 구원 사업을 완수하기 위해 다시 살아나 제자들 앞에 그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 부활신앙은 예수의 탄생·죽음과 함께 그리스도교의 중요한 교의(敎義)가 되어 있다.
예수의 부활을 경험한 제자들은 예수가 그리스도로서 이 세상의 구원자임을 확실히 믿게 되었다.그들은 지금까지의 근거지였던 예루살렘에서 추방되어, 사마리아에서 시리아·남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역으로 흩어져, 예수의 사도로서 그리스도교 신앙을 전파하였다.
12사도 중 요한은 에페소에 정착하여 초대 교회를 이끌었고, 마르코는 알렉산드리아에 교회를 세웠다.마침내 사도 바울로가 그들에게 합세하면서부터는 지중해 연안 여러 지방에 그리스도교가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바울로의 이방인 선교>
그리스도교를 유대교에서 결정적으로 분리시켜, 인종과 지역을 초월한 세계종교로 발전시킨 것은 사도 바울로의 선교활동이었다.바울로는 로마 시민권을 가진 엄격한 유대교도로서, 처음에는 그리스도교 박해의 선두에서 활약하였으나, 마침내 결정적 계기에 의해 그리스도교 신앙에로 회심(回心)한 이후 열렬한 선교활동을 하였다.
그의 전도 대상은 유대인들뿐만 아니라 여러 이방인도 포함하였다.그리하여 그리스도교는 유대민족의 범주를 벗어나 지중해 연안의 종교로, 세계종교로 확장되기에 이르렀다.사도시대로부터 바울로의 이방인 선교시대를 ‘원시 그리스도교 시대’라 하는데, 이 시기에 초대교회가 형성되었다.
.이슬람교
이슬람교는 주로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 걸친 8억 신자를 가진 종교로 대부분이 아랍인들이다. 7세기 아라비아 반도에서 발전하였으며 윤리는 아주 기본적인 것으로서 선은 선으로 보답하고 악은 악으로 보답할 정도로 정의로워야 하고 관대해야 하며 빈자를 도와야 한다는 것 등이다.
가부장적이고 부족 적인 옛 생활 관습은 이슬람교에서의 남녀 관계 및 가족 윤리에 많은 영향을 주어 여성은 남자들의 즐거움을 위해 알라에 의해 창조된 부속물로 여겨진다. 교리는 본질적으로 유대-기독교의 원리를 기초로 하였지만 부족 적인 관습이 몰락하면서 출현한 보다 원시적인 사회구조에 적응한 것들이다. 이렇게 이슬람교 이데올로기는 가르침이 복잡하지 않고 실행하기에 충분히 쉬운 것들이었기 때문에 대중에게, 특히 아시아의 농민과 유목인들에게 쉽게 확산되었다.
이슬람은 서기 610년 지금의 사우디 아라비아의 메카라는 도시에서 무함맏 (마호멧)이라는 선지자가 하나님의 계시를 받음으로 잔파 되기 시작한 종교이다.
이후 수차례에 걸친 게시를 기록한 경전이 114장에 이르는 경전인 꾸란(코란)으로
내용은 천지 창조와 인간의 창조, 이후 하나님으로부터의 계시에 대한 내용과 인간 생활 전반에 걸친 가르침으로 되어 있다. 이슬람 신자의 생활은 이슬람의 기본을 이루는 \'오주, 육신\' (五柱 六信)을 믿고 지키는 것이 기 기본을 이루는데 이는 다섯가지 의무와 여섯 가지 믿음으로 반드시 지켜야한다.
오주는 1.신앙 선언, 2.예배, 3.희사 (구빈세), 4.단식, 5.성지순례입니다.
신앙선언은 이슬람 신자가 될 때 \"하나님 외에 신은 없고 무함맏은 그 사도임을 증언합니다.\"라는
내용을 증인들 앞에서 선언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무슬림(이슬람 신자)가 됩니다.
예배는 하루 다섯 차례 (새벽, 정오, 오후, 일몰, 밤) 정해진 시간에 메카를 향하여 간단한형식으로 깨끗한 장소 어디서나 드릴 수 있습니다. 예배 전에는 반드시 몸을 깨끗이
신약성서에 의하면, 예수는 성령에 의하여 처녀인 마리아의 몸에서 태어났다고 한다.당시 이스라엘 민족 사이에는 종말신앙(終末信仰)이 널리 퍼져 있었다.이스라엘 민족은 이미 BC 6세기부터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그리스 등 외국의 지배를 받아 왔었다.
특히 BC 3세기 초부터는 그리스의 지배하에서 유대교가 박해를 받아, 예루살렘 성전까지 약탈당하였으며, 많은 이스라엘 민족이 학살되었다.BC 2세기 중반에는 반(反)그리스 전쟁으로 한때 이스라엘 민족이 독립을 하였지만, BC 63년에는 다시 로마의 지배를 받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유대교도들은 그들의 유일한 신으로 믿고 있는 야훼신(하느님)이 그들 민족을 구하여주기를 기다리고 있었고, 지금의 세상은 얼마안가 끝이 나고 새로운 세상이 오리라는 희망과 믿음 속에서 살았다.그리고 새 세상을 다스릴 왕으로서 ‘메시아(Messiah)’가 나타나 주기를 기다렸다.
‘메시아’의 원어는 헤브라이어의 마샤(mshia)로서, 이는 ‘기름부음을 받은 자’라는뜻인데, 이
말은 이스라엘 역사상 왕을 가리키는 말이었다.이와 같이 이스라엘 민족 사이에 종말사상이 팽배해 있고, 그에 따라 메시아를 기다리는 열망이 높아 있을 무렵에 예수가 태어나서 ‘하느님의 나라’의 복음(福音)을 사람들에게 전하였다.
예수는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나라를 맞이할 마음의 준비를 하도록 하였다.그 가르침의 중심사상은 바로 ‘사랑’이었다.“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님이신 너희 하느님을 사랑하라.…네 이웃을 네 몸같이 사랑하라.…이 두 계명이 모든 율법과 예언서의 골자이다”(마태 22:37∼40). 예수의 이 말 속에 그의 모든 가르침이 요약되어 있다.
예수는 스스로 사랑을 실천하여, 병든사람과 불구자들을 고쳐 주고, 가난하고 버림받은 자를 가까이 하며 죄인들에게도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는 기쁜 소식을 전하였다.그리하여 많은 사람들이 예수를 메시아로 믿었으며, 예수의 제자들도 “선생님은 살아계신 하느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십니다”(마태오16:16)라고 고백하며 예수를 따랐다.
‘그리스도’라는 말은 ‘메시아’라는 말에 해당하는 그리스어이다.그러나 사랑의 정신에 기초한예수의 숭고한 가르침은, 율법주의에 묶여 있던 당시 유대교 지도자들로부터는 배척을 받았고, 마침내 예수는 이스라엘의 왕을 자칭한다는 정치적인 반(反)로마 운동자로 몰려 십자가에서 죽임을 당하였다.
<사도들의 전도>
하느님으로서 인성(人性)을 취한 예수는 신적(神的) 사랑의 극치를 보이는 죽음을 당하지만, 하느님 나라의 승리를 증거하고 구원 사업을 완수하기 위해 다시 살아나 제자들 앞에 그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 부활신앙은 예수의 탄생·죽음과 함께 그리스도교의 중요한 교의(敎義)가 되어 있다.
예수의 부활을 경험한 제자들은 예수가 그리스도로서 이 세상의 구원자임을 확실히 믿게 되었다.그들은 지금까지의 근거지였던 예루살렘에서 추방되어, 사마리아에서 시리아·남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역으로 흩어져, 예수의 사도로서 그리스도교 신앙을 전파하였다.
12사도 중 요한은 에페소에 정착하여 초대 교회를 이끌었고, 마르코는 알렉산드리아에 교회를 세웠다.마침내 사도 바울로가 그들에게 합세하면서부터는 지중해 연안 여러 지방에 그리스도교가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바울로의 이방인 선교>
그리스도교를 유대교에서 결정적으로 분리시켜, 인종과 지역을 초월한 세계종교로 발전시킨 것은 사도 바울로의 선교활동이었다.바울로는 로마 시민권을 가진 엄격한 유대교도로서, 처음에는 그리스도교 박해의 선두에서 활약하였으나, 마침내 결정적 계기에 의해 그리스도교 신앙에로 회심(回心)한 이후 열렬한 선교활동을 하였다.
그의 전도 대상은 유대인들뿐만 아니라 여러 이방인도 포함하였다.그리하여 그리스도교는 유대민족의 범주를 벗어나 지중해 연안의 종교로, 세계종교로 확장되기에 이르렀다.사도시대로부터 바울로의 이방인 선교시대를 ‘원시 그리스도교 시대’라 하는데, 이 시기에 초대교회가 형성되었다.
.이슬람교
이슬람교는 주로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 걸친 8억 신자를 가진 종교로 대부분이 아랍인들이다. 7세기 아라비아 반도에서 발전하였으며 윤리는 아주 기본적인 것으로서 선은 선으로 보답하고 악은 악으로 보답할 정도로 정의로워야 하고 관대해야 하며 빈자를 도와야 한다는 것 등이다.
가부장적이고 부족 적인 옛 생활 관습은 이슬람교에서의 남녀 관계 및 가족 윤리에 많은 영향을 주어 여성은 남자들의 즐거움을 위해 알라에 의해 창조된 부속물로 여겨진다. 교리는 본질적으로 유대-기독교의 원리를 기초로 하였지만 부족 적인 관습이 몰락하면서 출현한 보다 원시적인 사회구조에 적응한 것들이다. 이렇게 이슬람교 이데올로기는 가르침이 복잡하지 않고 실행하기에 충분히 쉬운 것들이었기 때문에 대중에게, 특히 아시아의 농민과 유목인들에게 쉽게 확산되었다.
이슬람은 서기 610년 지금의 사우디 아라비아의 메카라는 도시에서 무함맏 (마호멧)이라는 선지자가 하나님의 계시를 받음으로 잔파 되기 시작한 종교이다.
이후 수차례에 걸친 게시를 기록한 경전이 114장에 이르는 경전인 꾸란(코란)으로
내용은 천지 창조와 인간의 창조, 이후 하나님으로부터의 계시에 대한 내용과 인간 생활 전반에 걸친 가르침으로 되어 있다. 이슬람 신자의 생활은 이슬람의 기본을 이루는 \'오주, 육신\' (五柱 六信)을 믿고 지키는 것이 기 기본을 이루는데 이는 다섯가지 의무와 여섯 가지 믿음으로 반드시 지켜야한다.
오주는 1.신앙 선언, 2.예배, 3.희사 (구빈세), 4.단식, 5.성지순례입니다.
신앙선언은 이슬람 신자가 될 때 \"하나님 외에 신은 없고 무함맏은 그 사도임을 증언합니다.\"라는
내용을 증인들 앞에서 선언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무슬림(이슬람 신자)가 됩니다.
예배는 하루 다섯 차례 (새벽, 정오, 오후, 일몰, 밤) 정해진 시간에 메카를 향하여 간단한형식으로 깨끗한 장소 어디서나 드릴 수 있습니다. 예배 전에는 반드시 몸을 깨끗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