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더넷 카드(LAN CARD)
* LAN의 구성요소
① CIU(COMMUNICATION INTERFACE UNIT)
② BIU(BUS INTERFACE UNIT)
③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
④ 서버(SERVER)의 종류
2. 트랜시버(TRANSCEIVER)
3. HUB(허브)
(1) 허브의 기능
(2) 허브의 목적
(3) 허브 사용의 장점
4. 라우터 (ROUTER)
(1) 라우터의 기능
(2) 라우팅
5. BRIDGE
(1) 브리지
(2) 브리지와 라우터의 비교
(3) 브리지의 종류
6. 게이트 웨이(GATE WAY)
7. 통신 프로토콜
(1) TCP/IP의 개념
(2)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3) IP(INTERNET PROTOCOL)
(4) TCP/IP 구성요소
(5) 인터넷 서비스와 프로토콜
* LAN의 구성요소
① CIU(COMMUNICATION INTERFACE UNIT)
② BIU(BUS INTERFACE UNIT)
③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
④ 서버(SERVER)의 종류
2. 트랜시버(TRANSCEIVER)
3. HUB(허브)
(1) 허브의 기능
(2) 허브의 목적
(3) 허브 사용의 장점
4. 라우터 (ROUTER)
(1) 라우터의 기능
(2) 라우팅
5. BRIDGE
(1) 브리지
(2) 브리지와 라우터의 비교
(3) 브리지의 종류
6. 게이트 웨이(GATE WAY)
7. 통신 프로토콜
(1) TCP/IP의 개념
(2)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3) IP(INTERNET PROTOCOL)
(4) TCP/IP 구성요소
(5) 인터넷 서비스와 프로토콜
본문내용
이는 OSI 참조 모델의 모든 계층을 포함하여 동작하는 장비이다.
게이트웨이는 프로토콜 구조가 상이한 망들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7. 통신 프로토콜
(1) TCP/IP의 개념
① TCP/IP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전반적인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말한다.
② 인터넷상의 컴퓨터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③ 네트워크의 종류, 형태, 하드웨어, OS 등에 상관없이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④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부여받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한다.
(2)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P 프로토콜로 연결된 호스트 사이에서 에러 복구와 제어흐름 등을 수행하여 신뢰성있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
하위 네트웍 계층에서 사용할 자료 CHUNK를 자르고, 받은 패킷에 대해 ACK를 보내고, 다른쪽의 ACK를 위해 TIMEOUT을 지정하는 등의 일을 한다.
(3) IP(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기반으로 호스트끼리의 연결을 책임지는 프로토콜
(4) TCP/IP 구성요소
① 호스트(HOST)
: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컴퓨팅 시스템
② 네트워크(NETWORK)
: 특정한 데이터 링크 기술로 상호 연결된 둘 이상의 호스트들의 모임.
③ 라우터
: 개별적인 여러망을 연결하는 장치
(5) 인터넷 서비스와 프로토콜
① HTTP : 웹 서비스
가장 대중적인 인터넷 서비스로 WWW라고 불리기도 한다. 현재 사용중인 인터넷의 대부분을 사용한다.
② TELNET : 원격 컴퓨터 접속
원격으로 네트워크의 호스트에 접속해 상
게이트웨이는 프로토콜 구조가 상이한 망들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7. 통신 프로토콜
(1) TCP/IP의 개념
① TCP/IP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전반적인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말한다.
② 인터넷상의 컴퓨터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③ 네트워크의 종류, 형태, 하드웨어, OS 등에 상관없이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④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부여받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한다.
(2)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P 프로토콜로 연결된 호스트 사이에서 에러 복구와 제어흐름 등을 수행하여 신뢰성있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
하위 네트웍 계층에서 사용할 자료 CHUNK를 자르고, 받은 패킷에 대해 ACK를 보내고, 다른쪽의 ACK를 위해 TIMEOUT을 지정하는 등의 일을 한다.
(3) IP(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기반으로 호스트끼리의 연결을 책임지는 프로토콜
(4) TCP/IP 구성요소
① 호스트(HOST)
: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컴퓨팅 시스템
② 네트워크(NETWORK)
: 특정한 데이터 링크 기술로 상호 연결된 둘 이상의 호스트들의 모임.
③ 라우터
: 개별적인 여러망을 연결하는 장치
(5) 인터넷 서비스와 프로토콜
① HTTP : 웹 서비스
가장 대중적인 인터넷 서비스로 WWW라고 불리기도 한다. 현재 사용중인 인터넷의 대부분을 사용한다.
② TELNET : 원격 컴퓨터 접속
원격으로 네트워크의 호스트에 접속해 상
추천자료
컴망 2002년 중간고사 해설
선진 기업의 e-learning 교육 훈련 사례: 시스코 시스템즈를 중심으로
유비쿼터스에 관한 고찰
[분석/조사] 유비쿼터스 컴퓨팅
『우리에게 다가온 홈네트워킹 시대』
유비쿼터스 산업
유비쿼터스 컴퓨팅
[해커][시스템침입][해킹][시스템보안]해커의 시스템침입(해킹) 과정과 해커의 시스템침입(해...
[방화벽][방화벽시스템][방화벽 해킹][방화벽시스템 해킹][보안][해커][해킹]방화벽(방화벽시...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의 개념과 효과 및 기술, 전자상거래사업의 유형과 특성, 전자상거래...
CISCO,CISCO장단점,CISCO기업분석 - 시스코 - 소개, 이슈, 대안 장단점
[무선 랜, 무선LAN]무선 랜(무선LAN)의 정의, 특징과 장점, 무선 랜(무선LAN)의 등장배경, 제...
[e-비즈니스]1.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물리적 주소, 논리적 주소) 2.(1) TCP/I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