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위성]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공 위성]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공위성 정의

2. 인공위성 원리

3. 인공위성 궤도

4. 인공위성 종류

5. 인공위성 일생

6. 인공위성 역사

7. 우리나라 인공위성

본문내용

장치
정밀 자기장 측정기
방사능 영향 측정기
고 에너지 입자 검 출기
전자 온도 측정기
원자외선 분광기
우주물리 탑재체
고에너지 검출기(SST)
저에너지 검출기(ESA)
랑마이어 탑침(LP)
정밀 지구자기장 측정기(SM)
데이터 수집장치
고정밀 별 감지기
특징 / 의의
영국 써리 대학에 기술 전수 및 공동 개발
국내 독자개발 기술
검증
고유의 소형 위성 모 델 국내 독자 개발
지구의 극지방에서 일어나는 태양과 지구 자기장의 상호 작용을 조사하
▶ 앞으로의 계획 : 우리별 위성 5호 (과학 위성 2호)
① 우리나라 최초의 국내 개발 소형 위성 발사체(KSLV-1)에 실려 발사될 100kg급 저궤도 인공위성.
② 2005년 말 전남 고흥 외나로도의 나라 우주 센터에서 발사될 예정.
③ 사업 기간 (2002. 10.~ 2005. 12.(3년 3개월)), 총 연구비 : 136, 5억원.
④ 위성체 핵심 개발 및 시험, 정밀 궤도 측정 목표.
② 무궁화 1, 2, 3호 (통신, 방송 복합 위성)
▲ 무궁화 1호 ▲ 무궁화 3호 구조
무궁화 1호
무궁화 2호
무궁화 3호
발사일
(한국시간)
1995년 8월 3일
오후 8시 15분
1996년 1월 14일
밤 7시 27분
1999년 8월 25일 오전
발사기지
미국 케이프 케너베럴
미국 케이프 케너베럴
남미 크루
궤도(km)
3만 6천 (정지궤도)
3만 6천 (정지궤도)
3만 6천 (정지궤도)
서비스
목표 궤도에 제대로 진입 못하여 위성의 수명이 절반 정도로 단축
=> 제대로 된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았음..
위성 고정 비디오
위성 이동 중계
위성 전용먕-저속회선
위성 전용망-고속회선
위성 이동 데이터
디지털 위성 방송
위성 인터넷 서비스
무궁화 1, 2호 제공 서비 스 기본 제공
48개 채널 디지털 위성방 송 서비스
초고속 광대역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지역 위성 서비스
광대역 정보검색 서비스
원격 진료 복지 서비스
특징 / 의의
우리나라 최초의 방송통 신위성.
직접 위성 방송과 통신 전파를 쏘아 보냄으로써
...우리나라의 우주시대를 여 는 첨병 역할
1호 위성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주 위성으로 실질적인 통신, 방송 복합 서비스 역할을 함.
실제수명은 12년 이상 1,2호 위성보다 2배이상
1,2호에 탑재된 중계기 모 든 내용 수용, 대용량
남북통일 대비, 남북한 전 역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
동남 아시아 지사와 국내 본사간 통신망 구축활용
위성 관제 시스템의 개방 형 구조설계
▶ 앞으로의 계획 : 무궁화 5호
① 2006년 6월 발사, 수명이 다하는 무궁화 위성 2호의 임무를 대체.
② KT는 상용 통신 중계기를, 군은 군용 통신 중계기를 탑재해 민·군 공용으로 운용.
③ 통신용량이 기존 2호 위성의 2배가 넘고 주파수 출력도 크기 때문에 지상 단말 장비로 저렴하게 위성망을 구축 가능성
=> 국내로 한정됐던 위성 서비스 영역도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으로 확대 가능성.
(참고) 무궁화 4호는 이름이 불길하여 발사하지 않았다고 함.
③ 아리랑 1호 (다목적 실용 위성)
▶ 아리랑 위성 1호 발사 장면
아리랑 1호
발 사 일
(한국 시간)
1999년 10월 12일
발사기지
미국 반덴버그
크 기 (mm)
253 * 134 * 690
무 게 (kg)
470
궤 도 (km)
685
탑 재 체
EOC ( 전자 광학 카메라)
해양 관측 카메라 (OSMI)
이온층 측정기(IMS)
고 에너지 입자 검출기(HEPD)
임 무
지구 관측(한반도 지도 제작)
해양관측, 이온층 관측, 방사선 측정
특징 / 의의
지구 저궤도용 다목적 실용 위성
▶ 앞으로의 계획 : 아리랑 위성 2호
① 세계 5번째 1m급 고해상도 카메라(MSC)를 탑재, 2005년 11월경 발사돼 운용 예정.
② 2006년 1, 2월부터 위성촬영 등 본격 활용에 들어갈 전망.
③ 성공 발사시 해상도 6.6m급인 아리랑 1호보다 40배 이상 향상된 흑백 1m, 컬러 4m의 고 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음.
=> 미국과 프랑스, 이스라엘, 러시아 등 일부 국가만 보유한 고도의 위성기술.
3) 기술 수준
① 미국, 러시아, 유럽 국가 연합(프랑스, 영국, 독일, 이태리 등), 일본, 캐나다 등의 선진국은 물론 인도, 이스라엘,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의 후발 우주 개발 국가보다도 시작이 늦어 낙후.
② 1990년대에 우리별 1, 2, 3호의 발사 및 운용, 무궁화위성 1, 2, 3호, 아리랑 1호의 발사 및 운용 등으로 본격적인 위성시대로 진입
③ 우리별 1, 2, 3호 개발로 소형 마이크로 실험위성의 설계, 제작, 조립 및 시험기술, 대형 통신 방송위성인 무궁화위성 1,2,3호 개발로 일부 부품의 국내 기술 향상.
▶ 참고 : 마이크로 위성은 약 100kg 이하의 무게를 가지며 마이크로 크기의 실험위성 개발 개념은 신뢰도, 부품의 품질면 등에서 실용급 위성의 개발 개념과는 현격한 차이가 존재하나 시스템의 구성 자체는 대형위성과 유사함.
④ 아리랑위성 1호의 개발은 미국의 TRW사와 공동개발 형식으로 추진되어 우리나라 위성개발 기술수준을 한 단계 올려놓는 교두보를 마련하는 계기.
⑤ 중소형 위성(약 1,000kg 이하)을 국내 주도로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은 충분히 보유, 일부 정밀기계 및 전자분야 제조기술은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고 있음.
⑥ 설계기술, 초정밀/고신뢰 제작기술 및 시험 기술 전반적인 부품수준의 기술수준은 선직국 대비 약 30-50%의 중간단계로 볼 수 있음.
⑦ 국가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을 세워 2015년까지 총 19기의 위성 발사로 우주기술 세계 10위권 진입, 2010년까지 저궤도 소형위성의 독자 개발 능력 확보 노력.
4) 추진 계획
① 2015년까지 세계 10위권의 선진 우주국에 진입한다는 목표 설정,
② 위성체 분야 : 2015년까지 국내에서 수요가 예상되는 통신 방송 위성(무궁화위성) 5기, 다목적 실용위성(아리랑위성) 7기, 과학 위성 7기 등 총 19기 위성을 개발 목표.
③ 발사체 분야 : 2005년까지 국내 기술에 의한 저궤도 위성 및 발사체를 개발하여 저궤도위성의 자력발사를 달성한다는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6.15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5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