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 박문수와 아이 유형 >
Ⅱ. < 박문수가 과거에 급제한 사연에 대한 이야기 >
Ⅲ. < 박문수와 당숙 이야기 >
Ⅳ. < 박문수 >
Ⅴ. < 박문수 유형 구비 문학의 특징 >
Ⅱ. < 박문수가 과거에 급제한 사연에 대한 이야기 >
Ⅲ. < 박문수와 당숙 이야기 >
Ⅳ. < 박문수 >
Ⅴ. < 박문수 유형 구비 문학의 특징 >
본문내용
르는 사람이 숨어 있는 곳을 알려주었다. 관리들의 어리석음과 백성들을 돌보지 않는 관리들의 모습을 풍자하고 있다.
4) 자기 욕심만 채우려고 하는 어른들에게, 아이의 착한 마음과 지혜로움을 부여주고 있다.
Ⅱ. < 박문수가 과거에 급제한 사연에 대한 이야기 >
구미 시
공통적인 이야기 구조
횡성군 갑천면
흰 등 안의 여인을 보다가
큰 기와집으로 들어감
→
박문수가 과거를 보러 가는 길에 어느 집에서 하루 밤을 묵게 됨
↓
그 집의 아들이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죽은 것을
알게 됨
→
그 집의 아들이 얼마 전에 죽은 것을 알게 됨
별당 아씨와 범인(최철문)
과의 정담을 나누는 것을
봄
→
↓
←
간부의 칼에 의해 아들이
죽음
그 집의 아들을 죽인 범인을 박문수가 알게 됨
귀신이 자신의 원한을 풀기
를 원하면서 글귀를 알려줌
→
↑
↓
과거를 급제한 후 범인(최철문)을 잡아들임
→
㉠ 박문수가 범인을 잡아서 복수해 줌
㉡ 죽은 아들 귀신이 나타나 박문수에게 시(글귀)를 읽어준다. 그 시(글귀)의 마지막 한 부분은 가르쳐주지 않음 → 과거가 끝났다는 소문을 듣고 과거장에 서둘러 가니 아직 과거가 끝나지 않은 상태였다. → 과거에서 귀신이 준 글귀를 써서 과거에 급제함
←
박문수가 범인을 잡아서
복수 해 준다. 그 보답으로
귀신이 글귀를 알려 줌
* 이야기 구조도
♣ 생각해보기
1. 귀신이 나타나서 자신의 원한을 누군가가 풀어주기를 원한다는 내용은 우리나라 전설, 민담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여기에서 우리나라의 토속신앙에 대해 유추할 수 있다.
2. 당시의 사회상을 알 수가 있다.
① 과거제를 통해서 입신양명이 가능했다. 하지만 이런 과거제가 며칠 동안 같은 문제로 이루어졌다
는 점에서 과거제의 모순을 알 수 있다.
② 별당아씨와 범인과의 정담을 통해 당시의 사회에서 이런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복수한다는 점에서 부부의 예를 옛 사람들이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③ 관리의 횡포에 의해 아들이 죽은 부분에서 과거 탐관오리의 횡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 또
백성들이 이런 이야기를 통해 자신들의 희망을 표출했음을 알 수 있다.
Ⅲ. < 박문수와 당숙 이야기 >
* 춘천 시 설화
-백정의 조카노릇을 한 박문수
♣ 줄거리 및 요약
전라북도 무주 구천동 부근에 사는 백
정출신의 한 부자가 돈은 많이 벌었지
만 백정이라는 신분 때문에 제대로 된
대우를 받지 못해 한이
4) 자기 욕심만 채우려고 하는 어른들에게, 아이의 착한 마음과 지혜로움을 부여주고 있다.
Ⅱ. < 박문수가 과거에 급제한 사연에 대한 이야기 >
구미 시
공통적인 이야기 구조
횡성군 갑천면
흰 등 안의 여인을 보다가
큰 기와집으로 들어감
→
박문수가 과거를 보러 가는 길에 어느 집에서 하루 밤을 묵게 됨
↓
그 집의 아들이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죽은 것을
알게 됨
→
그 집의 아들이 얼마 전에 죽은 것을 알게 됨
별당 아씨와 범인(최철문)
과의 정담을 나누는 것을
봄
→
↓
←
간부의 칼에 의해 아들이
죽음
그 집의 아들을 죽인 범인을 박문수가 알게 됨
귀신이 자신의 원한을 풀기
를 원하면서 글귀를 알려줌
→
↑
↓
과거를 급제한 후 범인(최철문)을 잡아들임
→
㉠ 박문수가 범인을 잡아서 복수해 줌
㉡ 죽은 아들 귀신이 나타나 박문수에게 시(글귀)를 읽어준다. 그 시(글귀)의 마지막 한 부분은 가르쳐주지 않음 → 과거가 끝났다는 소문을 듣고 과거장에 서둘러 가니 아직 과거가 끝나지 않은 상태였다. → 과거에서 귀신이 준 글귀를 써서 과거에 급제함
←
박문수가 범인을 잡아서
복수 해 준다. 그 보답으로
귀신이 글귀를 알려 줌
* 이야기 구조도
♣ 생각해보기
1. 귀신이 나타나서 자신의 원한을 누군가가 풀어주기를 원한다는 내용은 우리나라 전설, 민담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여기에서 우리나라의 토속신앙에 대해 유추할 수 있다.
2. 당시의 사회상을 알 수가 있다.
① 과거제를 통해서 입신양명이 가능했다. 하지만 이런 과거제가 며칠 동안 같은 문제로 이루어졌다
는 점에서 과거제의 모순을 알 수 있다.
② 별당아씨와 범인과의 정담을 통해 당시의 사회에서 이런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복수한다는 점에서 부부의 예를 옛 사람들이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③ 관리의 횡포에 의해 아들이 죽은 부분에서 과거 탐관오리의 횡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 또
백성들이 이런 이야기를 통해 자신들의 희망을 표출했음을 알 수 있다.
Ⅲ. < 박문수와 당숙 이야기 >
* 춘천 시 설화
-백정의 조카노릇을 한 박문수
♣ 줄거리 및 요약
전라북도 무주 구천동 부근에 사는 백
정출신의 한 부자가 돈은 많이 벌었지
만 백정이라는 신분 때문에 제대로 된
대우를 받지 못해 한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