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만 한다. 엄청난 의학적 의료적 효용성을 갖는 세포치료술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는 반드시 사람의 난자가 사용되므로 엄격한 윤리적 잣대가 있어야만 하며 또한, 복제된 배아가 오용되거나 남용되어 여성의 자궁에 이식될 경우 개체 복제의 우려가 상존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한 법적 체제를 가지고 있어야만 할 것이다. 물론, 개체복제 금지와 부분적인 치료용 배아복제 연구를 허용하는 생명윤리법도 올해부터 발효중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관련 생명공학자들 자신이 줄기세포 연구의 입안과 중간과정에서의 확인 및 연구절차를 확립하고, 연구 기준에서도 공개적인 논리와 토론을 거쳤을 때에만 이런 우려들을 불식시킬 수 있다. 앞으로 많은 노력으로 이런 문제들을 잘 해결하여 배아 줄기세포의 연구를 더욱더 활성화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
추천자료
줄기 세포 유전자 조작을 통한 유전자 치료
생명 윤리와 줄기 세포, 생명 공학과 생명 윤리
생명 공학과 생명 윤리 그리고 줄기 세포
줄기 세포의 의학적 중요성 및 활용 예 사회적 의미
인간 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분석 및 황우석사태의 전반적 개요와 나의의견
생명 윤리와 줄기 세포를 둘러싼 논쟁 - 생명공학
줄기 세포란?
[인간복제][생명복제]인간배아복제의 개념, 생명복제기술의 발달, 복제인간 실험, 이안 윌멋...
황우석 박사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 연구의 문제점 및 나아갈 방향 (생명과 환경)
2005년 황우석 박사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 사건에 대한 문제점 논의(생명과환경 공통)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과 황우석 교수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 사태
줄기 세포의 정의와 의학적 중요성 및 활용 예 사회적 의미
인간 복제, 희망인가 재앙인가 (인간 배아 줄기 세포, 인간 성체 줄기 세포, 체외 수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