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테나 공학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테나 공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평면에 나란히 1개또는 여러개의 도선을 설치하고 그 한쪽 끝에서 수직으로 내려 접지시킨 안테나 수직부 높이를 충분히 할 수 없을 경우 복사전계를 높이기 위해, 선박등의 이동국에서 고정항로의 항해용으로 사용
T형 안테나
무효복사부(수평부)를 양측으로 T자형으로 설치한 안테나.즉,지면에 수평으로 된 수평부 도선의 중앙에서 수직부의 도선을 끌어 내린 안테나.
웨이브 안테나
사용파장과 같은 길이(1파장) 또는 수 파장의 도선을 지상수 미터높이 (약 5~10[m])에 지면과 수평으로설치하고, 그 끝단에 도선의 특성임피던스 Z(300~500[Ω])와 같은 값을 갖는무유도 저항 (인덕턴스 없는 저항)즉 종단저항 R을 통하여접지시킨 구조의 안테나.
루프 안테나
도선을 워형, 장방형, 정방형 등으로 1회또는 수회 감은 것으로 중파의 방위 측정용으로 사용한다.소형으로 이동용이 실효고 계산이 쉬우면서 실효고가 낮고, 야간에는 전리층 반사파의 수평선분이 안테나의 수평도선에 유기되어 측정오차(야간오차)가발생한다.
루프 안테나와 수직 접지안테나의 조합
하나의 루프안테나로 전파의 도래방향을 측정하는 경우 180도의 불확정이 발생하여 전파의 도래방향을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거기에 수직안테나를 조합시키면 단일 지향특성인 심장형을 얻게되어 전파의 도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고니오미터 및 베르니-토시 안테나(베르니-토시 안테나)
두개의 루프안테나를 서로 직각으로 고정시키고 그 각각의 안테나에 서로 직각으로 놓은 두개의 코일(고정코일)을 연결하고 이 고정 코일 내에 움직일 수 있는 코일(탐색코일)을 넣게 되면 안테나를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회전시킨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 있다.고정코일과 탐색코킹로 구성된 장치를 고니오미터라 하고 직교 안테나와 고니오미터로 구성된 것을 고니오미터 및 베르니-토시 안테나라고 한다.
애드콕 안테나
루프 안테나를 장, 중파대의 방향탐지에 사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은 야간오차이다.이는 수직편파가 전리층에 반사되는 경우 타원편파가 되고, 이 타원편가의 수평성분이 루프 안테나의 수평도체에 유기되어 방향탐지에 오차가 생긴다. 그러므로 야간오차를 방지하려면 루프안테나의 수편도체를 제거해야한다. 따라서 애드콕 안테나는 루프안테나의 수평 부분을 제거한 형태(한 쌍의 스직 더블릿 안테나를 설치한 형태)또는 두 상의 수직접지안테나를 설치한 형태이다.
2) 단파용 안테나
단파용 안테나는 공진을 이용한 안테나가 많이 사용되며 그 대표적인 것이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이다. 반파장 다이폴을 조합하여 만든 빔안테나와 진행파형 안테나 및 고조파로 공진 시키는 안테나등이 사용되고있다
더블렛 안테나
길이가 반파장 또는 1파장인 도선의 중안에 급전하는 형식의 안테나를 각각 반파장 더블렛(다이폴 안테나), 1파장 더블렛(다이폴 안테나)라고 한다. 다이폴(dipole)은 서로 대응하는 금속구의 봉이다. 실효길이(he)는 l /p 이고 복사 저항은 약 73.13W이다.
벤드 안테나
반파장 안테나의 끝을 구부린 모양의 안테나 장소가 협소하여 반파장 더블렛을 설치할수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체펠린 안테나
안테나의 중앙에서 급전하지 않고 끝에서 급전하여 한쪽 변만으로 반파 다이폴안테나의 특성을 나타내는 안테나로 일명 Zepp 안테나 또는 picard 안테나.구조가 간단하므로 간이 시설에 주로 사용한다.
진행파 안테나(롬빅안테나)
4개의 비공진 도선을 다이아몬드형으로 배치하고 종단에 도선의 특선저항과 같은종단저항을 삽입하여 진행파만 존재하도록 한 안테나를 롬빅 안테나 또는 다이아몬드 안테나라고하며 진행파 안테나의 대표적인 것이다. 10~13정도의 상대이득을 얻을 수 있는 수평편파용 안테나로서 효율이 나쁘고 넓은 설치장소가 필요하고 부엽이 많은 단점이 있다. 주로 단파고정국,해안국의 송수신용, VHF-TV 중계용 수신 안테나로 사용된다.
빔 안테나
전자파를 어떤 특정 방향으로 집중하여 발사하거나, 수신하도록 지향성을 강조한 안테나로서 다수의 반파장 더블릿 소자를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다. 주로 단파나 초단파대의 고이득 지향성 안테나로 사용 단파 안테나로 사용시 커튼 안테나 안테나라고 한다. 수가 많을수록 높은 이득과 광대역성을 갖는다.
진행파 안테나(역V형 안테나)
롬빅 안테나의 반만을 설치하고 나머지 반은 대지의 전기영상을 이용한 안테나이다. 롬빅안테나와 유사하나 차이점은 수직 편파용 송.수신 안테나, 도선을 길게 할수 없기 때문에 단파의 높은 주파수대에서 사용한다는 것
3) 초단파용 안테나
초단파(VHF)대는 파장이 짧기 때문에 단파대 안테나에 비하여 취급이 편리하고 단파대와 극초단파대의 중간에 있기 때문에 양자의 특징을 이용할 수 있어서 가장 많은 안테나가 있다. 초단파대에서는 FM통신방식이나 TV방송처럼 주파수 대역이 넓은 통신도 사용되므로광대역 임피던스 안테나도 중요한 것이다.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양단을 접속시켜 복사부분을 2중으로 만든 안테나로서 등가반경의 증가로 단일직선 안테나에 비하여 실효면적과 복사저항이 크게되어 광대역 특성이 되고 다소자로 구성된 안테나에서 선형안테나대신 사용하는 경우 그 안테나의 복사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입력임피던스만을 적당히 변화시킬수 있기때문에 초단파대 기본안테나로 취급한다. 주로 VHF대 및 UHF대의 낮은 주파수대 즉, TV에사용한다.
J형 안테나
복사부분과 정합부분으로 구성되있고, 모양이 J형익 때문에 J형 안테나이다.
극초 단파용 안테나
극초단파대 이상의 파는 파장이 매우 짧고 그 성질이 빛과 매우 비슷하므로 광학의 원리와 메가폰이 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작용을 이용하여 지향성을 예리하게 한 안테나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전자혼, 포물면경, 전파렌즈 및 도파관에 직접구멍을 뚫은 슬롯 안테나를 사용한다
혼 안테나
도파관의 한 쪽 끝에서 여진시키고 다른 쪽을 개방시키면 도파관을 전파하는 에너지는 개구단에서 공간으로 방사된다. 이때 도파관과 공간은 임피던스 정합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의 일부가 반사되어 모든 에너지가 공간으로 복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메가폰과 같이 도파관의 개구를 서서히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6.22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8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