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외직접투자의 개념
2. 독점적 우위이론(Theory of Monopolistic Advantage)
2. 내부화이론(Internalization Theory)
3. 절충이론(Eclectic Theory)
4. 기타의 해외직접투자이론
5. 개도국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현상에 대한 설명
2. 독점적 우위이론(Theory of Monopolistic Advantage)
2. 내부화이론(Internalization Theory)
3. 절충이론(Eclectic Theory)
4. 기타의 해외직접투자이론
5. 개도국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현상에 대한 설명
본문내용
FDI 이론의 수정 설명
- 개도국 기업은 전반적인 기술력, 경영능력 등 기업특유의 독점적 우위 측면에서는 선진국 기업들에 비해 열위
- 그러나 개도국 기업들 역시 개도국 기업 특유의 우위 + 입지특유의 우위를 보유할 경우 또다른 개도국으로의 해외직접투자가 가능하다고 설명
- 개도국 기업특유의 우위 : 현지적합우위
· 현지실정에 맞게 개량된 기술
· 비차별화된 제품의 마케팅 능력
· 현지적합한 독특한 경영능력이나 지식 등
- 개도국기업 특유의 경쟁우위가 외국비용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는 이유
· 기술의 역행불능성(irreversability of technology)
· 규모의 경제 부존재
· 시장특성 : 비차별화된 제품에 대한 수요 등
(2) PLC 이론의 수정을 통한 설명
- Wells의 순위이론(pecking order theory)이 대표적
- 기존의 제품수명주기이론은 제품수명주기의 이행에 따른 최적생산입지의 변화를 통해 선진국→여타 선진국→개도국으로의 해외직접투자 현상을 설명
- 이같은 pecking order는 개도국 내에서도 세분화되어 진행될 수 있다는 관점
- 선발개도국은 선진 다국적기업으로부터 이전받은 기술을 개량하여 경쟁력을 확보→후발개도국으로 수출→후발개도국의 수입제한→최적생산입지의 변화→선발개도국의 후발개도국으로의 해외직접투자 발생
(3) 독자적인 이론이 필요하다는 견해 : Kojima의 해외직접투자의 거시경제이론
- 기존의 해외직접투자이론에 대한 Kojima의 비판
· 기존의 FDI 이론은 미시적 관점(기업)에만 치증하여 항상 기업과 국가의 마찰을 야기
· 즉 독점적 우위에 기초한 FDI는 상품교역을 대체하는 anti-trade 효과를 가져와 후생의 감소 초래
⇒결국 거시적 관점(국가 차원)에서 해외직접투자의 설명이 이루어져야
- Kojima는 비교우위이론에 입각하여 FDI를 설명하되, 미국형과 일본형으로 나누어 미국형 FDI를 공격하고, 일본형 FDI를 옹호
- 미국형 FDI
독점적 우위, 비교우위산업에서의 FDI(수입규제를 피하기 위해)
→ 비교우위의 약화에 따른 anti-trade
→ 고용감소, 국제수지 악화, 산업구조 왜곡 등 후생감소 초래
- 일본형 FDI
일본에 필수불가결한 자원확보, 비교우위를 잃어가는 산업의 이전, 설비·반제품의 수출을 촉진하는 FDI 위주 → 일본의 비교우위 구조는 보완하되, 현지국의 산업구조는 고도화
→ pro-trade → 후생증가
- 개도국 기업은 전반적인 기술력, 경영능력 등 기업특유의 독점적 우위 측면에서는 선진국 기업들에 비해 열위
- 그러나 개도국 기업들 역시 개도국 기업 특유의 우위 + 입지특유의 우위를 보유할 경우 또다른 개도국으로의 해외직접투자가 가능하다고 설명
- 개도국 기업특유의 우위 : 현지적합우위
· 현지실정에 맞게 개량된 기술
· 비차별화된 제품의 마케팅 능력
· 현지적합한 독특한 경영능력이나 지식 등
- 개도국기업 특유의 경쟁우위가 외국비용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는 이유
· 기술의 역행불능성(irreversability of technology)
· 규모의 경제 부존재
· 시장특성 : 비차별화된 제품에 대한 수요 등
(2) PLC 이론의 수정을 통한 설명
- Wells의 순위이론(pecking order theory)이 대표적
- 기존의 제품수명주기이론은 제품수명주기의 이행에 따른 최적생산입지의 변화를 통해 선진국→여타 선진국→개도국으로의 해외직접투자 현상을 설명
- 이같은 pecking order는 개도국 내에서도 세분화되어 진행될 수 있다는 관점
- 선발개도국은 선진 다국적기업으로부터 이전받은 기술을 개량하여 경쟁력을 확보→후발개도국으로 수출→후발개도국의 수입제한→최적생산입지의 변화→선발개도국의 후발개도국으로의 해외직접투자 발생
(3) 독자적인 이론이 필요하다는 견해 : Kojima의 해외직접투자의 거시경제이론
- 기존의 해외직접투자이론에 대한 Kojima의 비판
· 기존의 FDI 이론은 미시적 관점(기업)에만 치증하여 항상 기업과 국가의 마찰을 야기
· 즉 독점적 우위에 기초한 FDI는 상품교역을 대체하는 anti-trade 효과를 가져와 후생의 감소 초래
⇒결국 거시적 관점(국가 차원)에서 해외직접투자의 설명이 이루어져야
- Kojima는 비교우위이론에 입각하여 FDI를 설명하되, 미국형과 일본형으로 나누어 미국형 FDI를 공격하고, 일본형 FDI를 옹호
- 미국형 FDI
독점적 우위, 비교우위산업에서의 FDI(수입규제를 피하기 위해)
→ 비교우위의 약화에 따른 anti-trade
→ 고용감소, 국제수지 악화, 산업구조 왜곡 등 후생감소 초래
- 일본형 FDI
일본에 필수불가결한 자원확보, 비교우위를 잃어가는 산업의 이전, 설비·반제품의 수출을 촉진하는 FDI 위주 → 일본의 비교우위 구조는 보완하되, 현지국의 산업구조는 고도화
→ pro-trade → 후생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