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BC, coagulation test
2.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3. RUA (Routine Urine Analysis)
4. Serum Electrolyte Concentration Test
5. 특수 화학검사
6.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법)
7. Bone scan 골 스캔
8. Ultrasonography 초음파
9. CT (computed tomography)
10. 미생물 검사 (채취, 보관방법)
11.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12. MIBG scan (metaiodobenzylguanidine)
2.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3. RUA (Routine Urine Analysis)
4. Serum Electrolyte Concentration Test
5. 특수 화학검사
6.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법)
7. Bone scan 골 스캔
8. Ultrasonography 초음파
9. CT (computed tomography)
10. 미생물 검사 (채취, 보관방법)
11.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12. MIBG scan (metaiodobenzylguanidine)
본문내용
q/L
⑤ O₂Saturation 95~100%
3. RUA (Routine Urine Analysis)
① PH 4.6~8.0
증가 : 알카리혈증, 세균뇨, 요로 감염, 감귤류 과일 또는 야채가 많이 포함된 식이 섭취
감소 : 산혈증, 기아상태, 설사. 육류 단백질이 많이 포함된 식이 섭취
② Appearance 맑음
비정상 : 농, 적혈구 또는 박테리아 존재. 다량의 지방 섭취, 요산염 또는 인산염 배출
③ 냄새 aromatic (방향성 냄새)
비정상 : 당뇨성 케톤증 환자의 소변은 아세톤 냄새, 감염 환자의 소변
④ 요비중 1.005~1.030
증가 : 탈수, 뇌하수체 종양(항이뇨 호르몬의 분비가 부적절하여 수분 재흡수가 감소), 신장혈류량의 감소(심부전증, 신동맥 협착, 저혈압), 당뇨와 단백뇨
감소 : 과수분 상태, 요붕증(항이뇨 호르몬의 분비가 부적절하여 수분 재흡수가 감소), 만성신부전증(신장의 수분재흡수를 통한 소변 농축 능력 상실)
⑤ 단백질(Albumin) 8mg/dL 이하(정상적으로 단백질은 소변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비정상 : 사구체 신염, 신증후군, 임신중독증
⑥ 포도당 혈당치 180mg/dL 이상인 경우 소변에서 포도당 검출.
⑦ 케톤 없음
비정상 :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탈수, 기아, 과다한 아스피린 복용
4. Serum Electrolyte Concentration Test
① Na(Sodium) 135~145 mEq/L
고나트륨혈증 : 나트륨 섭취 과다, 수액으로 나트륨 주입과다, 나트륨 배설의 감소(쿠싱 증후군, 고알도스테론 혈증), 과도한 수분상실(발한, 심한 화상, 요붕증)
증상 : 건조한 점막, 갈증, 불안, 과민반사, 조증, 경련
저나트륨혈증 : 나트륨 섭취 감소, 수액으로 나트륨 주입과소, 배설 증가(애디슨씨 병, 설사, 구토, 이뇨제 투여, 만성신부전), 신체 수분 증가, 나트륨 상실(복 수, 말초부종, 늑막삼출액, 장내로의 나트륨 상실)
증상 : 허약, 혼돈, 의식혼미, 혼수
② K(Potassium) 3.5~5.5 mEq/L
고칼륨혈증 : 과도한 칼륨 섭취, 칼륨 손실저하(급만성 심부전, 애디슨씨 병, 저알도스테 론혈증, 알도스테론 억제이뇨제), 칼륨의 세포외로의 이동(산독증, 감염, 조 직의 손상), 가성 고칼륨혈증(용혈된 혈액의 수혈, 정맥 천자 방법의 오류)
증상 : 불안, 오심, 장관경련, 설사, 심전도에는 T 파가 과장되어 나타나고 RS 복 합파가
⑤ O₂Saturation 95~100%
3. RUA (Routine Urine Analysis)
① PH 4.6~8.0
증가 : 알카리혈증, 세균뇨, 요로 감염, 감귤류 과일 또는 야채가 많이 포함된 식이 섭취
감소 : 산혈증, 기아상태, 설사. 육류 단백질이 많이 포함된 식이 섭취
② Appearance 맑음
비정상 : 농, 적혈구 또는 박테리아 존재. 다량의 지방 섭취, 요산염 또는 인산염 배출
③ 냄새 aromatic (방향성 냄새)
비정상 : 당뇨성 케톤증 환자의 소변은 아세톤 냄새, 감염 환자의 소변
④ 요비중 1.005~1.030
증가 : 탈수, 뇌하수체 종양(항이뇨 호르몬의 분비가 부적절하여 수분 재흡수가 감소), 신장혈류량의 감소(심부전증, 신동맥 협착, 저혈압), 당뇨와 단백뇨
감소 : 과수분 상태, 요붕증(항이뇨 호르몬의 분비가 부적절하여 수분 재흡수가 감소), 만성신부전증(신장의 수분재흡수를 통한 소변 농축 능력 상실)
⑤ 단백질(Albumin) 8mg/dL 이하(정상적으로 단백질은 소변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비정상 : 사구체 신염, 신증후군, 임신중독증
⑥ 포도당 혈당치 180mg/dL 이상인 경우 소변에서 포도당 검출.
⑦ 케톤 없음
비정상 :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탈수, 기아, 과다한 아스피린 복용
4. Serum Electrolyte Concentration Test
① Na(Sodium) 135~145 mEq/L
고나트륨혈증 : 나트륨 섭취 과다, 수액으로 나트륨 주입과다, 나트륨 배설의 감소(쿠싱 증후군, 고알도스테론 혈증), 과도한 수분상실(발한, 심한 화상, 요붕증)
증상 : 건조한 점막, 갈증, 불안, 과민반사, 조증, 경련
저나트륨혈증 : 나트륨 섭취 감소, 수액으로 나트륨 주입과소, 배설 증가(애디슨씨 병, 설사, 구토, 이뇨제 투여, 만성신부전), 신체 수분 증가, 나트륨 상실(복 수, 말초부종, 늑막삼출액, 장내로의 나트륨 상실)
증상 : 허약, 혼돈, 의식혼미, 혼수
② K(Potassium) 3.5~5.5 mEq/L
고칼륨혈증 : 과도한 칼륨 섭취, 칼륨 손실저하(급만성 심부전, 애디슨씨 병, 저알도스테 론혈증, 알도스테론 억제이뇨제), 칼륨의 세포외로의 이동(산독증, 감염, 조 직의 손상), 가성 고칼륨혈증(용혈된 혈액의 수혈, 정맥 천자 방법의 오류)
증상 : 불안, 오심, 장관경련, 설사, 심전도에는 T 파가 과장되어 나타나고 RS 복 합파가
추천자료
검사관련간호
[분석/조사] 진단검사
하부호흡기계진단적검사
신경계_진단검사
전환교육(직업, 특수교육)의 의미와 이론적배경, 전환교육(직업, 특수교육)의 목표와 멀티미...
순환기계의진단적검사[1]
중환자의진단적검사
[미술치료의 진단적 기법] 인물화에 의한 성격진단검사
이상심리학 성격장애 자가진단검사
동물병리학 및 진단검사 정리
[의학과][진단검사의학과] 결핵배양
치매 (치매란? , 치매의 원인, 알츠하이머병 치매, 혈관성 치매, 임상증상, 합병증, 진단검사...
급성신부전의 이론정리 및 진단검사와 치료 예시
[뇌졸중] 뇌졸중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검사, 뇌졸중 예방 및 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