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 요
2. 구 조
3.전동차단기의 동작설명
4. 설치방법 및 기초
5. 취급방법
6. 설치 및 조정
7. 차단기 결선도 및 부분별 기능
8. 고장개소 및 보수요령
9. 유지보수
[전원공급장치]
2. 구 조
3.전동차단기의 동작설명
4. 설치방법 및 기초
5. 취급방법
6. 설치 및 조정
7. 차단기 결선도 및 부분별 기능
8. 고장개소 및 보수요령
9. 유지보수
[전원공급장치]
본문내용
수동핸들 사용금지)
4. 설치방법 및 기초
4-1. 설치방법
1) 한상의 전동차단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1개 정류기 (DC24V/100A)와 1조의 축전지 (24V200Ah)가 사용된다.
2) 전원에서 전동차단기까지의 배선은 가능한한 직경이 14SQ이상 사용되어야 한다.
3) 기초속에 Wire를 넣을 수 있도록 Wire인 입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5. 취급방법
5-1. 본기기는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를 요해야 한다. 차단기를 기초위에 설치 하고 기초볼트에 구멍을 맞추어 챤넬을 고정시키면 일단 차단기 설치는 끝이난다.
5-2. 차단간은 별도 분리되어 있으며 8M용은 2단으로 되어 있고 12M이상은 3단으로 분리 되어 있다.
6. 설치 및 조정
6-1. 차단간 조립
1) 차단기가 기초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단간의 첫째마디가 차단기 취부부에 넣 고 파이프 안쪽으로 고정바를 삽입시킨후 중간 볼트부에 볼트를 체결한다.
2) 중간볼트 체결이 끝나면 차단간을 위로 수직선상에 놓고 나머지 구멍에 볼트를 체결 한다.(차단간을 세울 때 특별한 주의를 요함.)
3) 차단간 첫째마디가 설치되면 수동 핸들을 사용하여 차단간을 억지로 떨어트리고 둘째 마디와 셋째마디를 설치한다.
4) 차단간이 완전히 조립되면 Wire를 고리에 걸어 차단기 본체에 체결한다.(* 이때 Wire 는 상하절연이 되어있어야 함.)
5) 차단간은 일직선상에 세운후에 Wire를 당긴 후 턴버클로 조정한다.
6-2. 조 정
1) 차단기와 차단간의 조립상태가 끝난후 수동핸들을 삽입하여 차단간을 수직과 수평으 로 동작시켜 본다.
2) 차단간의 각도는 공장출하시 90°로 조정되어 있음.
3) 수동시험이 끝나면 차단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차량진입회로와 통과 회로를 차단기내 콘트롤 박스에 연결한다. 이때 콘트롤박스에 NFB스윗치 OFF상태에 놓는다.
4) 모든 배선이 완전히 연결되면 콘트롤박스에 NFB스윗치를 ON시키고 박스하단에 설 치된 하강 상승 시험보턴으로 시험한다.
5) 수동보턴 시험이 끝나면 그 이후부터는 자동콘트롤되므로 이때부터 정상가동시키면 된다.
7. 차단기 결선도 및 부분별 기능
9
상승 및 하강 단자대
30A 250V
결선도2
8
수동 하강 스위치
푸쉬버튼 스위치(적색)
7
수동 상승 스위치
푸쉬버튼 스위치(황색)
6
동작 표시 램프
8mm LED(적색)
5
모타 콘넥터
4P 40mm 금속원형 40A
결선도5
4
외부기능 콘넥터
4P 16mm 금속원형 1A
결선도4
3
근접 센서 콘넥터
8P 16mm 금속원형 1A
결선도3
2
배선용차단기 및 입력전원단자대
4P 60A 250V
결선도1
1
메인 전원 스위치
30A 250V
부품번호
부 품 명
규 격
비 고
8. 고장개소 및 보수요령
8-1. 차단기에 와이어가 풀어져 있을 경우
1) 돌풍 및 강풍에 차단간이 몹시 흔들릴 수가 있다.
2) 차단간에 동작상태가 틀릴 수가 있다.
(한쪽이 먼저 내려가고 먼저 올라올 수가 있음.)
3) 차단간에 수직과 수평이 틀릴 수가 있다.
4) 8M는 도면과 같이 짧은쪽 와이어만 걸어준다.
5) 12M - 14M는 짧은쪽과 긴쪽에 와이어를 2중으로 걸어주고 줄은 최대한 당겨준다.
8-2. 와이어를 매는 방법
1) 턴버클에 와이어를 끼워서 도면과 같이 걸어주고 이때 턴버클은 풀어논 상태로 와이 어를 당겨서 크립으로 꼭 잠궈준다.
2) 어느 정도 당겨진 상태에서 턴버클을 잠그면 줄은 최대한 당겨진다.
3) 당겨진 줄은 좌우전후를 보면서 차단간이 수직을 이루도록 턴버클로 조정한다.
4) 턴버클이 잠겨진 상태에서 턴버클에 너트를 꼭 조여준다.
5) 위와 같은 상태에서 수시로 점검한다.
8-3. 차단간이 내려가거나 올라가다 중간에 서 있을 경우
1) 상.하 감속센서 동시동작 (표시등 OFF시간이 짧은 상태로 동작)
2) 상.하 정지센서 동시동작
3) 근접정지센서 감지조정불량
4) 회로 계전기 상.하 접점 동시동작(표시등 ON시간이 짧은 상태로 동작)
5) 차단간 동작시간 경과시(표시등 ON시간과 OFF시간이 같은 상태로 동작)
6) 온도편차에 의한 스프링 주변 온도보상을 위하여 히타를 가동시킨다.
8-4. 센서동작 유.무 확인방법
1) 수동레버나 콘트롤박스 측면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대를 센서정면에 위치하고 센 서윗면의 LED ON상태 확인. (이때 감지대와 센서간 거리는 5mm 이내일 것. 그리고 수동레바를 사용할 경우 배선용 차단기를 OFF해야 한다.)
2) 센서정면에 금속물체를 위치하고 센서 윗면 LED 점등확인.
8-5. 차단간이 한쪽으로만 동작되는 경우( 내림 또는 올림)
1) 콘트롤 박스내에 FET가 파손되었을 때
2) 스프링 조정상태 불량
3) 정류기 전압조정 불량
8-6. 보수방법
1) FET 및 계전기 교체
2) 스프링 조정(보수방법 참조)
3) 온도가 급격히 내려갔을 경우
8-7. 차단간이 덜내려가고 덜올라갈 경우
1) 조정봉에서 조정이 안되었을 경우
2) 스프링 조정이 미흡할 때
3) 온도가 급격히 내려갔을 경우
8-8. 보수방법
1) 차단간이 수직과 수평을 이루지 못할 경우
도면 동력부 조립도의 크랭크를 보면 육각봉으로 되었는데 이봉을 좌우로 휘어진 각 만큼 조절하면 된다. 이때 이루어지는 각은 약 10°미만이다. 조정이 된 상태에서는 상하부에 있는 넛트를 완벽하게 조여준다.
2) 또한 스프링 조정이 미흡하면 차단간이 수직,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스프링이 강하게 조여져 있으면 차단간은 덜내려 가게 되고 약한상태면 차단간은 더 내려 가게되므로 상태를 확인하면서 조정을 한다.
이때 수동레바로 돌려보면 내림과 올림에 힘이 균등할 때 스프링의 상태는 최상이다.
스프링을 조정하는 방법은 도면 완충장치부(스프링) 상단에 있는 육각넛트를 조이거 나 풀면 조정이 가능하다. 넛트를 조이면 스프링의 탄성은 강해지고 풀면 탄성이 약 해진다.
3) 가벼운 온도 변화에는 별무리가 없지만 급격히 온도가 떨어지면 철에 수축작용에 의 하여 약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히타가동)
9. 유지보수
9-1. 개요
1) 과도하게 주유하지 않도록 주의한다(감속기 및 베어링)
2) Wire에 연결된 턴버클에 스크류와 각부분
4. 설치방법 및 기초
4-1. 설치방법
1) 한상의 전동차단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1개 정류기 (DC24V/100A)와 1조의 축전지 (24V200Ah)가 사용된다.
2) 전원에서 전동차단기까지의 배선은 가능한한 직경이 14SQ이상 사용되어야 한다.
3) 기초속에 Wire를 넣을 수 있도록 Wire인 입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5. 취급방법
5-1. 본기기는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를 요해야 한다. 차단기를 기초위에 설치 하고 기초볼트에 구멍을 맞추어 챤넬을 고정시키면 일단 차단기 설치는 끝이난다.
5-2. 차단간은 별도 분리되어 있으며 8M용은 2단으로 되어 있고 12M이상은 3단으로 분리 되어 있다.
6. 설치 및 조정
6-1. 차단간 조립
1) 차단기가 기초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단간의 첫째마디가 차단기 취부부에 넣 고 파이프 안쪽으로 고정바를 삽입시킨후 중간 볼트부에 볼트를 체결한다.
2) 중간볼트 체결이 끝나면 차단간을 위로 수직선상에 놓고 나머지 구멍에 볼트를 체결 한다.(차단간을 세울 때 특별한 주의를 요함.)
3) 차단간 첫째마디가 설치되면 수동 핸들을 사용하여 차단간을 억지로 떨어트리고 둘째 마디와 셋째마디를 설치한다.
4) 차단간이 완전히 조립되면 Wire를 고리에 걸어 차단기 본체에 체결한다.(* 이때 Wire 는 상하절연이 되어있어야 함.)
5) 차단간은 일직선상에 세운후에 Wire를 당긴 후 턴버클로 조정한다.
6-2. 조 정
1) 차단기와 차단간의 조립상태가 끝난후 수동핸들을 삽입하여 차단간을 수직과 수평으 로 동작시켜 본다.
2) 차단간의 각도는 공장출하시 90°로 조정되어 있음.
3) 수동시험이 끝나면 차단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차량진입회로와 통과 회로를 차단기내 콘트롤 박스에 연결한다. 이때 콘트롤박스에 NFB스윗치 OFF상태에 놓는다.
4) 모든 배선이 완전히 연결되면 콘트롤박스에 NFB스윗치를 ON시키고 박스하단에 설 치된 하강 상승 시험보턴으로 시험한다.
5) 수동보턴 시험이 끝나면 그 이후부터는 자동콘트롤되므로 이때부터 정상가동시키면 된다.
7. 차단기 결선도 및 부분별 기능
9
상승 및 하강 단자대
30A 250V
결선도2
8
수동 하강 스위치
푸쉬버튼 스위치(적색)
7
수동 상승 스위치
푸쉬버튼 스위치(황색)
6
동작 표시 램프
8mm LED(적색)
5
모타 콘넥터
4P 40mm 금속원형 40A
결선도5
4
외부기능 콘넥터
4P 16mm 금속원형 1A
결선도4
3
근접 센서 콘넥터
8P 16mm 금속원형 1A
결선도3
2
배선용차단기 및 입력전원단자대
4P 60A 250V
결선도1
1
메인 전원 스위치
30A 250V
부품번호
부 품 명
규 격
비 고
8. 고장개소 및 보수요령
8-1. 차단기에 와이어가 풀어져 있을 경우
1) 돌풍 및 강풍에 차단간이 몹시 흔들릴 수가 있다.
2) 차단간에 동작상태가 틀릴 수가 있다.
(한쪽이 먼저 내려가고 먼저 올라올 수가 있음.)
3) 차단간에 수직과 수평이 틀릴 수가 있다.
4) 8M는 도면과 같이 짧은쪽 와이어만 걸어준다.
5) 12M - 14M는 짧은쪽과 긴쪽에 와이어를 2중으로 걸어주고 줄은 최대한 당겨준다.
8-2. 와이어를 매는 방법
1) 턴버클에 와이어를 끼워서 도면과 같이 걸어주고 이때 턴버클은 풀어논 상태로 와이 어를 당겨서 크립으로 꼭 잠궈준다.
2) 어느 정도 당겨진 상태에서 턴버클을 잠그면 줄은 최대한 당겨진다.
3) 당겨진 줄은 좌우전후를 보면서 차단간이 수직을 이루도록 턴버클로 조정한다.
4) 턴버클이 잠겨진 상태에서 턴버클에 너트를 꼭 조여준다.
5) 위와 같은 상태에서 수시로 점검한다.
8-3. 차단간이 내려가거나 올라가다 중간에 서 있을 경우
1) 상.하 감속센서 동시동작 (표시등 OFF시간이 짧은 상태로 동작)
2) 상.하 정지센서 동시동작
3) 근접정지센서 감지조정불량
4) 회로 계전기 상.하 접점 동시동작(표시등 ON시간이 짧은 상태로 동작)
5) 차단간 동작시간 경과시(표시등 ON시간과 OFF시간이 같은 상태로 동작)
6) 온도편차에 의한 스프링 주변 온도보상을 위하여 히타를 가동시킨다.
8-4. 센서동작 유.무 확인방법
1) 수동레버나 콘트롤박스 측면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대를 센서정면에 위치하고 센 서윗면의 LED ON상태 확인. (이때 감지대와 센서간 거리는 5mm 이내일 것. 그리고 수동레바를 사용할 경우 배선용 차단기를 OFF해야 한다.)
2) 센서정면에 금속물체를 위치하고 센서 윗면 LED 점등확인.
8-5. 차단간이 한쪽으로만 동작되는 경우( 내림 또는 올림)
1) 콘트롤 박스내에 FET가 파손되었을 때
2) 스프링 조정상태 불량
3) 정류기 전압조정 불량
8-6. 보수방법
1) FET 및 계전기 교체
2) 스프링 조정(보수방법 참조)
3) 온도가 급격히 내려갔을 경우
8-7. 차단간이 덜내려가고 덜올라갈 경우
1) 조정봉에서 조정이 안되었을 경우
2) 스프링 조정이 미흡할 때
3) 온도가 급격히 내려갔을 경우
8-8. 보수방법
1) 차단간이 수직과 수평을 이루지 못할 경우
도면 동력부 조립도의 크랭크를 보면 육각봉으로 되었는데 이봉을 좌우로 휘어진 각 만큼 조절하면 된다. 이때 이루어지는 각은 약 10°미만이다. 조정이 된 상태에서는 상하부에 있는 넛트를 완벽하게 조여준다.
2) 또한 스프링 조정이 미흡하면 차단간이 수직,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스프링이 강하게 조여져 있으면 차단간은 덜내려 가게 되고 약한상태면 차단간은 더 내려 가게되므로 상태를 확인하면서 조정을 한다.
이때 수동레바로 돌려보면 내림과 올림에 힘이 균등할 때 스프링의 상태는 최상이다.
스프링을 조정하는 방법은 도면 완충장치부(스프링) 상단에 있는 육각넛트를 조이거 나 풀면 조정이 가능하다. 넛트를 조이면 스프링의 탄성은 강해지고 풀면 탄성이 약 해진다.
3) 가벼운 온도 변화에는 별무리가 없지만 급격히 온도가 떨어지면 철에 수축작용에 의 하여 약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히타가동)
9. 유지보수
9-1. 개요
1) 과도하게 주유하지 않도록 주의한다(감속기 및 베어링)
2) Wire에 연결된 턴버클에 스크류와 각부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