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음반유통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음반유통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음반 유통이란

◈음반 유통의 의미와 중요성

◈음반 유통의 이상적인 구조

◈일본의 음반 유통

◈한국 음반 유통의 문제점과 대안방안

◈마치면서

본문내용

인 형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음반 유통
◎일본의 음반 유통은 크게 메이커 특약점(43%)과 도매상(51%), 그리고 특판(56%) 등 세 가지 형태로 구성된다.
◇메이커 특약점
→ 메이커와 직접 유통 계약을 맺어 음반을 유통
→ 90년대 이후 특약점의 비율은 줄어들고 도매점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
(90년 60%에서 현재 43%)
⇒ 이는 거래 단위가 소규모인 음반, 소매점의 경우 음반회사가 각각의 소매점과 거래를 하지 않 이를 대행하는 도매점에게 맡기는 경우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거리가 먼 소매점과 음반 메이커회사가 직접 거래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원활 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매상 의존도가 점차 높아지게 되었다.
◇도매상
→ 대형 도매상은 메이커로부터 음반을 받아 소매상에 공급
⇒ 소매점이 음반을 주문하면 도매상은 그 음반이 상품센터창고에 재고로 남아있을 경우에는 바로 다음날 공급하고 재고량이 없을 시에는 메이커에 주문하여 4일 이내에 제공한다.
→ 신성당
⇒ 일본 최대의 CD체인으로서 설립은 1964년을 이후 전국에 점포를 전개해, 97년에는 직영 298 점에 달하고 있다. 49년에 동경에서 창업된 신성당은 레코드, 악기, 소매점 이었다.
64년에 사업확장을 위해 레코드 소매사업 확장을 꾀하는 목적에서 주식회사 신성당이 된다.
신성당은 외자계 대형점에 의한 수입반붐 이전의 72년에 수입반 전문점인 「DISK INN」을 동 경에 출점 한다. 그후 84년에는 내외 음악 저작권 관리회사로서 시리어tm 회사에 자본을 참가 한다.
신성당은 불황기였던 80년대 전반 각지역의 도매상들이 사업을 축소 하고 있는 사이에 사업을 확장함으로써 일본 최대의 도매상으로 부상했으며 당시 음반소매에 활발하게 참여했던 수퍼 스 토어, 서점, 가전대리점 등에 음반을 공급하면서 성장 했다.
⇒ 츠타야
⇒ 츠타야는 일본 전국에 약900여개의 점포를 가진 일본 최대의 비디오 CD렌탈 체인으로서 Culture Convenience Club이다. (게임, 만화, 비디오, 멀티미디어 소프트 등을 복합 판매하는 곳)이 체인 의 최저 출점 규모는 350평으로 대형점의 부류에 들어간다. 이 곳은 음반만을 취급하는 곳은 아 니지만 여기서 취급되는 음악소프트의 수는 상당한 규모이다. 그것이 일본 전국 900여 점포에 달 하기 때문에, 음반 업계에서는 무시할 수 없는 존재이다.
→ 타워 레코드
⇒ 미국의 대형 CD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30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