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에 말을 건네는 예술 -디지털 카메라와 사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예술과 디지털의 만남

Ⅱ. 사진예술과 디지털의 만남

Ⅲ. 디카에 대해서
1. 디카문화란?
2. 디카문화의 형성과정
3. 디카문화를 주도하는 사람들
4. 디카문화의 특징
5. 디카문화의 부정적인 면

Ⅳ. 디카는 사회에게 무슨 말을 건네고 있는가

본문내용

들여 질 수도 있다.
(3)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에 이어 디카문화는 영상세대, 비주얼 세대를 대변한다 할 수 있다. 영상세대는 문자보다는 시각적 이미지에 더 잘 반응하고 익숙하다. 이는 그만큼 문자는 자주 접하지 않고 익숙하지 않다는 뜻이다. 영상세대가 그 나름대로의 장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문자세대를 대표하는 책에서 아직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배울 것이 많다. 너무 시각적 이미지에 빠져서 책이라는 중요한 활자매체를 소홀히 여겨서는 안될 것이다.
(4) 리플문화를 악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다른 사람의 사진에 리플을 달 때, 그 사람을 폄하하는 발언을 하거나 욕을 사용해서 디카문화의 분위기를 흐리는 사람들이 있다. 리플을 달 때는 서로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친절하게 조언을 해야지, 비난하는 글을 남겨 상처를 주어서는 안된다.
(5) 더 좋은 기종의 디카가 나올 때마다 자꾸 새로 사려는 과소비적 경향이 있는 사람들이 있다.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디카도 점점 발전할 것이다. 우리도 이에 맞춰 디카를 바꿔가면서 따라가자면 끝도 없을 것이다. 자신의 능력의 한계를 알고 자신의 소유욕을 자제할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
Ⅳ. 디카는 사회에게 무슨 말을 건네고 있는가
1839년 프랑스의 다게르(Daguerre)가 사진 기술의 최종 발명가로 밝혀졌을 당시 사진은 단지 하나의 기술에 지나지 않았다. 사진은 그 현상 기술이 발명된 이레로 줄곧 화가들의 무시를 받아 왔으며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은 지도 근래에 들어서이다.
이런 상황 아래서 디지털 카메라가 개발됨으로써 사진 예술의 패러다임 자체가 조금씩 변해가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의 등장으로 일반인들과 작가들의 기기 적인 차이가 좁혀지고 일반인들의 사진 예술의 관심이 증가되면서 이제는 사진이 대중 안에서 함께 호흡하는 예술 분야가 되었다. 이에 반해 디지털 카메라는 CCD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진이 단지 증명이나 증거로 일반인들에게 쓰이던 과거의 개념과 달리 자기 자신의 모습에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예술 결과물로서 사진을 소유하게 된 것이다. 남이 자신을 어떻게 보고 나는 그 사회 속에서 어떻게 행동할까 하는 ‘인간관계 속에서의 나’ 보다는 내가 사회의 주체이고 사회가 나를 둘러싼 ‘나로 인해 형성되는 사회’의 개념으로 규정 할 수 있다. 주체는 개개인이 되고 사회가 나를 형성하는 수동적 의미의 인간보다는 내가 사회를 주도해 가는 적극적 의지를 띤 인간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발전은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고 누구나 수용자가 될 수 있는 'Prosumer(Produce+Consumer)'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동시 생산과 소비가 가능한 예술 시대를 만드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앞에서 언급했듯 디카문화가 가지는 몇몇 부적정인 면들이 있지만 긍적적인 면이 이를 보상하고도 남는다고 본다. 몇가지 부정적인 면을 잘 개선해 나가면 디카문화는 디지털 시대의 아름다운 문화예술로 자리 잡을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7.03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8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