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현대 사회와 문화, 그리고 신성함
2.‘에반게리온’과 종교
3.‘에반게리온’에서 받은 느낌
2.‘에반게리온’과 종교
3.‘에반게리온’에서 받은 느낌
본문내용
나를 싫어 할까봐, 배척할까봐 혼자가 될까봐 필요가 없어질 까봐 두려워한다. 항상 마음의 문을 닫고 산다. 그건 남에게 상처 주는 게 자기가 상처받는 것보다 더 아프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도 하던데. 물론 나는 아직 그 본원적인 외로움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답을 찾지 못했지만 언젠가는 풀어나가야 할 고민이 아닐까 싶다. 종교적인 믿음이던지 그 이외의 방법을 통해서 말이다.
일본이나 우리나라에서 '에반게리온'이 엄청난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매니아층의 형성까지) 은 물론 그 만화가 가지고 있는 재미 때문이겠지만 그 재미를 만들게 한 인간에 대한 이러한 고민과 종교를 통한 그 고민의 표현, 그리고 시청하는 각자에게 돌아오는 스스로의 고민이 다른 만화와의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일본이나 우리나라에서 '에반게리온'이 엄청난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매니아층의 형성까지) 은 물론 그 만화가 가지고 있는 재미 때문이겠지만 그 재미를 만들게 한 인간에 대한 이러한 고민과 종교를 통한 그 고민의 표현, 그리고 시청하는 각자에게 돌아오는 스스로의 고민이 다른 만화와의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