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문
1.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이란?
2. DRM의 목적
3. DRM의 필요성
4. DRM을 통한 기대 효과
1) 저작권자 및 e-비즈니스 측면
2) 소비자 측면
5. DRM의 구조
6. DRM의 응용 범위
7. DRM 요소 기술
1) 저작권 관리기술
(1) 콘텐츠 식별자(DOI : Digital Object Identifier)
(2) DOI 기대효과
(3) 콘텐츠 메타데이터
(4) 콘텐츠 권리명세언어
2) 저작권 보호기술
(1) 암호 요소 기술
(2) 키 분배 및 관리
(3) TRM(Tamper Resistant Module)
(4) 디지털 워터마킹
8. DRM의 기능
1) 콘텐츠 보호․인증
2) 사용자 인증
3) 거래 권한(Business)․사용권한(Usage Rule) 적용
4) 라이센스 보호
5) 라이센스 백업(Back-up)
6) 하드웨어 바인딩
7) 클리어링 하우스
8) 휴대용 단말기 지원
9) Super-Distribution
9. 국내시장 현황 및 전망
1) 시장 분야 별
(1) 무선 PDA용
(2) 동영상 워터마킹
(3) 텍스트 문서 영상의 워터마킹
(4) 비디오 워터마킹
2) 국내시장 현황 및 전망
10. 국내 표준화 추진 현황
11. DRM 국외 표준화 동향
1) MPEG21
2) IRTF/IETF
3) W3C
Ⅲ. 결 론
1. 관련 기술의 향후 전망
2. 관련 기술의 교육학술 정보화 활용 가능성 및 전략
참 고 문 헌
Ⅱ. 본 문
1.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이란?
2. DRM의 목적
3. DRM의 필요성
4. DRM을 통한 기대 효과
1) 저작권자 및 e-비즈니스 측면
2) 소비자 측면
5. DRM의 구조
6. DRM의 응용 범위
7. DRM 요소 기술
1) 저작권 관리기술
(1) 콘텐츠 식별자(DOI : Digital Object Identifier)
(2) DOI 기대효과
(3) 콘텐츠 메타데이터
(4) 콘텐츠 권리명세언어
2) 저작권 보호기술
(1) 암호 요소 기술
(2) 키 분배 및 관리
(3) TRM(Tamper Resistant Module)
(4) 디지털 워터마킹
8. DRM의 기능
1) 콘텐츠 보호․인증
2) 사용자 인증
3) 거래 권한(Business)․사용권한(Usage Rule) 적용
4) 라이센스 보호
5) 라이센스 백업(Back-up)
6) 하드웨어 바인딩
7) 클리어링 하우스
8) 휴대용 단말기 지원
9) Super-Distribution
9. 국내시장 현황 및 전망
1) 시장 분야 별
(1) 무선 PDA용
(2) 동영상 워터마킹
(3) 텍스트 문서 영상의 워터마킹
(4) 비디오 워터마킹
2) 국내시장 현황 및 전망
10. 국내 표준화 추진 현황
11. DRM 국외 표준화 동향
1) MPEG21
2) IRTF/IETF
3) W3C
Ⅲ. 결 론
1. 관련 기술의 향후 전망
2. 관련 기술의 교육학술 정보화 활용 가능성 및 전략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준 채택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국내 워터마킹 전문가들의 연구회인 ISMC(Information Security in Multimedia Content)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보호를 중점 연구하기 위해 결성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자체 세미나를 통해 워터마킹 기술과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3) 텍스트 문서 영상의 워터마킹
전자 도서관은 스캔된 영상 형태의 문서와 워드 프로세서로 작성된 텍스트 형태의 문서를 갖는다. 최근 발생하는 자료는 대부분 PDF 또는 PostScript 포맷에 텍스트 형태로 들어있다. 현재 많은 자료가 이미 구축되어 있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정보 제공자는 저작권 보호 장치가 없는 것에 대한 부담을 안고 있으므로 전자 도서관 서비스에 투입이 용이하다고 판단된다.
(4) 비디오 워터마킹
비디오 워터마킹은 영상, 음성을 포함한 전체적인 멀티미디어 워터마킹 기술로서, 각종 저작권 보호 및 관리를 위해 어떠한 장비와도 무관하게 사용하는 컨텐츠/소프트웨어에 무관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상호 연동성을 위한 MPEG-21 working group도 있다. DVD 비디오 워터마킹을 고려하여 복제관리 조정을 시도하는 DVD CCA(DVD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활동 단체)는 이미 두 차례에 걸쳐 기술제안을 받고, 참여 업체들은 이에 기술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외에도 일부 MJPEG, streaming service에서 워터마킹 적용을 위한 노력이 추진 중에 있다. 비디오 워터마킹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결과를 제공하지는 않고, 워터마킹보다는 저작권 보호용 관리도구에 더 관심을 갖고 있는 실정이지만 최근에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인터넷 방송,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전자도서관 등의 여러 산업의 발달은 동영상 컨텐츠 보호 기술의 도움으로 그 발전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2) 국내시장 현황 및 전망
(단위:백만 달러,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성장률
354
557
919
1,461
2,202
3,347
5,242
56.7 %
<표> 국내 디지털 컨텐츠 산업 생산 규모 및 전망
[자료: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2001),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01)]
2001년 국내 디지털 컨텐츠 산업 매출액 규모는 제작 20,724억원(60.5%), 서비스지원 9,631억원(28.1%), 유통 3,899억원(11.4%)로 합계 34,254억원(100%)이다.
국내 DRM시장은 IDC자료에 의하면 디지털 컨텐츠 시장의 10%로 추산할 수 있으며 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다.
<그림 5. 국내 DRM 시장 현황>
디지털 컨텐츠 시장의 성장과 함께 DRM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2000년 IDC자료에 의하면 컨텐츠 보안 분야에 대한 관심은 지적 재산권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질 것이며 동시에 시장 성장을 부추길 전망이다.
10. 국내 표준화 추진 현황
DRM 표준화를 위해 정보통신부 주관으로 DOI 표준화의 추진과 DRM포럼, MPEG-Korea 등 전담 추진 체제를 구성하여 컨텐츠 보호, 유통, 관리측면의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의 정통부가 추진하고 있는 DRM 표준화 정책은 다음과 같다.
- 국내 DRM과 관련된 산학연을 포괄하여 운영되는 DRM 워킹그룹을 통한
DRM표준화 사양 도출
-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를 통한 국내 표준 DRM 기술 개발 추진
- SEDICA를 통한 저작권보호기술 표준화. 현재는 심의 기준이 모호한 DRM은
제외하고 일단 워터마킹 기술에 한하여 표준화 작업 진행 중.
컨텐츠 관리 측면에서 표준화된 저작권 관리정보의 데이터 요소 및 형식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축, 운영되고 있는 각종 저작권 정보관리 시스템간의 통합 검색 및 정보 공유를 지원할 수 있으며, 각종 응용 시스템간의 통합을 가속화할 수 있는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 표준화 논의는 음악파일을 우선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2000년 12월 한국디지털 포럼은 산하에 디지털음악표준그룹(DMSG)을 설립하였고, DRM과 워터마킹 기술을 가진 업체들의 참여를 통해 국내 DRM기술의 세계적 표준화에 앞장서고 디지털 컨텐츠 유통전반을 관할할 계획이다. 정부도 DRM기반 솔루션의 표준화와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할 것을 발표해, 국내 DRM 시장의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02년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 관리정보의 구성 요소 및 형식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이에 대한 국가 표준안이 마련될 경우 저작권 관리정보에 대한 상호 운용성 확보에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11. DRM 국외 표준화 동향
1) MPEG21
MPEG21의 목적은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 Frame Work에서 필요한 Entity를 도출하여 상호운용성을 지원할 수 있는 스펙을 제시하는 것이다. DRM을 포함하는 훨씬 더 큰 범위에서의 작업으로 볼 수 있다.
DRM과 특히 밀접하게 관련있는 작업으로 RDD(Rights Data Dictionary) 및 REL(Rigths Expression Language)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현재 진행되고 있다.
2001년 12월 MPEG회의에서, RDD에 대해서는 INDECS가, REL에 대해서는 XrML, ODRL 등이 제안되었는데, INDECS와 XrML의 표준 채택이 유력시되고 있다.
2) IRTF/IETF
IRTF/IETF에서는 DRM 시스템 표준화를 위한 연구 그룹인 IDRM(Internet DRM)이라는 RG(Research Group)을 발족시켰다.
IDRM은 DRM 그 자체보다는 DRM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반 유통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Resolution 중 하나인 Handle System과 Subset-Difference 알고리즘에 기반한 멀티캐스팅 통신 세션을 위한 키관리 메커니즘에 대한 표준안이 제안된 상태이다.
3) W3C
W3C에서는 DRM 표준 작업과 관련하여 2001년 1월 이틀 간에 걸쳐 워크
(3) 텍스트 문서 영상의 워터마킹
전자 도서관은 스캔된 영상 형태의 문서와 워드 프로세서로 작성된 텍스트 형태의 문서를 갖는다. 최근 발생하는 자료는 대부분 PDF 또는 PostScript 포맷에 텍스트 형태로 들어있다. 현재 많은 자료가 이미 구축되어 있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정보 제공자는 저작권 보호 장치가 없는 것에 대한 부담을 안고 있으므로 전자 도서관 서비스에 투입이 용이하다고 판단된다.
(4) 비디오 워터마킹
비디오 워터마킹은 영상, 음성을 포함한 전체적인 멀티미디어 워터마킹 기술로서, 각종 저작권 보호 및 관리를 위해 어떠한 장비와도 무관하게 사용하는 컨텐츠/소프트웨어에 무관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상호 연동성을 위한 MPEG-21 working group도 있다. DVD 비디오 워터마킹을 고려하여 복제관리 조정을 시도하는 DVD CCA(DVD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활동 단체)는 이미 두 차례에 걸쳐 기술제안을 받고, 참여 업체들은 이에 기술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외에도 일부 MJPEG, streaming service에서 워터마킹 적용을 위한 노력이 추진 중에 있다. 비디오 워터마킹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결과를 제공하지는 않고, 워터마킹보다는 저작권 보호용 관리도구에 더 관심을 갖고 있는 실정이지만 최근에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인터넷 방송,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전자도서관 등의 여러 산업의 발달은 동영상 컨텐츠 보호 기술의 도움으로 그 발전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2) 국내시장 현황 및 전망
(단위:백만 달러,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성장률
354
557
919
1,461
2,202
3,347
5,242
56.7 %
<표> 국내 디지털 컨텐츠 산업 생산 규모 및 전망
[자료: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2001),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01)]
2001년 국내 디지털 컨텐츠 산업 매출액 규모는 제작 20,724억원(60.5%), 서비스지원 9,631억원(28.1%), 유통 3,899억원(11.4%)로 합계 34,254억원(100%)이다.
국내 DRM시장은 IDC자료에 의하면 디지털 컨텐츠 시장의 10%로 추산할 수 있으며 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다.
<그림 5. 국내 DRM 시장 현황>
디지털 컨텐츠 시장의 성장과 함께 DRM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2000년 IDC자료에 의하면 컨텐츠 보안 분야에 대한 관심은 지적 재산권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질 것이며 동시에 시장 성장을 부추길 전망이다.
10. 국내 표준화 추진 현황
DRM 표준화를 위해 정보통신부 주관으로 DOI 표준화의 추진과 DRM포럼, MPEG-Korea 등 전담 추진 체제를 구성하여 컨텐츠 보호, 유통, 관리측면의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의 정통부가 추진하고 있는 DRM 표준화 정책은 다음과 같다.
- 국내 DRM과 관련된 산학연을 포괄하여 운영되는 DRM 워킹그룹을 통한
DRM표준화 사양 도출
-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를 통한 국내 표준 DRM 기술 개발 추진
- SEDICA를 통한 저작권보호기술 표준화. 현재는 심의 기준이 모호한 DRM은
제외하고 일단 워터마킹 기술에 한하여 표준화 작업 진행 중.
컨텐츠 관리 측면에서 표준화된 저작권 관리정보의 데이터 요소 및 형식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축, 운영되고 있는 각종 저작권 정보관리 시스템간의 통합 검색 및 정보 공유를 지원할 수 있으며, 각종 응용 시스템간의 통합을 가속화할 수 있는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 표준화 논의는 음악파일을 우선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2000년 12월 한국디지털 포럼은 산하에 디지털음악표준그룹(DMSG)을 설립하였고, DRM과 워터마킹 기술을 가진 업체들의 참여를 통해 국내 DRM기술의 세계적 표준화에 앞장서고 디지털 컨텐츠 유통전반을 관할할 계획이다. 정부도 DRM기반 솔루션의 표준화와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할 것을 발표해, 국내 DRM 시장의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02년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 관리정보의 구성 요소 및 형식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이에 대한 국가 표준안이 마련될 경우 저작권 관리정보에 대한 상호 운용성 확보에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11. DRM 국외 표준화 동향
1) MPEG21
MPEG21의 목적은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 Frame Work에서 필요한 Entity를 도출하여 상호운용성을 지원할 수 있는 스펙을 제시하는 것이다. DRM을 포함하는 훨씬 더 큰 범위에서의 작업으로 볼 수 있다.
DRM과 특히 밀접하게 관련있는 작업으로 RDD(Rights Data Dictionary) 및 REL(Rigths Expression Language)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현재 진행되고 있다.
2001년 12월 MPEG회의에서, RDD에 대해서는 INDECS가, REL에 대해서는 XrML, ODRL 등이 제안되었는데, INDECS와 XrML의 표준 채택이 유력시되고 있다.
2) IRTF/IETF
IRTF/IETF에서는 DRM 시스템 표준화를 위한 연구 그룹인 IDRM(Internet DRM)이라는 RG(Research Group)을 발족시켰다.
IDRM은 DRM 그 자체보다는 DRM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반 유통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Resolution 중 하나인 Handle System과 Subset-Difference 알고리즘에 기반한 멀티캐스팅 통신 세션을 위한 키관리 메커니즘에 대한 표준안이 제안된 상태이다.
3) W3C
W3C에서는 DRM 표준 작업과 관련하여 2001년 1월 이틀 간에 걸쳐 워크
키워드
추천자료
정보관리론
음반저작권,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조직관리론]거스너와 IBM 조직분석
[재무관리, 투자론]디지털도어락 전문기업 ‘아이레보’ 주가 기업가치 평가 분석
포스코(POSCO)가 추구하는 인재상과 사원 관리
정보화의 영향 - 정보화 사회의 개념, 특징,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불건전 정보유통, 컴퓨...
병원에서 인사관리의 중요성
구글의 기업문화와 인재관리 Google 조직관리 케이스 발표 PPT 구글러와 팀의 수평적 기업조직
우리나라 디지털 음악저작물의 보호와 온라인 음악사업
저작권에 관한 조사
[하이닉스]하이닉스 인사관리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PPT자료
e-book(전자출판, 전자책)의 개념과 특징, e-book(전자출판, 전자책)의 저작권과 윤리, e-boo...
[미디어 윤리 법제] - 지상파 방송사와 TV 녹화 대행 서비스 업체 간의 저작권 분쟁
기업의 정보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