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의 득과 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흥선대원군의 득과 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序

2. 흥선대원군의 연역

3. 대원군집정시기의 시대적 상황

4. 흥선대원군의 개혁정치
1) 정치적 측면
2) 국방 분야
3) 경제 분야
4) 왕실재건
5) 쇄국양이(鎖國攘夷)

5. 대원군의 정치 평가
1) 긍정적 측면
2) 부정적 측면

6. 결론

본문내용

국가재정 상태는 호전되고 삼정의 폐단은 시정되었다. 하지만 그의 개혁은 상업, 공업, 무역의 중요성을 도외시하였고 전면적인 양전실시의 실패라는 한계를 갖고 있다.
4) 왕실재건
대원군은 조선왕실의 지위가 많이 떨어졌다고 생각하여서 왕권강화와 왕실의 존엄 회복을 목적으로 경복궁을 중건하게 된다. 하지만 경복궁 중건은 국가재정이 여의치 않아 중건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부족한 재원을 조달하기 위하여 원납전, 결두전, 성문세, 당백전 주조 유통 원납전 : 자진 헌납-원납전으로 변함. 성문세 : 통행세, 도성문 출입자에게 세금 징수
결두전 : 지세. 1결당 100문.
등을 단행한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하여 경복궁중건은 백성들의 원성을 많이 사게 된다.
5) 쇄국양이(鎖國攘夷)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최용범. 중앙 M&B. 2001
조화양이 사상에 기초하여 대원군은 서구열강과 일본에 대해 극단적인 쇄국정책을 전개 한다. 미국 프랑스등과 무력 충돌도 불사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명치 일본에 대해서 비타협적 고자세 외교로 일관하였다.
국내에서는 천주교 세력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었다.
러시아의 남하를 프랑스의 힘을 빌려 막으려고 베르누 주교에게 프랑스 정부와의 교섭을 요구 했으나 거정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 때부터 천주교 탄압은 시작 되었다. 천주교 세력을 철저히 색출하고 박멸하기 위하여 프랑스 선교사 9명, 국내신도 8,000여명을 학살 하였다.
이후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승리함으로써 자력으로 구미 제국주의 침략을 물리쳤다는 점에서 역사적의의를 찾을 수 있다.
5. 대원군의 정치 평가
1) 긍정적 측면
대원군의 정치는 외세의 침투에 대항하여 국가의 자주권을 지키려 노력한 점에서 근대 민족국가의 성격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전통사회의 각종 폐단을 과감히 개혁하려 한 점에서 근대사회로 나아가는 계기를 찾을 수 있다.
외국의 모델을 흉내내지 않고 조선식의 개혁을 추진하여 민족주의적 개혁 정치로 평가 할 수 있다.
긍정적 측면은 게 5가지로 볼수 있다.
첫째, 강대국의 침략을 격퇴함으로써 나라를 보위 하였다.
둘째, 민란을 예방하고 진압 하였다.
셋째, 이씨 왕조의 권위를 현격히 강화 하였다.
넷째, 복고주의적이지만 조선식으로 개혁을 추진하려 한 민족주의적 개혁정치를 펼쳤다.
다섯째, 대원군은 많은 업적을 남긴 업적 지행적 정치가로 평가 할 수 있다.
2) 부정적 측면
흥선대원군의 정치는 긍적 측면 외에도 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7.15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