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교육에서 정서의 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새로운 교수 접근법의 필요성
(1) 교직의 전문성
(2) 교사의 전문성의 필요성

2. 교수 학습과정에서 정서의 중요한 역할
(1) 문화와 교실 분위기가 학생들의 정서에 미치는 효과
(2) 수학에 대한 불안: 개인적 악순환

[ 나의 견해 ]

본문내용

두려움과 불안을 주는 요인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생각을 또 한번 굳힐 수 있었다.
'학생들이 대체로 성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라.' 라는 항목은 정말 중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아이들이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것은 수학에 대한 흥미를 느끼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다. 물론 질문하는 것을 독려하는 것도 중요한 것이다. 질문이라는 것 자체가 두려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거기서 오는 불안들을 없애주어야 할 것이다. 교사는 가장 저변에 있는 불안의 근원을 찾기 위해 힘써야 하고, 학생들이 불안 모형의 악순환을 겪지 않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 중요한 것 한 가지는 능력보다 노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워 주도록 노력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잠재적인 능력은 누구에게나 있으므로 아이들의 독창적인 사고방법이 나올 때 마다 칭찬하고 격려하여, 나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일깨워 주어야 한다.
사실 교사가 된다는 것이 여러 면에서 두렵기도 하다. 이제껏 교사라는 직업을 만만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안일한 생각으로 막연히 아이들을 가르친다는 것에 대해 쉽게 생각하고 있었던 나에 대해 반성해보았다. 얼마 전 초등학생 과외를 하면서도 느낀 것이지만, 아이들은 각자의 개성이 뚜렷하고, 나의 아이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만으로는 모든 일이 해결될 수 없다는 사실을 또 한번 되새김질 하게 되었다. 학생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배우는지 이해해야, 가르치는데 있어서 학생과 선생의 사고 차이를 줄일 수 있고 아이들의 학습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충분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정확한 방법으로 지도해야 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지금부터 다시 마음을 가다듬어 교사직에 대한 사명감을 가지고, 비판적인 안목으로 독자적인 의사 결정을 하는 진정한 전문가가 되도록 노력 해야겠다. 그 과정은 필시 노력에 노력을 요하는 힘든 과정이지만, 미래의 꿈나무들을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는 바는 모두 해야 한다는 각오로 임해야 하겠다.
이번 과제를 통하여 수학을 가르치기 위한 자세도 가다듬을 수 있어서 좋았지만, 그 보다 나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수학에 대한 나의 두려움의 근원을 찾고 그것을 이해하여, 그 두려움을 떨쳐 버릴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 두려움이나 불안의 뿌리가 깊어서 당장 사라질 수는 없겠지만, 이해하고 노력해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만으로도 큰 성과를 얻은 것 같다. 그리고 '수학과교육' 강의를 시작하기 전에 수학이라는 것과 수학 교수법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었다. 내가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수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가슴 속에 백지를 담아두고 점차 그 설계도를 그려 나가야겠다.
이 강의를 계기로 수학에 대한 나의 인식을 바꿀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나아가 학생들에게 수학을 제대로 가르치기 위한 전문성을 키워나가는 준비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나 또한 그렇게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7.17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6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