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성역활의 정의 와 고정관념 그리고 변화하는 성역활.
2. 본론
- TV광고에 대한 성역활 고정관념 분석 조사
(1) 광고와 성차별
(2) 인쇄 광고속의 여성의 모습
- 텔레비전 광고에서 여성의 스테레오 타입화된 이미지에 대한 연구
- 우리 나라 광고 속 여성의 특성과 예
(3) 매스 미디어 영역에서의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과제
- 매스미디어 속의 성차별 극복 방안
3. 결론
- 광고속 성역활에 대한 개인적 견해와 앞으로의 방향
- 성역활의 정의 와 고정관념 그리고 변화하는 성역활.
2. 본론
- TV광고에 대한 성역활 고정관념 분석 조사
(1) 광고와 성차별
(2) 인쇄 광고속의 여성의 모습
- 텔레비전 광고에서 여성의 스테레오 타입화된 이미지에 대한 연구
- 우리 나라 광고 속 여성의 특성과 예
(3) 매스 미디어 영역에서의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과제
- 매스미디어 속의 성차별 극복 방안
3. 결론
- 광고속 성역활에 대한 개인적 견해와 앞으로의 방향
본문내용
다. 《플레이보이》를 보면, 광고의 54%는 장식물로서의 여성상(1등급), 그리고 34%는 전통적인 여성상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타임》,《뉴스위크》에는 광고에 나타난 여성상 중에서 제 1등급과 제 2등급이 각각 73%, 78%를 차지하였다. 전반적으로 《미즈》에는 주로 제 2?3등급인 반면에 나머지 잡지에는 제 1?2등급의 여성상이 주를 이루었다. 이상과 같이 인쇄 광고에는 여성의 현실적인 이미지를 담아내지 않았다. 이것이 바로 잡지가 사회현실을 그대로 보여주지 않고 현실을 상당히 왜곡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하겠다. 또한 잡지 광고에서 대다수의 남성들은 직장인이며 가사 일에는 책임이 없는 것으로 그려졌다는 점에서 뚜렷한 성차별 현상을 목격할 수 있다.
- 텔레비전 광고에서 여성의 스테레오타입화된 이미지에 대한 연구
텔레비전 광고에서 여성의 스테레오타입화된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최초로 도미니크와 렌치(Dominick & Ranch)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그들은 1971년 뉴욕시에서 황금시간대에 방송된 1천여 개의 광고를 분석하였다. 그들은 광고 상품, 해설음성의 성별, 구입자의 성별, 세팅, 의복, 등장여성의 외견상 직업, 카메라에 찍힌 여성에 의한 상품판매, 광고에서 여성의 일차적 역할 등을 분석단위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여자가 모델로 나오는 광고의 75%는 주방이나 욕실에서 사용하는 상품에 대한 것이었다.
② 모델로 나온 여성들의 직업은 주로 가정주부였다.
③ 직장여성들이 등장한다고 하더라도 이들은 직장에서 주로 남성의 보조자 역할을 하였다.
④ 광고에서 해설음성은 절대적으로 남자였다.
⑤ 여성들은 주로 화장품, 청결용품에 관련된 상품의 광고에는 많이 나오지만 반면에 자동차, 연료, 오일에 관련된 상품광고에는 너무나 적게 등장하였다.
이처럼 텔레비전 광고 속에서 여성들은 주방이나 욕실에서, 그리고 권위가 있는 남성의 조언을 열심히 구하면서 다른 사람의 시중을 들거나, 예뻐지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젊은 가정주부로 그려지고 있다. 또한 여성들은 주로 화장품과 같은 개인용품의 모델이 되지만, 남성들은 자동차와 같은 상품의 모델이 되었다. 남성들의 직업은 의사, 변호사, 과학자, 교수 등과 같은 전문직종인 반면 여성들은 주로 가정주부로만 그려지고 있었다.
- 우과리나라 광고 속의 성차별 특성과 예
우리 나라 광고 속의 여성의 모습도 외국의 경향과 거의 비슷하였는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차별적인 CF 중에 최악의 CF를 꼽는 설문조사
1> 트롬 세탁기 광고
1위를 차지한 대형세탁기 광고 트롬, 하우젠 세탁기,클라쎄세탁기
그중 아이와 엄마가 같이 나오는 트롬광고이다.
copy
엄마 : 트럼 때문에 세탁하는 시간이 즐거워 졌습니다.
이 CF에서는 항상 빨래를 하는 것은 엄마와 여자아이로 나온다.
여기서도 쉽게 성차별적인 면은 확인할수 있다. 왜 빨래는 여자가 하는가...? 혹은 가사일은 여성이 하는가...? 아이를 키우는 엄마의 식으로 묘사되어 보는이들에게 반감을 살수도 있다. 카피에서도 보면 알 수 있듯이 트럼 세탁기 때문에 세탁하는 시간이 즐거워 졌다는 여성의 말은 CF를 볼 때에는 모르지만 다시 생각해 보면 가사일 하는시간은 노동의 시간과 같은데 그 시간이 세탁기 하나로 즐거워 졌다는 것은 다소 억지있는 카피가 아닐수가 없다.
2> 기탄수학 학습지 광고
학습지광고
기탄수학 CF 카피 “엄마가 가장 좋은 선생님이에요”
copy
엄마 : 아이 공부요?
솔직히 욕심 많죠
때론 야단도 치고,
이것 저것 시켜도 보고,
그런데 엄마응원이 최고 더라구요
기탄이 있자나요
엄마가 가장 좋은 선생님이에요.
[ CF스토리 ]
왜 엄마는 가장 좋은 선생님일까요?
바로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주는 엄마의 응원때문입니다. 2005년 기탄의 CF <엄마의 응원편>은 엄마의 칭찬과 격려가 자녀에게 가장 큰 교육이라는 메세지를 담았습니다. 특히 유명탤런트지만 아이공부만큼은 여느 엄마와 똑같은 고민을 하는 김희애씨의 담담하고 솔직한 나레이션이 학부모님들에게 공감을 드릴 것입니다.
또한 틀린 문제에 별표를 그려주며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주는 엄마의 모습이야말로 왜 자녀를 직접 가르쳐야 하는가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 CF 는 자녀의 공부걱정에 속상해 하는 엄마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데, 카피나 스토리에서 알 수 있듯이 엄마응원이 최고, 또는 엄마가 가장 좋은 선생님이에요 하는 문구에서 자녀의 교육은 무조건 엄마의
- 텔레비전 광고에서 여성의 스테레오타입화된 이미지에 대한 연구
텔레비전 광고에서 여성의 스테레오타입화된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최초로 도미니크와 렌치(Dominick & Ranch)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그들은 1971년 뉴욕시에서 황금시간대에 방송된 1천여 개의 광고를 분석하였다. 그들은 광고 상품, 해설음성의 성별, 구입자의 성별, 세팅, 의복, 등장여성의 외견상 직업, 카메라에 찍힌 여성에 의한 상품판매, 광고에서 여성의 일차적 역할 등을 분석단위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여자가 모델로 나오는 광고의 75%는 주방이나 욕실에서 사용하는 상품에 대한 것이었다.
② 모델로 나온 여성들의 직업은 주로 가정주부였다.
③ 직장여성들이 등장한다고 하더라도 이들은 직장에서 주로 남성의 보조자 역할을 하였다.
④ 광고에서 해설음성은 절대적으로 남자였다.
⑤ 여성들은 주로 화장품, 청결용품에 관련된 상품의 광고에는 많이 나오지만 반면에 자동차, 연료, 오일에 관련된 상품광고에는 너무나 적게 등장하였다.
이처럼 텔레비전 광고 속에서 여성들은 주방이나 욕실에서, 그리고 권위가 있는 남성의 조언을 열심히 구하면서 다른 사람의 시중을 들거나, 예뻐지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젊은 가정주부로 그려지고 있다. 또한 여성들은 주로 화장품과 같은 개인용품의 모델이 되지만, 남성들은 자동차와 같은 상품의 모델이 되었다. 남성들의 직업은 의사, 변호사, 과학자, 교수 등과 같은 전문직종인 반면 여성들은 주로 가정주부로만 그려지고 있었다.
- 우과리나라 광고 속의 성차별 특성과 예
우리 나라 광고 속의 여성의 모습도 외국의 경향과 거의 비슷하였는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차별적인 CF 중에 최악의 CF를 꼽는 설문조사
1> 트롬 세탁기 광고
1위를 차지한 대형세탁기 광고 트롬, 하우젠 세탁기,클라쎄세탁기
그중 아이와 엄마가 같이 나오는 트롬광고이다.
copy
엄마 : 트럼 때문에 세탁하는 시간이 즐거워 졌습니다.
이 CF에서는 항상 빨래를 하는 것은 엄마와 여자아이로 나온다.
여기서도 쉽게 성차별적인 면은 확인할수 있다. 왜 빨래는 여자가 하는가...? 혹은 가사일은 여성이 하는가...? 아이를 키우는 엄마의 식으로 묘사되어 보는이들에게 반감을 살수도 있다. 카피에서도 보면 알 수 있듯이 트럼 세탁기 때문에 세탁하는 시간이 즐거워 졌다는 여성의 말은 CF를 볼 때에는 모르지만 다시 생각해 보면 가사일 하는시간은 노동의 시간과 같은데 그 시간이 세탁기 하나로 즐거워 졌다는 것은 다소 억지있는 카피가 아닐수가 없다.
2> 기탄수학 학습지 광고
학습지광고
기탄수학 CF 카피 “엄마가 가장 좋은 선생님이에요”
copy
엄마 : 아이 공부요?
솔직히 욕심 많죠
때론 야단도 치고,
이것 저것 시켜도 보고,
그런데 엄마응원이 최고 더라구요
기탄이 있자나요
엄마가 가장 좋은 선생님이에요.
[ CF스토리 ]
왜 엄마는 가장 좋은 선생님일까요?
바로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주는 엄마의 응원때문입니다. 2005년 기탄의 CF <엄마의 응원편>은 엄마의 칭찬과 격려가 자녀에게 가장 큰 교육이라는 메세지를 담았습니다. 특히 유명탤런트지만 아이공부만큼은 여느 엄마와 똑같은 고민을 하는 김희애씨의 담담하고 솔직한 나레이션이 학부모님들에게 공감을 드릴 것입니다.
또한 틀린 문제에 별표를 그려주며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주는 엄마의 모습이야말로 왜 자녀를 직접 가르쳐야 하는가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 CF 는 자녀의 공부걱정에 속상해 하는 엄마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데, 카피나 스토리에서 알 수 있듯이 엄마응원이 최고, 또는 엄마가 가장 좋은 선생님이에요 하는 문구에서 자녀의 교육은 무조건 엄마의
추천자료
패션브랜드 TBJ광고를 통해서 본 광고 속 신화의 해체와 재창조
광고언어와 성적 광고
[광고론]포스터모던한 티저광고와 N세대
베스트광고와 워스트광고 분석
[광고학개론]국내 방송프로그램의 간접광고(PPL) 실태와 장단점 분석 및 해결방안
광고론-인상깊은광고 vs 이해하기 힘든 광고
[정치]인터넷정치, 사이버정치, 미디어정치, 정치광고의 변화, 현상과 인터넷정치, 사이버정...
[패러디]패러디의 개념, 패러디의 실태, 광고의 패러디와 표절, 광고의 패러디 효과와 문제점...
[PPL]간접광고(제품배치, PPL)의 개념, 간접광고(제품배치, PPL)의 현황과 문제점, 다양한 간...
[미국의 광고][미국광고][인터넷광고][방송광고][DM광고][신문]미국의 인터넷광고, 미국의 방...
광고와 모델, 광고와 성 비평
[광고캠페인, 광고캠페인 정의, 광고, 광고메시지, 키워드, 마약류퇴치광고]광고캠페인의 정...
[공익캠페인, 공익광고, 언론보도, 사회문제, 미디어공익캠페인, 공공캠페인]공익캠페인과 공...
[광고론] 섹스어필광고의 광고사례 및 시대별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