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교육과 한국의 교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서론
1.브라질의 현재 교육의 실태
2.대한민국의 현재 교육의 실태

본론
1. 브라질의 교육
I. 브라질의 교육적 기반과 변화
II. 브라질의 교육제도
a. 기초교육
b. 고등교육
c. 대학원 교육
★브라질의 대학 허가연장 제도
II.브라질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a. 문맹률
b. 낮은 질의 교육자
c. 청소년들의 교육의식 고취
IV. 브라질 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2. 대한민국의 교육
I. 대한민국의 과거와 현재의 교육제도
II. 대한민국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III.대한민국의 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 계 고교의 직업과정을 확대하여 비진학 일반 계 고교생의 진로를 열어주고, 실업계 고교의 수용 능력 확대를 위해 실업계 고교의 신설·증설을 유도하고 정부의 지원을 강화하며, 실업계 고교의 계열구분을 폐지하여 다양한 고육과정 운영의 길을 열어놓고 이들 학교의 교육여건을 개선하며 장학금 제도 등을 확대하며 실업계 고교의 유인가를 높이며, 직업교육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막대한 재정소요를 절감한다.
사회적인 인식 및 사회 참여도의 다양화를 실행해야 한다. 고학력 주의와 과열경쟁의 완화를 위하여 대학졸업이 행복한 사회생활에 있어 절대적으로 필요한 무기이며 가치 있는 삶을 살기위한 유일한 방편이라는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한 적정한 사회교육방법을 모색한다. 그리고 경제계와 기업의 인력활용은 입시위주교육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는 않으나 실제로 직접적인 요인들보다 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고학력주의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고용 관행의 적정유도를 위하여 채용에 있어 선입관과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공정한 기준을 활용토록 해야 하고 학력간 임금격차를 없애야 한다.
대학 입시제도의 변화가 있어야한다. 고등학교에서는 본래의 교육적 기능을 통하여 학생들의 진로를 선별해주지 못하고 있고, 고등교육 또는 계속교육 차원에서는 개개인의 진정한 자아실현과 산업사회의 노동수요에 일치하는 교육기회가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대입제도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대학공급을 개방화하되 고등학교에서 대학교육수요를 양적으로 분산시키는 동시에 질적으로 통제하는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전제하에서 출발해야 한다. 즉, 고등학교에서는 대학입시제도와 관계없이 고등학교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통하여 학생들의 대학진학 자격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대학교육 수요를 조정하는 책임과 권한을 갖도록 하고, 주어진 대학진학자격을 가진 대학교육 희망자 가운데서 학생을 선발하는 기능은 대학의 고유한 책임과 권한으로 해야 한다.
교사들은 학교교육을 입시위주를 탈피시켜 교육의 정상화를 이루어야 한다. 현 고등학교는 입시위주교육이 실제 이루어지는 장이며, 교육의 비정상화가 실현되고 있는 현장이므로 고등학교가 입시위주교육을 단절하고 교육을 정상화시켜야한다. 고등학교는 입시준비교육이나 시험성적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전인교육을 실천하는 장이 되도록 해야 한다. 고등학교에서는 전인교육에 역점을 두기 위하여 현행의 교과교육 위주에서 탈피하여 특별활동이나 과외활동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
학부모는 전근대적인 교육관과 자녀관에서 벗어나 합리적이고 올바른 교육관과 자녀관을 견지해야한다. 학부모들은 자기 자녀 교육에 대한 지나친 이기주의적인 사고와 형태에서 벗어나야한다.
학생은 직업의 세계나 대학의 학과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자기생애를 설계하고, 이러한 설계에 터하여 자신의 진로를 선택·준비해야한다.
결론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말이 있다. 어느 국가이든 그 나라의 흥망성쇠는 교육의 양과 질에서 결정 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교육 현실은 오로지 중앙의 지침과 지시에 따라 정부가 내거는 구호와 그 현상적 접근 방식만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학교 현장에서조차 교사들이 교육의 직접적인 수요자인 학생들의 요구와 생각을 도외시하고 중앙의 교육정책에 대하여 일방적인 지시에만 응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의 해결이 더욱 어렵게 되고 있다. 브라질과 대한민국 모두 각각 교육 제도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라고 해서 무조건 감싸주는 방식의 사고는 잘못된 것 이다. 브라질은 문맹퇴치운동을 전개 할 때 정부의 절대적 지지를 등에 업고 시작하여서 좋은 성과를 내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내부에서 '이게 옳다 저게 옳다' 말만 많을 뿐 정작 학교에서 배우는 학생들에게 돌아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물론 우리나라의 교육제도가 절대적으로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의 체계적인 교육변화를 브라질에 도입하여도 큰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흔들리는 교육계의 위상을 찾기 위해서는 교육의 문제점들에 대한 근본적 성찰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논문 : 브라질 노동자당과 공교육 개혁 - 상파울로시의 교육개혁사례
(저자 ; 유성상)
*서적 : 프레이리의 교사론 (파울로 프레이리 저/교육문화연구회)
*인터넷 사이트 :
Bookian
http://bookian.yes24.com/20020601/review10.asp
두산대백과사전-브라질
http://country.korcham.net/america/brazil/main7.htm
브라질 교육 체험기
http://ulnuri.com.ne.kr/ul199601/uls011/uri01103.htm
브라질 문화센터
http://www.brazil21.com/
브라질의 대학 사이트정보
http://saejo.pufs.ac.kr/~ibero/Uni-brasil.htm
브라질의 도서관
http://libs.yeungnam.ac.kr/~news/n11/n1106.htm
조선일보 브라질 지사
http://www.chosun.com.br/
주브라질 대사관 홈페이지
http://www.mofat.go.kr/brazil/
파울루 프레이리
http://blog.empas.com/jh1016/168547
프레이리의 사상과 교육론에 대한 재검토
http://www.yahak.or.kr/yahak21/one/one03.htm
한겨레21
http://www.hani.co.kr/hankr21/K_974A0152/974A0152_046.html
한겨레 뉴스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11300004383096&s=5601&e=5849
한국고등교육재단
http://kfas.or.kr
한국대학교육협의회
http://www.kcue.or.kr/
한국사이버교육학회
http://www.kaoce.org/
한국 지방자치단체 국제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klafir.or.kr/pub/1/Mar2002_pdf/세계는 지금.PDF.

추천자료

  • 가격1,7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7.29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5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