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서론
들어가는 말
II. 본론
1. 정신분열병의 정의 및 유형
1) 정신분열병의 정의
2) 정신분열병의 유형
(1) 망상형
(2) 긴장형
(3) 잔여형
(4) 단순형
2. 정신분열병의 원인
1) 스트레스-체질 모형
2) 생물학적요인
3) 유전적성향
4) 정신사회적요인
3. 정신분열병의 증상
1) 생각의 장애
2) 지각의 장애
3) 행동상의 장애
4) 기분의 장애
5) 양성증상과 음성증상
4.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사회사업적 개입
1) 사회기술훈련
2) 환자교육
3) 가족교육
4) 낮병동
5) 위기관리
6) 활동치료
7) 직업재활
8) 주거프로그램
9) 환자자조모임
5. 정신 재활 치료의 필요성과 효과
1) 정신재활치료의 필요성
2) 정신재활치료의 효과
6. 구체적인 프로그램
1) 통합정신치료
2) 정신건강교육
3) 음악감상,레크리에이션,노래방시간
4) 집단상담
7.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입원전의 상담
2) 입원시의 인테이크
3) 입원중의 원조
4) 퇴원에 관한 원조
8. 스크랩 자료
III. 결론
맺는말
들어가는 말
II. 본론
1. 정신분열병의 정의 및 유형
1) 정신분열병의 정의
2) 정신분열병의 유형
(1) 망상형
(2) 긴장형
(3) 잔여형
(4) 단순형
2. 정신분열병의 원인
1) 스트레스-체질 모형
2) 생물학적요인
3) 유전적성향
4) 정신사회적요인
3. 정신분열병의 증상
1) 생각의 장애
2) 지각의 장애
3) 행동상의 장애
4) 기분의 장애
5) 양성증상과 음성증상
4.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사회사업적 개입
1) 사회기술훈련
2) 환자교육
3) 가족교육
4) 낮병동
5) 위기관리
6) 활동치료
7) 직업재활
8) 주거프로그램
9) 환자자조모임
5. 정신 재활 치료의 필요성과 효과
1) 정신재활치료의 필요성
2) 정신재활치료의 효과
6. 구체적인 프로그램
1) 통합정신치료
2) 정신건강교육
3) 음악감상,레크리에이션,노래방시간
4) 집단상담
7.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입원전의 상담
2) 입원시의 인테이크
3) 입원중의 원조
4) 퇴원에 관한 원조
8. 스크랩 자료
III. 결론
맺는말
본문내용
통의 사람들과는 달리 생각의 흐름이 원할 하지가 못해서 어떤 주제를 갖고 생각을 계속 이어 나가지 못하고 처음에 의도했던 것과는 달리 다른 곳으로 빠지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우를 \'사고의 이완, 우원증, 사고의 탈선 등이라고 한다. 또 생각하는 것이 갑자기 멈추었다가 완전히 다른 생각으로 새로 시작되는 사고의 두절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래서 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과 대화를 하다보면 묻는 말에 적절한 대답을 하는 것 같다가 엉뚱한 방향으로 얘기가 진행된다거나 말이 갑자기 중단되고 다른 말을 한다거나 한다. 이것이 생각의 진행이 원할 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생각의 흐름에 이상이 있는 것만이 아니라 생각의 내용에 문제가 있게 되는데 이것을 망상이라고 한다. 망상이란 환자의 문화적, 교육적 배경 등을 살펴볼 때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 불가능하고 설득력이 없는 사실과 다른 생각이지만 스스로는 이에 대해 굳게 믿는 신념이라고 할 수 있다. 잘못된 생각인 망상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자신이 남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거나, 미행당한다, 감시당한다, 조롱당하고 있다, 도청당하고 있다고 믿는 피해망상, 다른 사람들이 내 얘기를 한다, 신문, TV 등에서 나와 관련된 것들이 있다는 등의 관계망상, 자신이 세계를 구할 사람이다,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기에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등의 과대망상, 죄를 많이 지어서 살 가치가 없다는 등의 죄책망상, 자신이 몹쓸 병에 걸렸다고 믿는 신체망상, 다른 사람들에 의해 조종되고 있다는 조종망상, 자신의 생각이 밖으로 빠져 나가고 있다는 믿음이나 다른 사람이 자신의 머리 속으로 생각을 집어 넣는다는 믿음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런 망상은 정신분열병에서 흔한 증상이다. 보통의 판단으로는 전혀 타당하지 않은 것이지만, 환자는 자신의 생각을 확고히 믿고 있기 때문에 이런 망상에 따른 행동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괴롭힘을 당한다는 피해망상이 있는 사람은 사람 만나는 것을 극도로 피할 것이고 심지어는 피해를 주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상해할 수도 있다.
2) 지각의 장애
지각이란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청각, 시각, 촉각 같은 오감을 말하는 것이다. 이런 자각에 장애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착각이란 실제로 외부에 자극이 있을 때, 이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잘못된 경우를 말합니다. 이것은 낯선 사람을 보고 자신이 그리워하는 사람으로 판단하는 경우와 같이 심리적인 영향으로 생기기도 하지만 뇌에 문제가 있을 때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외부에 실제적인 자극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자극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를 환각이라고 한다. 정상인들도 가끔 환각을 경험하는 수가 있지만 이런 환각은 정신분열병에서도 흔하게 나타나는 중요한 증상이다. 이 병에서는 환각 중에서도 환청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환청이란 아무런 외부에서의 소리가 없는데도 자신은 소리를 듣는 경우를 말한다. 환청은 좋은 내용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자신을 비난하거나 피해를 주는 소리로 들리는 경우가 더 많다. 소리는 단순한 소음의 정도에서부터 또렷한 사람의 목소리로 들리기도 한다. 환청은 깨어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며, 일반인에게는 비정상적인 것이지만 환자는 실제의 자극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환청은 환자에겐 진짜로 들리는 소리이기 때문에 환청에서 하는 말을 진짜로 받아들이고 이것에 영향 받는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흔하지는 않지만 아무 자극이 없는데 눈에는 보이는 것으로 지각되는 환시, 몸에 통증 등의 이상감각을 느끼는 신체환각, 냄새와 맛에 대한 환각 등도 있을 수 있다.
3) 행동상의 장애
행동은 어린애 같은 유치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부터 폭력적인 것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외부에 유발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초조감을 보인다거나, 의미 없는 흥분이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해 폭력이 유발될 수 있다. 환청이나 망상이 있는 환자는 자신에게 들리는 소리나 스스로 믿고 있는 생각대로 행동하려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쉽게 폭력적일 수 있다. 또한 집안에 틀어 박혀 밖을 전혀 나오려 하지 않고 사람을 만나려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는 망상 등으로 사람을 피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모든 것이 귀찮아서 그럴 수도 있다. 많은 환자들에서 자신이 하는 행동이 스스로의 행동이 아니고 무엇인가에 의해 조종당하고 있다는 신체 피동성을 경험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는 일상적인 일을 수행하는 데 장해를 초래하는 데, 예를 들면 머리를 헝클어진 채로 지낸다거나 무더운 여름날에도 두꺼운 잠바를 입고 다니는 것과 같은 이상한 옷차림을 하거나, 공공장소에서 자위행위를 하는 것과 같이 부적절한 성적 행동을 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이 병에서는 단조롭게 손을 비빈다거나, 일정한 거리를 왔다 갔다 하는 것과 같이 반복적으로 똑같은 행동을 한다거나(상동증), 불편해 보이는 자세를 한동안 계속 유지하는 것이 있다. 이런 증상을 강직증이라고 하며, 더욱 심해지며 납덩어리처럼 굳어져 다른 사람에 의해서 피동적으로 움직이는 납굴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4) 기분의 장애
정신분열병 환자는 주로 우울 증상을 많이 나타난다. 병이 시작될 때도 그렇고 어느 정도 치료가 된 상태에서도 우울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불안증상도 동반되는 경우도 있는데 급성 환자에서 흔하며 피해망상이나 환각을 갑자기 경험하게 될 경우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이런 기분상태가 꼭 정신분열병에서만 생기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이 병의 환자들은 기본적인 감정적인 반응이 감소하여 기쁘고, 슬픈 표현 자체가 다른 사람과 공감되지 못한다. 이병에 걸린 사람은 시선 접촉과 몸으로 표현되는 언어의 부족과 함께 무표정하고 반응이 없는 얼굴 표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즉 정서적인 표현이 상당히 감소되어 있다. 같이 얘기를 해도 상대편이 느끼는 감정을 내가 느껴서 같이 즐거워하고, 슬퍼하는 정서적인 교류가 적은 특징이 있다.
5) 양성증상과 음성증상
정신분열병의 증상을 얘기할 때 두 개의 집단군으로 나눌 수 있다. 양성증상이란 망상, 환각, 행동상의 이상 등을 포함한다. 주로 밖으로 드러나는 증상들을 일
2) 지각의 장애
지각이란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청각, 시각, 촉각 같은 오감을 말하는 것이다. 이런 자각에 장애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착각이란 실제로 외부에 자극이 있을 때, 이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잘못된 경우를 말합니다. 이것은 낯선 사람을 보고 자신이 그리워하는 사람으로 판단하는 경우와 같이 심리적인 영향으로 생기기도 하지만 뇌에 문제가 있을 때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외부에 실제적인 자극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자극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를 환각이라고 한다. 정상인들도 가끔 환각을 경험하는 수가 있지만 이런 환각은 정신분열병에서도 흔하게 나타나는 중요한 증상이다. 이 병에서는 환각 중에서도 환청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환청이란 아무런 외부에서의 소리가 없는데도 자신은 소리를 듣는 경우를 말한다. 환청은 좋은 내용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자신을 비난하거나 피해를 주는 소리로 들리는 경우가 더 많다. 소리는 단순한 소음의 정도에서부터 또렷한 사람의 목소리로 들리기도 한다. 환청은 깨어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며, 일반인에게는 비정상적인 것이지만 환자는 실제의 자극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환청은 환자에겐 진짜로 들리는 소리이기 때문에 환청에서 하는 말을 진짜로 받아들이고 이것에 영향 받는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흔하지는 않지만 아무 자극이 없는데 눈에는 보이는 것으로 지각되는 환시, 몸에 통증 등의 이상감각을 느끼는 신체환각, 냄새와 맛에 대한 환각 등도 있을 수 있다.
3) 행동상의 장애
행동은 어린애 같은 유치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부터 폭력적인 것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외부에 유발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초조감을 보인다거나, 의미 없는 흥분이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해 폭력이 유발될 수 있다. 환청이나 망상이 있는 환자는 자신에게 들리는 소리나 스스로 믿고 있는 생각대로 행동하려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쉽게 폭력적일 수 있다. 또한 집안에 틀어 박혀 밖을 전혀 나오려 하지 않고 사람을 만나려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는 망상 등으로 사람을 피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모든 것이 귀찮아서 그럴 수도 있다. 많은 환자들에서 자신이 하는 행동이 스스로의 행동이 아니고 무엇인가에 의해 조종당하고 있다는 신체 피동성을 경험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는 일상적인 일을 수행하는 데 장해를 초래하는 데, 예를 들면 머리를 헝클어진 채로 지낸다거나 무더운 여름날에도 두꺼운 잠바를 입고 다니는 것과 같은 이상한 옷차림을 하거나, 공공장소에서 자위행위를 하는 것과 같이 부적절한 성적 행동을 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이 병에서는 단조롭게 손을 비빈다거나, 일정한 거리를 왔다 갔다 하는 것과 같이 반복적으로 똑같은 행동을 한다거나(상동증), 불편해 보이는 자세를 한동안 계속 유지하는 것이 있다. 이런 증상을 강직증이라고 하며, 더욱 심해지며 납덩어리처럼 굳어져 다른 사람에 의해서 피동적으로 움직이는 납굴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4) 기분의 장애
정신분열병 환자는 주로 우울 증상을 많이 나타난다. 병이 시작될 때도 그렇고 어느 정도 치료가 된 상태에서도 우울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불안증상도 동반되는 경우도 있는데 급성 환자에서 흔하며 피해망상이나 환각을 갑자기 경험하게 될 경우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이런 기분상태가 꼭 정신분열병에서만 생기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이 병의 환자들은 기본적인 감정적인 반응이 감소하여 기쁘고, 슬픈 표현 자체가 다른 사람과 공감되지 못한다. 이병에 걸린 사람은 시선 접촉과 몸으로 표현되는 언어의 부족과 함께 무표정하고 반응이 없는 얼굴 표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즉 정서적인 표현이 상당히 감소되어 있다. 같이 얘기를 해도 상대편이 느끼는 감정을 내가 느껴서 같이 즐거워하고, 슬퍼하는 정서적인 교류가 적은 특징이 있다.
5) 양성증상과 음성증상
정신분열병의 증상을 얘기할 때 두 개의 집단군으로 나눌 수 있다. 양성증상이란 망상, 환각, 행동상의 이상 등을 포함한다. 주로 밖으로 드러나는 증상들을 일
추천자료
정신분열증의 정의 증세 증세별 단계 원인 관련 자료
정신분열증과 음악치료
정신 분열증의 개념 특징 원인에 대하여
정신분열증의 원인과 치료 - 정신분열증의 개념, 원인, 임상적 특징, 치료, 하위 유형, 긴장형
정신분열증의 정의 실태 특징 원인 치료적 딜레마와 치료방법
정신분열증의 정의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입니다.
정신분열증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정신-정신분열증
이상심리학, 불안 및 정신지체적 장애, 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 사회적 및 대인관계적 장애
정신분열증 ppt자료
정신분열증케이스
정신분열증에 대해 광볌위하게 작성한 자료입니다.
[정신간호학][Schizophrenia][정신분열증] 문헌고찰
[정신간호학][뷰티풀 마인드 분석][정신분열증 영화]영화감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