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조사에 들어가며...
Ⅱ. 본론
(1) 한복의 정의
(2) 한복의 착용 실태와 국민의식
(3) 경영학적 관점에서 본 한복 수요 감소의 원인분석
(4) 한복착용 활성화를 위해 나아갈 방향
Ⅲ. 결론
조사를 마치며...
조사에 들어가며...
Ⅱ. 본론
(1) 한복의 정의
(2) 한복의 착용 실태와 국민의식
(3) 경영학적 관점에서 본 한복 수요 감소의 원인분석
(4) 한복착용 활성화를 위해 나아갈 방향
Ⅲ. 결론
조사를 마치며...
본문내용
전통한복을 자랑스러워하고 아름답게 생각하고 있다. 한복착용과 구매시의 문제점, 가격 문제 등이 해결되면 대체적으로 자주 착용하겠다는 의사를 보이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한복착용의 활성화가 그리 어려운 일만은 아닐거라는 생각이 든다. 앞서 다루었던 문제점들과 현 사회 상황에 비추어 한복착용 활성화를 위해 나아갈 방향을 아래와 같이 제시해보고자 한다.
① 한복에 대한 국민의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우리의 고유의복인 한복을 친숙하게 느끼고 착용하도록 국민의식의 전환을 유도하여 한복착용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에 대한 문화 유산으로서의 한복에 대한 중요성이 언론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홍보되어야 한다. 또한 유치원이나 초중고 교육과정을 통해 정기적 한복 착용 및 예절 교육 등을 실시해 한복에 대한 심리적 친근감을 심어주고 한복착용을 익숙하게 하여야 한다.
② 한복 제작 및 유통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한복의 구입은 거의 맞춤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구입과정이 까다롭다. 적당한 가격과 품질의 기성한복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유통경로를 개발하여야 한다. 양복의 경우처럼 가격에 따른 기성한복 제품 차별화 또한 요구된다.
③ 기술개발을 통한 소재의 고급화를 이루어야 한다.
한복착용의 활성화를 위하여 한복 소재업체는 실용적이면서 천연섬유와 같은 촉감을 줄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해야 한다.
④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복의 디자인이 때와 장소, 용도에 맞게 여러 각도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다양한한복 디자인의 개발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각자의 기호와 편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야 한다. 또한 디자인에 있어서도 편리하면서도 우리복식의 아름다운 자태를 잃지 않아야 한다.
⑤ 합리적인 상품기획과 가격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복에 대한 각종 선호도 조사를 활발히 하여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요구하는지를 파악하고, 합리적인 운영을 통하여 소비자들이 중저가의 가격으로 다양하고 품위있는 한복을 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Ⅲ. 결론
조사를 마치며...
우리가 조사를 하면서 내내 아쉬웠던 점은 우리나라의 소중한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한복에 대해 정부차원이 적극적인 지원이 없었던 점이다. 한복산업의 활성화와 더불어 한복 착용의 활성화가 이루어지려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홍보활동과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기모노가 국가를 대표하는 상품으로까지 자리잡은 옆나라 일본에서는 기모노 관련업체들에게는 조세감면 혜택을 부여한다고 한다. 지속적인 지원 없이는 발전이 있을 수 없다. 정부 차원에서 한복 관련 업체들에게 경제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정부차원에서 한복 디자인 공모전이나 전통직물 디자인 공모전 등을 개최하여 젊은 인재들을 지금부터 발굴하고 양성해야 한다. 이러한 한걸음 한걸음에서 우리 한복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점점 발전해 나갈 한복산업과 한복착용이 활성화된 사회를 기대해보며 조사를 마친다.
* 참고문헌과 URL
1) 권수애, 최종명, 이은경 (1998) , 한복의 착용 실태와 구매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생활과학회지 제 7권 1호
2) 강순제 외 (1996) , 한복의 생산, 유통, 소비 실태조사 연구 - 문화체육부
3) 박술녀 한복 연구실, http://hanbokhouse.co.kr/index.php
4) 네이버 백과사전 중 "한복 " 발췌
<<목차>>
Ⅰ. 서론
조사에 들어가며...
Ⅱ. 본론
(1) 한복의 정의
(2) 한복의 착용 실태와 국민의식
(3) 경영학적 관점에서 본 한복 수요 감소의 원인분석
(4) 한복착용 활성화를 위해 나아갈 방향
Ⅲ. 결론
조사를 마치며...
① 한복에 대한 국민의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우리의 고유의복인 한복을 친숙하게 느끼고 착용하도록 국민의식의 전환을 유도하여 한복착용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에 대한 문화 유산으로서의 한복에 대한 중요성이 언론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홍보되어야 한다. 또한 유치원이나 초중고 교육과정을 통해 정기적 한복 착용 및 예절 교육 등을 실시해 한복에 대한 심리적 친근감을 심어주고 한복착용을 익숙하게 하여야 한다.
② 한복 제작 및 유통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한복의 구입은 거의 맞춤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구입과정이 까다롭다. 적당한 가격과 품질의 기성한복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유통경로를 개발하여야 한다. 양복의 경우처럼 가격에 따른 기성한복 제품 차별화 또한 요구된다.
③ 기술개발을 통한 소재의 고급화를 이루어야 한다.
한복착용의 활성화를 위하여 한복 소재업체는 실용적이면서 천연섬유와 같은 촉감을 줄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해야 한다.
④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복의 디자인이 때와 장소, 용도에 맞게 여러 각도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다양한한복 디자인의 개발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각자의 기호와 편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야 한다. 또한 디자인에 있어서도 편리하면서도 우리복식의 아름다운 자태를 잃지 않아야 한다.
⑤ 합리적인 상품기획과 가격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복에 대한 각종 선호도 조사를 활발히 하여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요구하는지를 파악하고, 합리적인 운영을 통하여 소비자들이 중저가의 가격으로 다양하고 품위있는 한복을 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Ⅲ. 결론
조사를 마치며...
우리가 조사를 하면서 내내 아쉬웠던 점은 우리나라의 소중한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한복에 대해 정부차원이 적극적인 지원이 없었던 점이다. 한복산업의 활성화와 더불어 한복 착용의 활성화가 이루어지려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홍보활동과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기모노가 국가를 대표하는 상품으로까지 자리잡은 옆나라 일본에서는 기모노 관련업체들에게는 조세감면 혜택을 부여한다고 한다. 지속적인 지원 없이는 발전이 있을 수 없다. 정부 차원에서 한복 관련 업체들에게 경제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정부차원에서 한복 디자인 공모전이나 전통직물 디자인 공모전 등을 개최하여 젊은 인재들을 지금부터 발굴하고 양성해야 한다. 이러한 한걸음 한걸음에서 우리 한복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점점 발전해 나갈 한복산업과 한복착용이 활성화된 사회를 기대해보며 조사를 마친다.
* 참고문헌과 URL
1) 권수애, 최종명, 이은경 (1998) , 한복의 착용 실태와 구매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생활과학회지 제 7권 1호
2) 강순제 외 (1996) , 한복의 생산, 유통, 소비 실태조사 연구 - 문화체육부
3) 박술녀 한복 연구실, http://hanbokhouse.co.kr/index.php
4) 네이버 백과사전 중 "한복 " 발췌
<<목차>>
Ⅰ. 서론
조사에 들어가며...
Ⅱ. 본론
(1) 한복의 정의
(2) 한복의 착용 실태와 국민의식
(3) 경영학적 관점에서 본 한복 수요 감소의 원인분석
(4) 한복착용 활성화를 위해 나아갈 방향
Ⅲ. 결론
조사를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