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화성시 태안읍 용주사 조사(답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기 화성시 태안읍 용주사 조사(답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용주사 범종

■ 용주사 대웅보전

■ 용주사 대웅전 후불탱화

■ 용주사 불설부모은중경

■ 용주사 천보루

■ 용주사 회양나무

본문내용

에는 모㉺이 돌이 있고 좌우로 연결된 장대석 기단은 고려 말엽·조선 초기에 건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길이 15cm에 달하는 중국제 공단에 쓴 \'花山龍株寺 上梁文\' 이 있다.
----------------용주사 대웅전 후불탱화-------------------
▲ 지정번호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호
▲ 지정연도 : 1972년 5월 4일
▲ 소 장 : 용주사
▲ 현지위치 : 경기 화성시 태안읍 송산리 188번지
▲ 시 대 : 조선시대
▲ 분 류 : 회화류
▲ 소 개
이 탱화는 용주사 대웅전 안에 있으며 세로 4cm, 가로 3cm에 훌륭한 솜씨로 그려져 있는 불교의식의 그림이다. 이 그림의 작가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이 있다. 이 용주사를 세울 때 공사 감독을 맡았던 서직수는 정조의 신임도 두터웠고 벼슬도 높았 다. 이 서직수와 단원 김홍도는 매우 친한 사이이며, 또한 서직수가 부친상을 당하였을 때, 상복차림의 초상화(현재 국립박물관에 있음)를 단원 김홍도와 화산관 이명기가 합작하여 그렸다. 이런 점으로 볼 때 공사 감독을 맡았던 서직수를 도와서 단원 김홍도가 용주사 대웅보전의 탱화를 그렸을 것이 아닌가도 생각되나 전문가들의 감정에서 확실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다만 항간에서 단원이 그렸을 것이라고만 추측되어 오고 있다.
----------------용주사 불설부모은중경-------------------
▲ 지정번호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호
▲ 지정연도 : 1972년 5월 4일
▲ 소 장 : 용주사
▲ 현지위치 : 경기 화성시 태안읍 송산리 188번지
▲ 시 대 : 조선시대
▲ 분 류 : 전적류
▲ 소 개
정조대왕이 생부 장헌세자의 원침을 양주에서 화산으로 이장하고 용주사를 창건 하여 생부에 대한 효성으로 이 부모은중경판을 제작케 하였다.
이 경판은 양각으로 주석을 달았으며 사실적인 그림으로 그려 표현하였는데, 그 내용은 뱃속에 지켜주신 은혜, 고생하시며 낳아주신 은혜, 자식을 낳고서야 모든 걱정을 잊으신 은혜, 쓴 것을 삼키시고 단 것은 먹여주신 은혜, 젓 먹여 길러주신 은혜, 깨끗한 옷 입혀 주시고 청결하게 해주신 은혜, 먼길 가면 걱정해주시는 은혜, 자신을 위해 하기 싫은 일도 해주신 은혜, 등이다. 종류는 동판 7매, 석판 24매, 목판 54매, 총 85매이며 크기는 전부 가로 23.2cm, 세로 34.7cm이다.
----------------용주사 천보루-------------------
▲ 지정번호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6호
▲ 지정연도 : 1983년 9월 19일
▲ 소 장 : 용주사
▲ 현지위치 : 경기 화성시 태안읍 송산리 188번지
▲ 시 대 : 조선시대
▲ 소 개
이 누각은 조선시대 법당 전정에 세워진 루마루 형식의 건물로서 이 밑으로 대부분 출입하고 있다. 천보루의 내부 현판에는 홍제루라 씌여 있으며 중층 누각으로 정면 이 5간, 측면이 3간에 단청이 있고, 익공양식의 겹처마에 팔작(八作)지붕이다. 하층 초석은 하후상박(下厚上膊) 한 4각장초석(角長礎石)으로 되어 있고 2층은 누마루에 바깥으로 난간 을 둘렀으며 좌우로 일곱 칸씩의 회랑이 연결되어 있다.
----------------용주사 회양나무-------------------
▲ 지정번호 : 천연기념물 제264호
▲ 지정연도 : 1979년 12월 11일
▲ 소 장 : 용주사
▲ 현지위치 : 경기 화성시 태안읍 송산리 188번지
▲ 시 대 : 조선시대
▲ 소 개
이 화양목은 조선 징조가 장조(사도세자)의 능을 이 근처에 두고 능사(陵寺)로 주사를 중창할 때 손수 심은 기념수라고 전해 오고 있다. 수령은 약 300년으로 추정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8.15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7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