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일반적 현황
1. 사회인구학적 특성
2.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

B. 자원봉사활동의 관리상황
1. 자원봉사자의 모집 및 배치
2. 자원봉사자 교육
3. 평가
4. 사회적 인정과 보상
5. 관리조정자

C.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긍정적 변화

본문내용

비가 되어 있지 못한 경우가 많다. 어떤 자세로 봉사에 임해야 하는지, 어떤 규칙이 있고 대상자의 필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사전지식이 흔히 결여되어 있다. 이에 대해 교육을 통해 자원봉사에 대한 동기를 강화하고 자원봉사의 사회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하며 자원봉사자를 수행하게 되는 업무에 기술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적합하도록 준비시킨다.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우리나라의 자원봉사 교육현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표 3-9>에 제시된 것처럼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곳은 21.1%에 불과하고 사회복지시설의 대부분에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상당비율(70.7%)이 시설에서 자체적으로 자원봉사자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전적으로 자원봉사육성기관에 교육을 의존하는 경우는 1개소에 지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시설은 10개소이다. 이는 사회복지시설들이 자원봉사자 교육을 다소 외부기관이나 단체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 3-9> 자원봉사자 교육방법(사업 분야별)
단위 : 개소(%)
시설자체적
실시
자원봉사자
육성기관
두 가지 병행
교육실시 않음

종합사회복지관
종합상담소
장애인복지
노인복지
부녀복지
아동(유아)복지
청소년복지
44(88.0)
5(100.0)
14(58.3)
5(50.0)
6(50.0)
12(54.5)
8(80.0)
-
-
-
-
1(8.3)
-
-
4( 8.0)
-
3(12.5)
1(10.0)
1( 8.3)
1( 4.5)
-
2( 4.0)
-
7(29.2)
4(40.0)
4(33.3)
9(40.9)
2(20.0)
50(100.0)
5(100.0)
24(100.0)
10(100.0)
12(100.0)
22(100.0)
10(100.0)

94(70.7)
1(0.8)
10( 7.5)
28(21.1)
133(100.0)
자료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5
사업 분야별로 교육방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종합사회복지관이나 종합상담소는 거의 모든 시설이 자체에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반면 장애인복지, 노인복지, 부녀복지, 아동복지 관련시설은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비율이 주목할 만큼 높다. 자원봉사자 교육의 내용은 실무교육의 비중이 20%미만인 시설이 43.8%이고 40%미만인 시설이 72.4%로 대다수의 시설에서 실무교육이 자원봉사자 교육의 40%미만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10> 자원봉사자 재교육 실시방법(사업 분야별)
단위 : 개소(%)
재교육
실시하지 않음

1-2회
분기별
필요할
때마다
두 달에
한번
정도
월 1회
정도
월 2-3회

종합사회
복지관
종합상담소
장애인복지
노인복지
부녀복지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26(53.1)
2(40.0)
10(41.7)
3(30.0)
4(36.4)
2(11.8)
4(40.4)
-
-
-
-
1(9.1)
-
-
4( 8.2)
-
-
1(10.0)
-
-
1(10.0)
12(24.5)
3(60.0)
2( 8.3)
1(10.0)
2(18.2)
8(47.1)
-
1( 2.0)
-
1( 4.2)
-
1(9.1)
2(11.8)
1(10.0)
6(12.2)
-
10(41.7)
5(50.0)
3(27.3)
5(29.4)
4(40.0)
-
-
1(4.2)
-
-
-
-
50(100.0)
5(100.0)
24(100.0)
10(100.0)
12(100.0)
22(100.0)
10(100.0)

51(40.5)
1(0.8)
6(4.8)
28(22.2)
6(4.8)
33(26.2)
1(0.8)
133(100.0)
자료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5
<표 3-10>에서 볼 수 있듯이 재교육을 실시하는 기관 중 자원봉사자 재교육을 필요할 때 부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시설이 45.7%로 가장 많고 1-2개월에 한 번 정도 시키는 시설이 26.7%이며 월 2-3회 재교육 시키는 곳은 6.7%이다. 교육을 실시하면서도 재교육은 시행하지 않는 시설이 11.4%이나 된다. 교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교육 빈도도 장애인, 노인, 부녀, 아동복지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자원봉사자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시설들의 대다수도 교육의 필요성은 느끼지만 여러 가지 사정상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는 이유는 예산과 관련된 문제가 대부분으로 ‘담당직원이 없다’, ‘프로그램 개발이 어렵다’, ‘교육시설과 장소가 부족하다’, ‘교육예산이 없다’ 등 결국은 예산의 부족 때문에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11> 자원봉사자 관리자 교육방법(사업 분야별)
단위 : 개소(%)
육성기관
프로그램
해외연수
외부강사
초빙
자체인력
활용
관련시설과 공동
교육
않음
개별적
학습

종합사회
복지관
종합상담소
장애인복지
노인복지
부녀복지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26(53.1)
2(40.0)
10(41.7)
3(30.0)
4(36.4)
2(11.8)
4(40.4)
-
-
-
-
1(9.1)
-
-
4( 8.2)
-
-
1(10.0)
-
-
1(10.0)
12(24.5)
3(60.0)
2(8.3)
1(10.0)
2(18.2)
8(47.1)
-
1( 2.0)
-
1( 4.2)
-
1( 9.1)
2(11.8)
1(10.0)
6(12.2)
-
10(41.7)
5(50.0)
3(27.3)
5(29.4)
4(40.0)
-
-
1(4.2)
-
-
-
-
50(100.0)
5(100.0)
24(100.0)
10(100.0)
12(100.0)
22(100.0)
10(100.0)

51(40.5)
1(0.8)
6(4.8)
28(22.2)
6(4.8)
33(26.2)
1(0.8)
133(100.0)
자료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5
자원봉사자 교육과 관련하여 빼놓을 수 없는 사항은 자원봉사자 관리자에 대한 교육이다. 자원봉사자 관리자에 대한 교육은 자원봉사자에 대한 교육과는 달리 전문성을 필요로 하고 자원봉사자에 비해 외부기관에서 하는 교육에 참여하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표 3-11>에서 보듯이 자원봉사자 육성기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외부강사를 초빙하거나 해외연수를 보내는 등 자원봉사자 관리자들에게 교육을 외부기관에 의존하는 비율이 응답시설의 40.6%로 자원봉사자 교

키워드

우리나라,   자원봉사,   활동,   자봉,   인정,   보상,   변화,   배치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8.16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8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