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본 론
1. 한국타이어 소개
1) 회사 개요
2) 연 혁
3) 경영 전략
4) 제품 소개
5) 신용 등급
6) 시장점유율
2. 주식 정보
1) 주식정보
2) 주주 현황
3. 자본 구조
1) 손익 계산서 /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2) 요약 대차대조표/ 자본 구조
3) 경쟁업체(금호타이어)의 자본 구조
4) 자본구조와 기업 가치
4. 배당 정책
1) 41기(94년) ~ 44기(97년) 배당사항
2) 45기(98년) ~ 48기(01년) 배당사항
3) 49기(02년) ~ 51기(04년) 배당사항
4) 경쟁업체(금호타이어)의 배당 사항
5) 배당률
6) 배당성향
7) 기업 가치와 배당
8) 우리나라의 배당정책
결 론
* 참고문헌
본 론
1. 한국타이어 소개
1) 회사 개요
2) 연 혁
3) 경영 전략
4) 제품 소개
5) 신용 등급
6) 시장점유율
2. 주식 정보
1) 주식정보
2) 주주 현황
3. 자본 구조
1) 손익 계산서 /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2) 요약 대차대조표/ 자본 구조
3) 경쟁업체(금호타이어)의 자본 구조
4) 자본구조와 기업 가치
4. 배당 정책
1) 41기(94년) ~ 44기(97년) 배당사항
2) 45기(98년) ~ 48기(01년) 배당사항
3) 49기(02년) ~ 51기(04년) 배당사항
4) 경쟁업체(금호타이어)의 배당 사항
5) 배당률
6) 배당성향
7) 기업 가치와 배당
8) 우리나라의 배당정책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준이며 배당성향의 경우 2003년 50.1%, 2004년 27.4%로 많은 변화폭을 갖는데 이러한 이유는 당기순이익이 약 2배정도 증가함에서 찾아볼 수 있다.
5) 배당률
한국타이어의 액면배당률의 경우 1997년 외환위기에 따른 여파로 1998년 배당률이 급하강 하였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해에는 10~15% 사이의 안정적인 배당률을 보인다. 하지만 2002년 이후 배당률이 15%에서 30%로 다시 30%d[ 50%로 배당률의 급상승하는 큰 변화를 가지게 된다. 이에 비해 금호타이어의 경우 10%, 11%의 안정적인 배당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를 시가배당률과 비교 했을 때는 차이를 보인다. 액면 배당률이 증가했다고 해서 시가배당률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타이어의 경우에도 액면 배당률의 경우 2002년 이후 큰 증가세를 보이지만 시가 배당률의 경우에는 모두 2~3%수준으로 큰 변동이 없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가배당률과 액면배당률의 가치가 다르게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배당성향
배당성향의 경우에는 어떤 일정한 추세나 구조를 보이지 않는다. 배당성향은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1998년 6.58%까지 낮아졌고 그 외에는 모두 불규칙한 구조를 가진다. 특히 금호 타이어의 경우에는 2003년 50%에서 2004년 27.4%까지 떨어지는데 이는 당기순이익이 2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금호타이어는 당기순이익과 관련없이 일정 배당률을 유지하는 기업이라는 사실을 다시한번 확인 할 수 있다.
7) 기업 가치와 배당
한국타이어의 시가 총액의 경우 2003년과 2004년에 급증하게 된다. 시가총액의 변동 추이와 배당륭의 변동 추이를 비교하며 그 변화폭에는 차이가 있지만 그 구조는 비슷한 형태를 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가총액이 상승한 시점에 액면률도 급상승 했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이에 비해 배당성향의 경우는 시가총액이나 배당률과 비교할만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당기순이익을 살펴보게 되면 시가총액과 같은 추세를 보이는 며 2002년과 2004년에 걸쳐 많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당기순이익의 경우 1998년과 1999년을 제외하고는 액면 배당률과 같은 추세로의 변동을 보인다.
이를 통해서 당기순이익과 시가총액 그리고 배당률간의 상호 관련성을 가짐을 예상해 볼 수있다.
8) 우리나라의 배당정책
- 국내 상장 기업의 배당
국내 상장기업의 당기순이익과 배당을 살펴보면 1997년과 1998년의 경우 외환위기에 따라 배당에 있어서 저조한 현상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만큼 외환위기의 여파가 모든 기업에 크게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우리나의 상장 기업의 배당률을 살펴보면 2002년과 2003년에 10%이상의 배당률을 보이지만 그 이외에는 거의 6~8% 수준의 배당률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배당금의 경우 당기순이익과 비슷한 형태의 모습을 보이기는 하지만 그 변화폭이 아주 작고 이에 따라 이익에 대한 배당금 지급액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 우리나라 제조업의 배당 성향 비교
우리나라 제조업의 배당성향을 미국, 일본과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 배당 성향이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의 경우 급격한 손익 변동으로 인한 1992년, 2001년을 제외한
나머지 해에는 거의 40~60%대의 배당성향을 가지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40%대의 배당 성향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20% 안팎의 수준으로 미국와 일본에 비해 낮은 수준의 배당성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 론
지금까지 한국타이어의 자본구조와 배당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업들은 자사의 기업의 부 즉, 기업의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그 노력의 일부로 자본의 구조에 대한 연구나 배당정책에 관한 사항도 포함될 것이다.
자본 구조에 있어서 최적 구조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찾는 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최적 자본 구조를 찾기에는 너무나 많은 요소들이 영향을 추고 이러한 모든 요소들을 고려하여 최적 자본 구조를 찾아낸다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배당 역시 기업의 가치를 변화할 수 있는 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기업의 배당 정책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우 배당 정책이 투자안이나 수익성 유동성을 고려한 기업 재무 의사 결정 차원에서 합리적이고 자율적으로 이루어진다기 보다는 다른 기업의 배당률과 연관지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매년 지속해 오던 일정 수준의 배당을 안정적으로 지급하는 등의 이러한 관행이 지속되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배당률이나 배당성향은 외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고 이에 따라 기업의 주주들 역시 적은 관심을 보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기업의 목표는 부의 창출, 기업의 가치 증대이다. 이러한 방법의 일환으로써 우리나라 기업들은 자본 구조나 배당정책을 합리적 재무 의사 결정의 차원으로 인식하고 기업 가치를 높이는데 이러한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한국타이어 감사보고서(1998~2004년)
- 한국타이어 사업보고서(1998~2004년)
- 금호타이러 사업보고서(1998~2004년)
- 상장기업분석 (1999) 매일경제신문사
- 上場協 (2004)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배당률 결정에 미치는 재무요인 및 배당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류광춘>
- 上場協 (2003)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배당현황 및 제도의 개선에 대한 연구/김문현*한상범>
* 참고 홈페이지
한국타이어 http://www.hankooktire.com/
금호타이어 홈페이지 http://www.kumhotire.co.kr
금융감독원 http://www.fss.or.kr
한국신용평가 http://www.kisinfo.com/
미래에셋 http://www.miraeasset.com/
한국은행 http://www.bok.or.kr/
LG 투자증권 http://www.wooriwm.com/
상장회사협의회 http://www.klca.or.kr
REPORT
(한국타이어의 자본구조와 배당)
5) 배당률
한국타이어의 액면배당률의 경우 1997년 외환위기에 따른 여파로 1998년 배당률이 급하강 하였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해에는 10~15% 사이의 안정적인 배당률을 보인다. 하지만 2002년 이후 배당률이 15%에서 30%로 다시 30%d[ 50%로 배당률의 급상승하는 큰 변화를 가지게 된다. 이에 비해 금호타이어의 경우 10%, 11%의 안정적인 배당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를 시가배당률과 비교 했을 때는 차이를 보인다. 액면 배당률이 증가했다고 해서 시가배당률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타이어의 경우에도 액면 배당률의 경우 2002년 이후 큰 증가세를 보이지만 시가 배당률의 경우에는 모두 2~3%수준으로 큰 변동이 없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가배당률과 액면배당률의 가치가 다르게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배당성향
배당성향의 경우에는 어떤 일정한 추세나 구조를 보이지 않는다. 배당성향은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1998년 6.58%까지 낮아졌고 그 외에는 모두 불규칙한 구조를 가진다. 특히 금호 타이어의 경우에는 2003년 50%에서 2004년 27.4%까지 떨어지는데 이는 당기순이익이 2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금호타이어는 당기순이익과 관련없이 일정 배당률을 유지하는 기업이라는 사실을 다시한번 확인 할 수 있다.
7) 기업 가치와 배당
한국타이어의 시가 총액의 경우 2003년과 2004년에 급증하게 된다. 시가총액의 변동 추이와 배당륭의 변동 추이를 비교하며 그 변화폭에는 차이가 있지만 그 구조는 비슷한 형태를 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가총액이 상승한 시점에 액면률도 급상승 했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이에 비해 배당성향의 경우는 시가총액이나 배당률과 비교할만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당기순이익을 살펴보게 되면 시가총액과 같은 추세를 보이는 며 2002년과 2004년에 걸쳐 많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당기순이익의 경우 1998년과 1999년을 제외하고는 액면 배당률과 같은 추세로의 변동을 보인다.
이를 통해서 당기순이익과 시가총액 그리고 배당률간의 상호 관련성을 가짐을 예상해 볼 수있다.
8) 우리나라의 배당정책
- 국내 상장 기업의 배당
국내 상장기업의 당기순이익과 배당을 살펴보면 1997년과 1998년의 경우 외환위기에 따라 배당에 있어서 저조한 현상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만큼 외환위기의 여파가 모든 기업에 크게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우리나의 상장 기업의 배당률을 살펴보면 2002년과 2003년에 10%이상의 배당률을 보이지만 그 이외에는 거의 6~8% 수준의 배당률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배당금의 경우 당기순이익과 비슷한 형태의 모습을 보이기는 하지만 그 변화폭이 아주 작고 이에 따라 이익에 대한 배당금 지급액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 우리나라 제조업의 배당 성향 비교
우리나라 제조업의 배당성향을 미국, 일본과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 배당 성향이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의 경우 급격한 손익 변동으로 인한 1992년, 2001년을 제외한
나머지 해에는 거의 40~60%대의 배당성향을 가지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40%대의 배당 성향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20% 안팎의 수준으로 미국와 일본에 비해 낮은 수준의 배당성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 론
지금까지 한국타이어의 자본구조와 배당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업들은 자사의 기업의 부 즉, 기업의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그 노력의 일부로 자본의 구조에 대한 연구나 배당정책에 관한 사항도 포함될 것이다.
자본 구조에 있어서 최적 구조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찾는 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최적 자본 구조를 찾기에는 너무나 많은 요소들이 영향을 추고 이러한 모든 요소들을 고려하여 최적 자본 구조를 찾아낸다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배당 역시 기업의 가치를 변화할 수 있는 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기업의 배당 정책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우 배당 정책이 투자안이나 수익성 유동성을 고려한 기업 재무 의사 결정 차원에서 합리적이고 자율적으로 이루어진다기 보다는 다른 기업의 배당률과 연관지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매년 지속해 오던 일정 수준의 배당을 안정적으로 지급하는 등의 이러한 관행이 지속되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배당률이나 배당성향은 외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고 이에 따라 기업의 주주들 역시 적은 관심을 보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기업의 목표는 부의 창출, 기업의 가치 증대이다. 이러한 방법의 일환으로써 우리나라 기업들은 자본 구조나 배당정책을 합리적 재무 의사 결정의 차원으로 인식하고 기업 가치를 높이는데 이러한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한국타이어 감사보고서(1998~2004년)
- 한국타이어 사업보고서(1998~2004년)
- 금호타이러 사업보고서(1998~2004년)
- 상장기업분석 (1999) 매일경제신문사
- 上場協 (2004)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배당률 결정에 미치는 재무요인 및 배당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류광춘>
- 上場協 (2003)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배당현황 및 제도의 개선에 대한 연구/김문현*한상범>
* 참고 홈페이지
한국타이어 http://www.hankooktire.com/
금호타이어 홈페이지 http://www.kumhotire.co.kr
금융감독원 http://www.fss.or.kr
한국신용평가 http://www.kisinfo.com/
미래에셋 http://www.miraeasset.com/
한국은행 http://www.bok.or.kr/
LG 투자증권 http://www.wooriwm.com/
상장회사협의회 http://www.klca.or.kr
REPORT
(한국타이어의 자본구조와 배당)
소개글